오래 전에 제가 쓴 글

http://djuna.cine21.com/xe/1889817

에 대한 겨자님의 반론(?)

http://djuna.cine21.com/xe/1891169

및 성매매 합법화 관련 경제학 논쟁 등과 관계된 글입니다.

 

이 글 포함 앞으로 쓸 글에 대한 저의 구상은 아주 오래 전에 완성되었고,

쓰기 시작한 지도 제법 되었기 때문에

최근 진행 양상에 충분히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

------------------------------------------------

 

그레고리 맨큐는 가장 널리 읽히는 경제학 교과서의 저자입니다.

그러면 이는 그가 주류 경영학자라는 것을 의미할까요?

또는 그가 경영학에 대해 검증된, 깊이 있는 지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까요?

 

다른 사람의 텍스트에 대한 대책 없이 후진 해석은 대책 없이 후진 텍스트 기술로 이어집니다.

상대방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지도 못하면서

자신이 알고 있는 얘기만으로 그에 대해 반박하면

결국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0.6 교과서, 국적

 

미국에서 학부생이 국제경영을 배울 때는 대개 다섯개 교과서 중에서 하나를 쓰게 됩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쓰고, (출판사 주장에 따르면) 시장의 5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선두주자는Charles W. L. Hill International Business입니다. Hill의 제자 (어쩌면 수제자)로서 Mike W. Peng이 쓴 Global Business입니다. 첫번째 책은 영국인, 두 번째 책은 중국인에 의해서 씌여졌습니다. 이 두 책을 읽으면 난감함을 느낍니다. 아무리 부인하려고 해도 자국 중심적인 서술의 흔적을 피할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Hill의 교과서를 잘 읽어보면, 보호무역과 자유무역에 대해서 서양의 경제사학자들이 어떤 모순된 입장을 가지고 있는가가 잘 드러납니다. – 겨자

 

매우 황당했지만, 혹시나 해서 겨자님이 소개한 저자들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역시나 그들은 주류 경제학과 아무 관계가 없는 사람들입니다.

저의 주류 경제학 정의에서 투표권을 갖는 경제학자가

그 두 저자를 인용한 적이 단 한 번이라도 있으면 소개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 한 번도 없다라는 전칭명제입니다.)

 

경제학 학계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닙니다.

겨자님이 언급하신 교과서 관련 내용을 제외하면 별다른 구글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키피디아의 여러 명의 Charles Hill Charles W. L. Hill 은 없었고,

영미 언론 (NYT, WP(Slate), Times, The Economist, WSJ, FT, Bloomberg )

이들의, 이들에 관한 글을 싣는 것 같지도 않고 (비교: 비교 불가),

Foreign Affairs 가 이들을 센터장으로 초빙하거나, 초청해서 견해를 듣는 세미나를 열거나

이들의, 이들에 관한 글을 싣는 것 같지도 않고 (비교: 적어도 Weinstein, 크루그먼, 라잔, 로고프, 아이켄그린, 어윈),

독일의 Spiegel 이 이들을 인터뷰한 것 같지도 않고 (비교: 적어도 로고프, 아이켄그린) ,

Project Syndicate 에 섹션을 갖고 있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비교: 적어도 라잔, 로고프, 아이켄그린, 바그와티, 대니 로드릭 등 비교 불가).

(Hill, Peng은 도메인 제한이나 연관 검색어 없이 이름만 돌려서 3~4페이지만 본 거라

뒤쪽에 예외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요컨대, 겨자님이 하시는 얘기의 범용성과 제가 하는 얘기의 범용성에는

넘사벽이 존재한다고 해도 그리 큰 과장은 아닙니다.

물론 세상에는 위에 열거한 모든 매체를 전혀 참고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을 정하고 결론을 내리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저는 이들을 존중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겨자님 얘기가 제 얘기보다 더 범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장하준 + 미국 시장점유율 1, 2위 국제경영 교과서들을 읽은 겨자님의 입장과

위에 열거한 모든 매체를 전혀 참고하지 않는 일부 대중의 입장이 닮았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혹시나 해서 제가 의미했던 교과서 저자들을 검색해봤습니다.

폴 크루그먼(국제무역론)이나 맨큐(거시)는 논외로 하고요,

미시의 Harl Varian(미국인, 버클리), 산업조직론의 Jean Tirole (프랑스인, 뚤루즈 대학),

고급 미시의 Mas Collel (스페인인, 뽐삐우 대학?), 국제무역-게임이론의 Avinash Dixit (인도-미국인, 프린스턴)

국제무역의 바그와티 Jagdish Bhagwati (인도인, 컬럼비아), 계량의 James H. Stock (미국인, 하버드)

경제사의 Barry Eichengreen(버클리), Peter Temin(MIT) 까지 모두 위키피디아에 있었고,

이들의 논문들이 1페이지에 나왔습니다.

거시, 노동, 경제성장론 등 얼마든지 더 돌려 볼 수 있지만 이 정도만 하겠습니다.

(폴 크루그먼, 아비나시 딕싵이 사뮤엘슨과 함께 이번 글의 주연입니다.

할 베리언은 겨자님이 언급하신 보호무역정책(?) VER과 관련하여 다음에 한 번 인용될 것입니다.)

 

위키에 교과서 저자가 많이 나와서 더 좋은 학문이라는 식의 유치한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날까요? 경제학과가 경영학과보다 쪽수, , 시간이 많아서 일까요?

저는 이런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 중 한 가지가

전세계의 경제학과에서 그 교과서들을 보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 학생들이 많이 읽는 이준구의 교과서를 번역하면

세계 어느 대학에서든 교과서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류 경제학에 대한 저의 정의가 가능한 것이고요.

 

첫번째 책은 영국인, 두 번째 책은 중국인에 의해서 씌여졌습니다. 이 두 책을 읽으면 난감함을 느낍니다. 아무리 부인하려고 해도 자국 중심적인 서술의 흔적을 피할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 겨자

 

자국 중심적인(?) 서술이 섞여 있는 것은 주류 경제학 교과서가 될 수 없습니다.

연구자의 국적에 의해 결론이 달라지는 내용은 경제학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 논문은 가, , , , , , 사에 출판되지 않습니다.

경제학에서 연구자의 국적이 결론에 영향을 미친다면,

제가 의미한 주류 경제학은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주류 경제학, 한국 주류 경제학, 독일 주류 경제학, 중국 주류 경제학이 각각 존재하겠지요.

그러나 경제학은 그렇지 않으며, 저는 그렇지 않은 경제학에 대해 얘기하겠다는 것을 처음부터 명시했습니다.

 

주류 경제학이 저자의 국적에 의해 결론이 달라지는 어떤 활동에 비해 (항상) 더 가치 있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각자가 각자의 목적에 맞는, 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텍스트를 참고하면 됩니다.

두 가지 활동을 뒤섞지 말고 구별하여 각각의 목적에 맞게 평가하기만 한다면 말입니다.

 

(여기까지는 사실 겨자님의 글이 올라온 3월에 이미 써두었던 내용입니다.

그 후에 저는 이 논쟁이 아무 소용 없겠다고 판단하였고 쓰고 있던 여러 내용들을 버려두었습니다.

성매매 이슈 때문에 다시 경제학 얘기를 하게 되었는데,

지금은 제가

경제학적 옳고 그름이 아니라, (그와 무관한)

주류/비주류만을 얘기한다고 인식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주류이기 때문에 옳다는 얘기를 한 적이 없습니다.

주류와 비주류가 그저 다르기 때문에 상대적인 것일 뿐이라는 입장도 아닙니다.

주류/비주류는 옳고 그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주류의 정의가 (장기적으로) 제 논의에 꼭 필요하기 때문에 얘기하는 것입니다.

그 정당성은 차차 더 분명해질 것입니다.

위의 내용을 포함시키면 반대자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또 주류/비주류 얘기만 한다. 주류고 교과서이기 때문에 옳다는 얘기다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써두었던, 제가 하려고 했던 얘기를 계속 해 나가겠습니다.

(써두지 않았었다면, 새로 쓰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극소수이지만, 제가 하는 경제학 관련 이야기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분들이 계시며

저는 그 분들을 주요 독자로 상정하고 글을 쓰려고 노력할 생각입니다.

제 글을 잘 읽으시면, 주류경제학이 옳든 그르든,

주류 경제학자들의 사고 방식, 주류 경제학 내부의 분위기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

과연 연구자의 결론에 연구자의 국적이 결론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는가?”

류의 전칭 명제 논의는 사양합니다.

제가 그런 순백의 논리실증주의(?) 신봉자라서 위와 같은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니니,

연구자의 국적이 연구자의 결론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너무나 당연한 명제에 근거해서 제 얘기를 무시하고 싶은 분은 얼마든지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기꺼이 무시당해 드리죠. 앞으로도 유사한 논점이 계속 제기될 텐데 마찬가지입니다.)

 

 

0.7 사뮤엘슨, strategic trade theory

 

Hill의 교과서는 폴 사무엘슨을 소개하면서 자유무역이 선진국에게 결코 유리하지 않다고 불평합니다. 자유무역으로 인해서 소비자가 월마트에서 미국산 제품보다 10센트 싼 중국산 제품을 살 수 있다고 한들, 일자리를 잃으면 그 소비자는 10센트 더 싼 물건을 구매할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일반적인 노동자로서는 자유무역으로 인한 손해가 이득보다 더 크다는 것입니다. (이 책이 영미권의 입장에서 씌여졌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대목입니다) 그리고 교과서는 더 나아가 유치산업 보호론과 strategic trade policy를 소개합니다. 이 두가지는 보호무역이 경제학에 기반해 정당화되는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 겨자

 

저는 [주류 경제학과 자유주의 1]에서 폴 사뮤엘슨이 주류 경제학의 아버지라고 얘기한 바 있습니다.

 

사뮤엘슨 사후 올라온 The Economist 블로그 글

http://www.economist.com/blogs/freeexchange/2009/12/remembering_paul_samuelson

에는 3개의 링크가 있는데

Weinstein NYT 부고-추모 기사,

크루그먼의 짧은 포스트,

WSJ 편집부에서 모은 저명한 주류 경제학자들의 언급들입니다.

(이들 중 제가 아래에서 얘기할 내용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을 것입니다.)

 

아래에서 Weinstein NYT 기사를 인용할 텐데 Weinstein에 대한 소개는

http://www.cfr.org/world/former-new-york-times-columnist-scholar-michael-m-weinstein-named-director-councils-geoeconomics-center/p4345

가 좋을 것 같습니다.

 

크루그먼은 위의 포스트를 포함하여 사뮤엘슨 추모 포스트만 4개를 썼습니다.

진실로 위대하고, 진실로 좋은 사람

비교할 수 없는 경제학자. 그에 필적할 만한 사람은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또 다른 주인공인 딕싵 역시 사뮤엘슨 추모 글을 따로 썼습니다.

 

크루그먼은 워낙 유명하니 생략하고

딕싵에 대해서는 간략한 소개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구글에서 Avinash Dixit strategic trade 을 검색하면

맨 위에 딕싵의 558회 인용된 논문이 나오고

그 아래에 크루그먼이 편집한 705회 인용된 책이 나옵니다.

(딕싵과 아래에서 딕싵과 함께 나올 그로쓰만도 공동 저자로 참여하였습니다.)

그러니까 겨자님이 보호무역이 경제학에 기반해 정당화되는 대표적인 이론중 하나로 꼽은

strategic trade policy 를 정초, 확립하여 주류 경제학의 75% 테스트를 통과한 학자들이

바로 딕싵과 크루그먼, 그로쓰만 등입니다.

그러니까 겨자님이 위에서 얘기하신 경제학이 바로 딕싵, 크루그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Hill도 크루그먼을 인용, 참고하여 국제경영학교과서를 썼을 것이라 짐작합니다.

 

그런데, 딕싵과 크루그먼이 열렬히 자유무역을 옹호한다면 놀라시겠습니까?

크루그먼이 strategic trade theory로 보호무역이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명시적으로 여러 차례 밝혔는데도

strategic trade theory로 보호무역을 옹호하는 것은 일종의 학문적 구라라는 점에 동의하시겠습니까?

사뮤엘슨은 어떻고요.. 사뮤엘슨은 끝까지 자유무역의 옹호자였으며, 보호무역을 주장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이런 사실과 그들이 자유무역을 옹호한 이유를 살펴 보겠습니다.

 

주인공을 빛내기 위한 조연 두 분만 모시겠습니다.

맨큐 http://gregmankiw.blogspot.com/2010/12/avinash-dixit.html

맨큐가 위대한 경제학자의 프로필이라고 소개한 글의 “Path-breaking model” “Huge impact” 절을 보면

strategic trade theory와 관련하여 딕싵-스티글리츠 모델의 의의를 조금 알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완전경쟁 시장이 아닌, 독점적 경쟁 시장, 과점 시장 모형으로

국제 무역을 검토할 수 있는 기초를 놓았습니다.

(자유 무역주의에 대한 흔한 비평 중에 하나가

완전 경쟁 시장을 가정한 경제 원론 수준의 지식이다.

현실은 과점 시장이며 따라서 어쩌고 저쩌고..” 인데,

이런 말 하는 사람 중에

과점 시장 모형은커녕 경제 원론 수준의 지식이라도 제대로 갖춘 사람이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스티글리츠는 별도의 설명이 필요합니다.)

 

크루그먼은, 사실 위 글에서 본인이 얘기하듯 딕싵의 동생입니다.

크루그먼 위키피디아 항목에도 케인즈, 제가 이미 얘기한 바그와티, 제가 나중에 얘기할 돈부시와 함께

제가 지금 얘기하는 딕싵이 크루그먼에게 영향을 준 사람들 목록에 올라 있습니다.

(목록에 사뮤엘슨은 없는데, 그 이유는, 제 생각에는, 디폴트 값이기 때문입니다.

사뮤엘슨의 영향을 받지 않은 주류 경제학자는 단 한 명도 없습니다. 전칭명제입니다.)

 

또 다른 유명 경제학자의 블로그에도

http://marginalrevolution.com/marginalrevolution/2008/10/paul-krugman-wi.html

딕싵→크루그먼의 영향이 명시되어 있는데, 짧은 해당 단락에

strategic trade theory 의 현실 적용 한계와 보호무역정책에 대한 함의도 짧게 언급되어 있으니

관심 있는 분은 쉽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당장의 논의에서 약간 벗어나는 주제지만

맨큐가 소개한 딕싵 프로필 기사에서 그냥 지나치기 아쉬운 내용들이 있습니다.


“What drives development?” 절에는 저개발국의 경제발전에 관한 그의 견해가 언급되어 있는데

현재 대다수 주류 경제학자들이 동의하는 내용입니다.

특히 그가 인도 중앙은행에서 얘기한 내용은

제가 [주류 경제학과 자유주의 1] d 에서 소개한 이스터리의 논지와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그리고 장하준의 논지와는 정반대되는 얘기입니다.


“Economics and the crisis” 절에는 금번 경제 위기와 주류 경제학의 관계(?)에 관한 얘기가 나옵니다.

저는 [주류 경제학과 자유주의 1] 에서 관련 주제에 대해

크루그먼의 NYT 기사와 The Economist 의 기사를 소개하였는데,

이 주제에 한하여 크루그먼의 입장은 주류에서 거의 맨 왼쪽입니다.

딕싵의 입장은 The Economist의 입장과 일치하고 크루그먼의 입장과는 꽤 차이가 나는데,

현재 대다수 주류 경제학자들이 동의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장하준은 전혀, 완전히 다르게 생각하겠지요..

 

두 번째 조연입니다.

로드릭 http://rodrik.typepad.com/dani_rodriks_weblog/2009/12/avinash-dixit-on-samuelson.html

겨자님이 저에게 추천하신 논문의 저자이고 그래서 저도 이전 글에서 언급하였습니다.

본인이 얘기하듯 주류와 비주류의 경계 근처에 있는 “unconventional”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고맙게도 딕싵의 사뮤엘슨에 대한 상찬을 잊어서는 안 된다라며

딕싵의 사뮤엘슨 추모글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딕싵은 양쪽에서 검증된 학자라고 할 수 있고,

(주류의 거의 맨 왼쪽에 있는 로드릭과 상당히 오른쪽에 있는 맨큐)

특히 그의 사뮤엘슨론()은 로드릭에 의해서 잊어서는 안 되는참고문헌으로 인용되고 있습니다.

 

[텍스트 목록 1]

a. Weinstein의 사뮤엘슨 부고-추모 NYT 기사

http://www.nytimes.com/2009/12/14/business/economy/14samuelson.html?_r=1&hp

 

b. 로드릭이 인용한, 딕싵의 사뮤엘슨론 http://www.princeton.edu/~dixitak/home/PaulSamuelson.pdf

 

c. 딕싵의 사뮤엘슨(2004)에 대한 해설과 자유/보호 무역에 대한 입장

http://emlab.berkeley.edu/users/webfac/cbrown/e153_sp06/JEPcommentsSamuelson.pdf

(사뮤엘슨(2004)를 출판한 JEP Comment 에 게재된 내용으로서

위 링크에서 이 글을 버클리의 학부생들이 읽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같은 내용을 1장짜리 PDF로 제공하고 있는 아래 워싱턴 대학 링크 역시 같은 사실을 시사합니다.)

http://depts.washington.edu/teclass/ThinkEcon/readings/Kalles/Dixit%20and%20Grossman%20on%20Samuelson.pdf

 

이상은 사뮤엘슨을 기준으로 하면 2차 문헌이라고 볼 수 있고,

Strategic trade theory 의 산파인 딕싵의 자유무역에 대한 입장이라는 관점에서는 1차 문헌이기도 합니다.

차례로 살펴본 다음 사뮤엘슨 자신의 답변과 논문으로 넘어가겠습니다.

 

a. Weinstein의 사뮤엘슨 부고-추모 NYT 기사 중 일부

http://www.nytimes.com/2009/12/14/business/economy/14samuelson.html?_r=1&hp

 

사뮤엘슨은 자유 무역이 이질적인 소비자 및 노동자 그룹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유명한 스톨퍼-사뮤엘슨 정리에서 그와 스톨퍼는 미숙련 노동자를 고용하는 저개발국으로부터의 수입품으로 인한 경쟁 때문에 선진국의 저임금 노동자들의 임금이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그 정리는 자유 무역의 반대자들에게 지적인 발판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말년에 사뮤엘슨은 교역 상대국에서 생산성이 증가하면 미국 경제가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지적하여, 지적인 소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사뮤엘슨은 대부분의 학계 경제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자유 무역의 옹호자로 남았다. 그는 무역이 무역으로 이익을 보는 노동자와 소비자의 편익이, 손해를 보는 노동자와 소비자의 비용을 보상하고도 잉여 소득을 남길 정도로 평균적인 삶의 질을 높인다고 가르쳤다.

 

b. 로드릭이 인용한, 딕싵의 사뮤엘슨론 중 일부

 http://www.princeton.edu/~dixitak/home/PaulSamuelson.pdf

 

1930년대. 사뮤엘슨은 아직 25세가 채 안되었다. 업적 열거

1940년대. 국제무역이론에서 우리는 스톨퍼-사뮤엘슨 정리와 요소가격균등화를 위한 조건들을 얻었다. 업적 열거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업적 열거.

1980년대. 사뮤엘슨은 65세였고, 노벨상 수상자였다. <쉬면서 옛 업적의 영광을 만끽해도 충분한데, 그러지 않고 계속 왕성하게 연구하고 기여했다는 취지의 얘기가 이어짐> <2004년에-딕싵의 글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논문 출판시점이 2004년임> “리카도와 밀의 주장이 세계화를 옹호하는 주류 경제학자들의 주장과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른가라는 논문에서, 그는 혁신이 임금 및 총생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 자유 무역 경제에서 외국의 기술 진보가 국내 후생(welfare)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그러나 그 논문은, 자기들의 목적을 위해 그의 논증을 납치하려고 노력하는 보호무역주의자들을 지지하지 않는다.

 

------------------

후생(welfare). 마이클 샌델의 [Justice] 를 국역한 [정의란 무엇인가] welfare를 행복으로 번역하였습니다. 거의 최선의 번역이라고 생각하지만, 원문의 welfare happiness가 모두 행복으로 번역되었다는 점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welfare를 항상 후생(厚生)으로 번역합니다. 한자로 보니 well-being, 억지로 일대일 대응시키면 well-life 정도의 의미로, welfare=well-farewell-life (일본에서) 번역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행복이라는 번역도 오역은 아니라고 봅니다. 익히 아시겠지만, “사회 복지”, “복지 국가“social welfare”, “welfare state”의 국역입니다. 샌델은 보통은 후생을 경제적 번영과 동일시 하지만, 후생은 사회적 웰빙의 비경제적 측면까지 포함할 수 있는 더 넓은 개념이라는 매우 적절한 단서를 덧붙이고 있습니다. (In common parlance, we often equate welfare with economic prosperity, though welfare is a broader concept that can include noneconomic aspects of social well-being.)

경제학은 흔한 오해와 달리 GDP 극대화를 목적함수로 삼지 않습니다. GDP는 생산, 소득(income)과 동일한 개념입니다. 경제학이, 주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극대화하는 목적함수는 사회후생함수입니다. 인간은 소득 극대화를 추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때의 사회후생은 비화폐적, 비경제적 측면을 (불완전하게나마)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그리고 많은 경우 매우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비경제적 측면은 여가(leisure, 자유 시간)와 시간 가치(소비의 현재성, 이자율, 참을성에 대한 보상)입니다. 이것들을 비경제적 요소로 볼 수 있는지는 관점마다 다르겠지만요. 명백히 경제적인 변수로 분류되는 화폐 벌이 및 상품 소비도 사실은 비경제적 요소가 모두 반영된 선택이며, 경제학은 실현된 선택을 준거로 삼는다는 점에서 어쩌면 경제적/비경제적 요소의 구분 자체가 무의미하고 오도하는 개념일 것입니다.

말이 너무 길어졌습니다. 무역정책과 관련하여 후생은 통상적으로 생산=소득, 소비 등의 대리변수(proxy)로 측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이 변수들이 후생, 즉 넓은 의미의 공공복리(公共福利)를 잘 대리한다는 정도만 말씀 드리겠습니다. 어차피 성매매와 관련하여 한 번은 다루어야 할 이슈이므로 더 충분한 근거, 설명을 고민해 보겠습니다. 바로 떠오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잘 안 될 수도 있습니다;;

--------------

 

a, b로부터 몇 가지 분명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자들은 그저 Weinstein, 딕싵의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시겠지만,

일단은 정리해 보겠습니다.

 

요약 해설 1

[대부분의 학계 경제학자들은 자유 무역을 옹호합니다.

사뮤엘슨도 자유 무역을 옹호하였습니다.

사뮤엘슨의 일부 주장들이 보호무역주의자들에 의해 납치된 적이 두 차례 있습니다.

하나는 스톨퍼-사뮤엘슨 정리이고, 다른 하나는 사뮤엘슨(2004)입니다.

이 두 가지는 경제학적으로 종류가 상당히 다른 것으로

전자는 저임금 노동자의 고용·임금에 관한 이슈이고,

후자는 경제적 총후생에 관한 이슈입니다.]

 

자유무역/보호무역 중 어느 편을 지지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주류 경제학자들이 규범으로 삼는 핵심 기준은 대략 3~4가지가 있습니다.

(각각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경제학 외부에서도 동일한 기준을 규범으로 사용합니다.)

그 중 가장 쉽고 일차적인 기준은

어느 것이 특정 국가의 경제적 총후생을 더 크게 하는가입니다.

주류 경제학이 자유 무역을 옹호하는 것은

자유무역이 거의 항상 해당 국가의 경제적 총후생을 증가시키는가?” 테스트

(와 다른 2~3가지 테스트)를 이론적∙실증적으로 통과하기 때문이지

현실과 무관한 어떤 이데올로기에 대한 집착 때문이 아닙니다.

(이데올로기 효과가 0이라는 전칭 명제가 아닙니다. 그러니 애써서 부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두 번 반복했으니 앞으로는 생략하겠습니다.)

 

모든 사람을 설득할 수 있을 정도는 안 되겠지만

자유무역이 3~4가지 테스트를 이론적∙실증적으로 통과했다는 근거는 조금씩 제시할 것입니다.

제가 듀게에서 주류 경제학에서 논의된 모든 근거를 다루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전공과목 한 학기 분량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한 과목만으로 안 될 것입니다. 여러 과목을 다 알아야 합니다.

문제는, 그 증거들을 책 10권으로 정리해서 다 얘기한다 하더라도

여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동의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크루그먼이 이 얘기를 여러 번 했는데, 다음에 소개하겠습니다.

지난 번에 소개했던 바그와티 및 어윈에 대한 이코노미스트 서평에도

http://www.economist.com/node/975917

마지막 단락에서 이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세계화 반대론자들이 open-minded 이든 아니든)

이 두 책이 (자유)무역 회의론자들의 생각을 바꿀 수 없다면

다른 어떤 것이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어렵다.”

 

그러니 특정 보호무역 정책을 옹호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동일한 3~4가지 테스트를 자유무역보다 더 잘 통과한다는 것을

이론적∙실증적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류 경제학의 표준적인 입장이

개별 국가의 관점에서 자유 무역에 따른 승자의 이익이 패자의 손해보다 크다.

따라서, (그리고 다른 여러 근거로) 자유 무역을 채택해야 한다임은 익히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개별 국가의 경제적 총후생 테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할 때,

자유 무역이 보호 무역보다 낫다는 얘기인데,

a. Weinstein 에 따르면 이것이 사뮤엘슨이 믿고 가르친 바입니다.

 

a, b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요약 해설 2

[스톨퍼-사뮤엘슨 정리는 경제적 총후생에 대해 아무 것도 말해 주지 않습니다.

그것은 자유무역이 선진국의 순수입(net import) 산업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이 하락시킬 것이라는

대중적 생각이 일반균형 관점에서 타당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한 것일 뿐입니다.

어떤 조건 하에서 어떤 경로(메커니즘 또는 인과관계)를 통해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그 조건, 경로의 작동, 결과로서 나타나는 현상을

실증적으로 (방향과 크기를)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기초를 제공한 것입니다.

물론 이 이론적 분석은 매우 위대하고 (정책적 함의의 측면에서도) 소중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정리, 이론적 모형이 현실에 부합하는가를 확인하는 실증적 검증의 필요성을 차치하더라도,

, 이 이론적 가능성이 실제로 일어났다 하더라도

그것으로부터 바로 보호무역이 정당화되지 않습니다.

경제적 총후생 기준의 관점에서는

이에 더해 패자의 손실이 승자의 이익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논증해야

보호무역을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런 논증이 이뤄진 적은 없습니다.

 

물론 개별 국가의 경제적 총후생 기준보다

해당 국가 저임금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성 기준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입장도 가능합니다.

그런 입장은

우리 나라의 경제적 총후생의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우리 나라 저임금 노동자의 이익을 위해서 보호무역을 해야 한다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입장에 따른 보호무역 정당화는

경제적 총후생 기준 테스트를 충족하는 보호무역 정당화에 비해 호소력이 약합니다.

저의 주관적 기준에서 그렇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역사적으로 많은 대중이 경제적 총후생 기준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류 경제학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민주주의 사회의 다수 시민이요.

(패자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경제적 총후생이 증가하는 경우(파레토 개선)는 거의 없기 때문에

고용 안정성 기준을 필요조건으로 요구하면 경제적 총후생에 많은 문제가 생깁니다.

따라서 두 가지 기준 사이에 적당한 절충이 필요합니다.)

 

a. b. 는 스톨퍼-사뮤엘슨(1941) 및 사뮤엘슨(2004)에 대해 쓰면서

이런 이슈들을 매우 정확하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일상언어의 명료한 사용)

 

1) 용어 구별

a.

사뮤엘슨(1941) “선진국의 저임금 노동자들의 임금이 하락할 수 있다

사뮤엘슨(2004) “미국 경제가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특정 산업 노동자에 대한 효과와 경제적 총후생을 구별하고 있습니다.

b.

사뮤엘슨(1940s) “스톨퍼-사뮤엘슨 정리와 요소가격균등화” (여기서 요소가격은 임금, 이자율을 의미)

사뮤엘슨(2004) “임금 및 총생산”, “국내 후생

역시 구별하고 있습니다.

 

2) 이론적 가능성과 실증 결과의 구별

a.

위와 동일 could, could

b.

사뮤엘슨(2004) “감소시킬 수 있다” “낮출 수 있다” can, can

 

둘 다 구별하고 있습니다.

만약 사뮤엘슨이 실증 연구결과를 출판했다면

감소시켰다는 것을 보였다, 낮췄다는 것을 보였다라고 썼을 것입니다.

경제학은

이론이 제시되면, 타당성-정합성을 따지는 것 + 실증 필요성을 생각하고

실증이 제시되면, 이론의 예측과 비교하고, 다르다면 왜 다른지,

어떤 데이터를 어떤 방법론으로 측정했는지를 생각합니다.

너무 당연한 얘기로 들리시겠지만,

저는 이 당연한 규범을 지키지 않는 사례를 많이 지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Young(1991)에 대한 겨자님의 언급, 더글라스 어윈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입니다.

장하준 논쟁에서 Young(1991) 인용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자기 발등 찍기인지

다음 글을 통해 밝힐 예정입니다.

 

3) 정책 함의에 관한 논란 정도의 구별

a.

사뮤엘슨(1941) 논란 언급 없음

사뮤엘슨(2004) “지적인 소란(commotion)을 일으켰다

약한 구별이 드러납니다.

b.

사뮤엘슨(1941) 아예 보호무역 옹호와 연결하지 않음

사뮤엘슨(2004) 보호무역주의자들의 사뮤엘슨 납치를 고발함

매우 강한 구별이 드러납니다.

 

이는 실제로 논란의 정도가 달랐기 때문일 텐데,

이러한 차이가

자유/모호무역 정책 논쟁에서 경제적 총후생 기준이 갖는 중요성, 호소력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사뮤엘슨(1940s)은 보호무역을 옹호하는 근거로서 호소력이 없고

따라서 실제로 그것을 근거로 보호무역을 옹호하는 사람도 많지 않아서 논란 거리가 안 됐다는 의미입니다.

 

(b의 마지막 문장도 얘기하고 있지만 사뮤엘슨 (2004)도 보호무역을 옹호하는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c. d. e 에서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 b. 해석은 이 정도로 하고 이를 배경으로

겨자님의 텍스트를 다시 보겠습니다.

 

“Hill의 교과서는 폴 사무엘슨을 소개하면서 자유무역이 선진국에게 결코 유리하지 않다고 불평합니다.

자유무역으로 인해서 소비자가 월마트에서 미국산 제품보다 10센트 싼 중국산 제품을 살 수 있다고 한들, 일자리를 잃으면 그 소비자는 10센트 더 싼 물건을 구매할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일반적인 노동자로서는 자유무역으로 인한 손해가 이득보다 더 크다는 것입니다.

(이 책이 영미권의 입장에서 씌여졌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대목입니다)

그리고 교과서는 더 나아가 유치산업 보호론과 strategic trade policy를 소개합니다.

이 두가지는 보호무역이 경제학에 기반해 정당화되는 대표적인 이론입니다.” – 겨자

 

.. 조금 애매합니다. 정확하게 Hill의 입장이 무엇인지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겨자님이 얘기하시는 영미권의 입장도 어떤 의미인지 애매합니다.

보호무역 옹호를 위해 납치하려는 대상이 사뮤엘슨(1940s)인지, 사뮤엘슨(2004)인지, 둘 다인지 말입니다.

욕 먹는 것도 지겹고, 인터넷 글쓰기에 논문 기준 들이대냐고 하실 테니

후진 텍스트라고 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관련 이슈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인터넷 글쓰기라도 저렇게 쓰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Weinstein 과 딕싵이 용어를 명확하게 구별해서 쓴 건, 애초에 인식이 구별되어 입력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읽을 때도 마찬가지고요.)

 

일단은 근거를 밝히는 자유무역으로~대목입니다부분에서

총후생, 총생산, 총소득 얘기가 전혀 없고, (실업) 노동자 입장만 얘기하고 있기 때문에

Hill은 사뮤엘슨(1940s)를 근거로 보호무역을 정당화하고

겨자님은 그런 Hill영미권의 입장이라고 이해하신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에 맞춰 용어를 약간만 수정하겠습니다.

선진국에게 결코 유리하지 않다선진국의 순수입(net import) 산업 노동자에게 유리하지 않다

미국의 일반적인 노동자미국의 순수입(net import) 산업 노동자

 

만약 이런 의미라면,

Hill의 입장, 영미권의 입장은

우리 나라의 경제적 총후생의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우리 나라 저임금 노동자의 이익을 위해서 보호무역을 해야 한다에 가깝습니다.

제가 알기로 이런 주장을 한 주류 경제학자는 아직까지 한 명도 없었습니다.

따라서 만약 이런 근거로 보호무역을 정당화했다면,

Hill의 입장, 영미권의 입장은 상당히 분배지향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신념과 관련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 입장이 틀렸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주류 경제학자들이 왜 이런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는가에 대해서 나중에 밝히겠습니다.

 

그게 아니라,

선진국에게 결코 유리하지 않다가 경제적 총후생 기준의 의미라면

이것은 대단히 놀라운 주장인데,

일단 위에서 했던 얘기

경제적 총후생 기준의 관점에서는

이에 더해 패자의 손실이 승자의 이익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논증해야

보호무역을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런 논증이 이뤄진 적은 없습니다.”

를 반복하는 정도로 넘어가겠습니다.

 

 

경제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매우 명민하여 이런 쟁점들을 감지하신 한 독자의 댓글을 인용하겠습니다.

 

그런데 조금 헷갈리는 부분은.. , "1) 자유무역은 현실이 아니란 점을 밝혀 말하고 있고, 2) 보호무역을 쓸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으며 3) 자유무역으로 인해 선진국이 손해 보았다고 불평하고 있고, 4) 보호무역을 정당화하는 이론과 도구를 가르친다" 라는 부분이요.. 이건 결국에 보호 무역이 자국의 이익에 유리하다는 것이고 이건 장하준도 똑같은 주장을 하고 있는거 맞죠?

다만 주류 서양 경제사학자 혹은 국제경영학자들은 내부적으로는 보호무역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면서 외부적으로는 자유주의의 우수성을 역설한다는 거구요. 장하준은 이걸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보호무역이 특정 국가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구요.

그렇다면 결국에는 경제 성장에 있어서 보호무역이 유리한가 자유무역이 유리한가가 핵심이 될텐데 과거의 명저들과 싸우지 않겠다는건 가장 핵심을 비켜가는게 아닐까요. 단지 그들의 이중성만을 지적하는거라면 이해할 수 있지만 그건 아닌것 같아서 말이죠.”

 

이에 대한 겨자님의 답변입니다.

 

선택적 보호무역이라고 표현하고 싶은데요. 자유무역은 선진국들에게 상품을 팔 수 있는 보다 큰 시장을 제공하고, 또한 보다 값싼 제품과 원료를 제공합니다. 영국은 미국 이전에 자유무역의 강력한 옹호자였는데, 그것은 그 당시에 영국이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고, '시장'을 필요로 했기 때문입니다. 시기에 따라, 나라에 따라, 필요에 따라, 자유무역의 잇점과 보호무역의 도구들을 적절하게 쓰는 게 좋다는 것입니다.”

 

처음 저 댓글을 읽었을 때도 놀랐지만,

지금 다시 읽어보니 그 때는 놓쳤던 내용이 눈에 들어와 더 놀랍네요.

주류 서양 경제사학자국제경영학자를 구별하시고 계신데 정말 놀랍습니다.

이 점에서 겨자님보다 훨씬 낫다고 생각됩니다.

겨자님은 서양의국제경영학자를 아시고, 그 앎에 지나친 가중치를 두시다 보니

본인이 서양의주류 경제사학자도 아신다고 착각하신 데 반해,

위 독자는 거기에 현혹되지 않으신 것이죠.

 

일단,  경제사학자들이 내부적으로는 보호무역의 필요성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완전히 사기입니다.

그리고 3) 4)도 주어가 경제사학자들이라면 완전 사기입니다.

겨자님의 텍스트를 읽으면 위와 같은 인상을 받는 게 자연스러운데,

저는 겨자님의 답변이 위와 같은 오해를 해소하기에 충분하다고 절대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3) 4)가 사실이라면 경제사학자들과 장하준이 똑 같은 주장을 하고 있는게 되겠죠?

그렇지 않다는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데 말입니다..

소콜로프와 어윈은 경제사학회를 대표해서 장하준을 비판한걸요..

그러니 이 명민한 독자가 헷갈릴수밖에 없죠.

이쯤 되면 누가 누구랑 같은 주장을 하고,

누가 어떤 입장에서 과거의 명저들과 싸워야 하는지 오리무중이 되고 맙니다.

이것이 일종의 자유 무역 음모론의 필연적 귀결입니다. 형식화를 통한 분석은 생략하겠습니다.

이 모순적 결론의 봉합은

시기에 따라, 나라에 따라, 필요에 따라, 자유무역의 잇점과 보호무역의 도구들을 적절하게 쓰는 게 좋다는

선택적 보호무역론에 의한 대동단결입니다.

그러나 주류 경제학자들은 선택적 보호무역론을 거부합니다.

 

다음, 이 질문과 답변에 나타나는

선진국이 손해 보았다고 불평

보호 무역이 자국의 이익에 유리

보호무역이 특정 국가의 이익에 부합

경제 성장에 있어서 보호무역이 유리한가 자유무역이 유리한가

등은 모두 철저하게 경제적 총후생의 언어입니다.

 

선진국이 손해 보았다고 불평한 내용과 근거가

특정 산업 노동자의 고용 악화에서 경제적 총후생 악화로 둔갑한 것입니다.

특정 산업 노동자의 고용 악화는 이해하기 쉽고, 분배정의측면에서 호소력을 갖습니다.

그러나 이것을 근거로 보호무역을 정당화하려면

총후생 측면에서는 자유무역이 이익이고 유리하지만

특정 산업 노동자를 위해서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고 말해야 합니다.

저는 그런 입장은 얼마든지 존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건 아닙니다.

이것은 일상언어를 뒤섞어 사용하면서 독자를 기만하는 것입니다.

설득은 노동자 실업 사례를 들어서 하고, 함축은 경제 전체 소득으로 가져가고 있습니다.

겨자님이 그 논문을 직접 읽어 보시고 권하신 건지 모르겠지만,

말씀하신 대니 로드릭의 논문 317쪽을 다시 읽어보세요.

(이 논문은 나중에 Young의 논문들과 함께 보겠습니다.)

 

이런 의사소통 장애가 일어나는 이유는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이슈들을 정확하게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분석틀이 없거든요.

장하준의 보호무역 논리와 미국 저임금·수입 산업 보호 논리가

전혀 다른 종류의 것임을 모르고,

각 논리에서 보호 대상이 되는 산업의 성격이 다르다는 것을 모르고,

각 논리가 왜 설득력이 없는지, 어떻게 반박되고 있는지 정리가 안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a. 의 첫 문장을 다시 읽어 보겠습니다.

 

사뮤엘슨은 자유 무역이 이질적인 소비자 및 노동자 그룹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는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Mr. Samuelson provided a mathematical structure to study the impact of trade on different groups of consumers and workers.”

 

왜 사뮤엘슨이 위대합니까?

선진국과 후진국이 교역을 할 때,

선진국과 후진국에는 각각 다른 노동자 그룹이 있는데, 그 구성 비율이 다릅니다.

그렇다면 가장 단순한 모형에서 교역 당사자, 이해 관계자가 되는 노동자 그룹은 4개입니다.

선진국 수출산업 노동자, 선진국 수입산업 노동자, 후진국 수출산업 노동자, 후진국 수입산업 노동자,

무역이 자유화되거나 규제될 때, 4개의 그룹은 각각 다른 영향을 받습니다.

사뮤엘슨 덕택에 우리는 이 효과들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부분균형이 아니라 일반균형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ill이나 겨자님처럼 용어를 섞는 것은 이 분석틀을 내팽개치고 시계를 최소 70년 전으로 되돌리는 것입니다.


이런 레토릭, 한 그룹의 노동자가 받는 부분 균형 효과만을 강조하고 그것으로 특정 정책을 정당화하는 것은

지금도 선진국과 후진국에서 FTA옹호자와 반대자가 늘상 떠들고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계속해서 정반대 방향으로 연구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뮤엘슨 모형을 보다 일반화하고, 여러 다른 조건 하에서 이 효과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양쪽 모두에게 공히 일반 균형 분석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루그먼은

NAFTA를 통해 엄청난 고용이 창출된다고 주장하는 정부 관료와

NAFTA를 통해 엄청난 실업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는 노조 대변인 가운데 앉아서

(완전)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변수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고 FTA는 이에 비해 훨씬 부차적인 변수이므로

무역 정책으로 고용을 조절하려고 하면 안 된다는 취지로

NAFTA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전혀 없다고 얘기합니다.

그리고 양쪽으로부터 욕을 먹습니다.

 

hubris님을 잠깐 인용하겠습니다.

 

그런데, 리버럴님은 느닷없이 크루그만의 국가경쟁력에 대해 언급한 글을 언급하더니, 마지막으로 "A country is not a company"란 글을 이야기합니다.  .

크루그만은 경제정책을 올바로 펴는 것과 회사전략을 짜고 펼치는 것은 다르다고 말합니다.  그가 너무 당연한 말을 하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회사를 잘 경영하는 사람들이 국가도 잘 경영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많은 경영자들이 자유무역과 고용간의 관계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현실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경영자들은 무역의 증가가 수출의 증가를 가져다주고 수출의 증가는 관련된 고용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제가 "A country is not a company"를 언급한 것이 뜬금없다는 점은 인정합니다.

겨자님을 염두에 두고 일종의 이이제이를 노린 언급이었으니까요.

hubris님의 국가경쟁력논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언급하겠습니다.

크루그먼은 여러 지면에서 국가경쟁력 논리와 자유 무역에 대한 오해가 연결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hubris님이 무역-고용 관계를 오해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으며, 그런 의미도 없었습니다.

제가 hubris님에 대해 지적했던 것은

국가경쟁력에 대한 강조가 경제학자들의 언어와 상당히 다르다는 점까지였습니다.)

 

열렬한 liberal인 크루그먼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열렬한 conservative인 맨큐도 똑 같은 얘기를 합니다.

민주당 지지자, 공화당 지지자를 불문하고

A,B파를 불문하고 주류 경제학자는 모두 같은 입장입니다.

 

Hill이 저런 논리로 보호무역을 정당화한 것이

국제경영학의 특수한 맥락에서 모종의 의의를 가질 수 있는지는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특정 산업, 기업, 노조 입장에서는

고용 보호, 유치산업 보호, 보조금 지급을 요청할 수 있겠죠.

실제로 그렇게 많이 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지기도 하고요.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바로 이런 요구를 이익집단 정치로 이해하며

결코 이런 조치를 지지 하지 않는다는 것은 신문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이익집단 정치를 잘 하기 위한 논리를 가르치는 것인지 아님 다른 뭐가 있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

어찌됐든 사뮤엘슨과 경제학자들은 결코 보호무역 정책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음 글에서 그 이유와 함께 더 분명히 밝히겠습니다.

스톨퍼-사뮤엘슨 정리가 후진국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 논문 2개를 소개하고

사뮤엘슨(2004)를 직접 인용할 계획입니다.

그 다음에 크루그먼과 전략적 무역 이론,

그 다음에 Young과 로드릭을 직접 검토합니다.

 

이번 글에 쓰려고 했던 내용의 1/3 정도밖에 못 쓴 것 같은데,

제가 요즘 많이 바빠서 진도가 잘 안 나갑니다. 이거 쓰느라고 잠을 줄일 수도 없는 노릇이고..

앞으로는 틈나는 대로 조금씩 쪼개서 쓰겠습니다.

이미 글도 길고 하니 읽는 분들도 나눠서 쉬어가며 읽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한꺼번에 다 설득되어야 할 이슈들이 얽혀 있어서

쪼개다 보면 의문점은 많아지고, 설득력은 떨어지지만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480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36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1709
126021 링클레이터 히트맨, M 나이트 샤말란 트랩 예고편 new 상수 2024.04.19 27
126020 [왓챠바낭] 괴이한 북유럽 갬성 다크 코미디, '맨 앤 치킨' 잡담입니다 new 로이배티 2024.04.18 111
126019 오늘 엘꼴도 심상치 않네요 [7] update daviddain 2024.04.18 98
126018 프레임드 #769 [2] Lunagazer 2024.04.18 39
126017 [근조] 작가,언론인,사회활동가 홍세화 씨 [11] update 영화처럼 2024.04.18 402
126016 80년대 국민학생이 봤던 책 삽화 [7] update 김전일 2024.04.18 253
126015 나도 놀란이라는 조너선 놀란 파일럿 연출 아마존 시리즈 - 폴아웃 예고편 [1] 상수 2024.04.18 159
126014 체인소맨 작가의 룩백 극장 애니메이션 예고편 [1] 상수 2024.04.18 104
126013 [웨이브바낭] 소더버그 아저씨의 끝 없는 솜씨 자랑, '노 서든 무브' 잡담입니다 [3] update 로이배티 2024.04.18 215
126012 이제야 엘꼴스럽네요 [3] daviddain 2024.04.17 181
126011 프레임드 #768 [4] Lunagazer 2024.04.17 57
126010 킹콩과 고지라의 인연? 돌도끼 2024.04.17 130
126009 파리 생제르맹 선수들이 찍은 파리 바게트 광고 [1] update daviddain 2024.04.17 191
126008 농알못도 몇 명 이름 들어봤을 파리 올림픽 미국 농구 대표팀 daviddain 2024.04.17 128
126007 아카페라 커피 [1] catgotmy 2024.04.17 129
126006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4.04.17 347
126005 [핵바낭] 또 그냥 일상 잡담 [4] 로이배티 2024.04.17 265
126004 마리끌레르 영화제 예매 결과 -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상수 2024.04.16 136
126003 프레임드 #767 [4] Lunagazer 2024.04.16 45
126002 넷플릭스 찜한 리스트 catgotmy 2024.04.16 2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