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좀전에 불안하고 슬프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그러고는 무안한 농담을 했다는 듯, 부끄럽게 웃는 작은 파열음 소리를 내더군요. "무슨 일인데?" 이유를 물었습니다. 그걸 알고자 한 질문은 아니었어요. 정말 위로받을 만한 슬픔과 불안이라면 그건 이미 설명할 수 있는 이유 너머에 있는 것일 테니까요.
무릇 위로라는 건  '왜?'라는 시작의 따스한 질문과 '별일 아냐, 괜찮을거야~'의 토닥임을 끝으로 구성되기 마련이죠. 그러나 위로 받아야 할 사람만이 남을 위로할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제 위로는 언제나 서툴러서 정작 끝을 잘 맺지 못합니다.

"니 옆에 내가 있잖아~ " 이런 말은 상대를 두 번 고독하게 만드는 말일 거에요. 그러니 '왜?'라는 무심하고 부드러운 질문 정도로 저무는 마음을 두텁게 감싸고 맙니다. 사실 이유를 묻고 사리를 따지는 동안 흔히  우리는 거대하고 깊은 뭔가를 망각하지 않나요? 요즘 자주 꾸는 꿈의 이미지가 그렇듯, 환한 인공조명과 두려운 바다 사이에 우린 서 있는 거죠. 그것이 삶의 패턴이라 생각합니다.

2. 거기서 알 수 없는 비가 내리지
   내려서 적셔주는 가여운 안식
   사랑한다고 너의 손을 잡을 때
   열 손가락에 걸리는 존재의 쓸쓸함
   거기서 알 수 없는 비가 내리지
   내려서 적셔주는 가여운 평화 
                                  - 최승자/ <사랑하는 손>

방금 검색창에다 '존재의 쓸쓸함'이라고 쳐서 찾아낸 시예요.
'열 손가락에 걸리는 존재의 쓸쓸함'
참 좋은 구절이네요. 그 표현의 적당함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런 쓸쓸함이 나를 포함한 누군가의 시선에 발견되고 공감받는 대상이 된다는 사실이 뭉클합니다. 세상의 변방에서, 혹은 버림받은 너머의 경계에서 몇 마디 중얼거린 흔적으로서의 시. 그 작품을 역시 시인과 같은 경계선에서 불안해진 독자가 찾아읽게 되는 인연이란.

'알 수 없는'이라는 수식도 좋습니다. 이름 붙이기 어려운 관계 속에서, 사람들은 이것저것 다 알 수 없기 마련이죠. 그 알 수 없음의 불확실함에 확연히 대비되는 몸의 감각이 손가락인 거고요. 그러니까 손가락은 몸의 감각이면서도 투명하게 존재론적인 감각인 거군요. 흠.
 
3. "Ich bin traurig, weil ich auf einmal nicht weiss, wer ich bin. Aber gott sei dank weiss ich noch, was ich sein sollte."

통화를 끝내며  dpf이 굿나잇 인사 뒤에 맥락없이 덧붙인 말이에요.  전하고 싶지만 웬지 입 밖에 내놓기가 망설여지는 말일 때만 그는 제게 또박또박 독일어를 사용하곤 합니다. 설마 그 뉘앙스의 섬세한 결을 제가 알아듣지 못할 거라고 생각해서 그러는 건지 뭔지.
전화를 끊고 잠언 같은 그 말을 메모지에 옮겨봤어요.
"슬프다. 갑자기 내가 누구인지 모르겠어서. 하지만 다행이라면 내가 무엇이어야 하는지는 알고 있다고나 할까."
슬프다는 뜻의 'traurig'에서 진한 포도색의 어둠과 차가움 그리고  습한 기운이 느껴집니다. 포도송이를 뜻하는 단어가 '트라우벤'이어설까요.

다소 애매한 구분인데, 말/글이 갖는 선명성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내가 '그'를 잘 이해할 수 있는 의미의 선명성이고, 다른 하나는 내가 지니고 있는 감정이나 생각까지 비로소 이해하게 되는 공명의 선명성입니다. 공명의 여지가 전혀 없는 일방적인 이해라는 게 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선명성의 성격은 좀 다른 것이죠. '네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잘 알겠어'와 '그래 맞아, 그런 거였지'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 그러니 dpf? 그렇다면 낯선 땅을 떠돌며 살던 시절 내가 만들어 뒀던 <슬픔의 방>으로 들어오렴. 거기서 하룻밤 묵고 떠나거라. 따뜻한 담요 같을 거야. 내일 아침이면 그 방 창문에서 푸른 숲이 내다보일 거다. 내 말을 믿어도 된단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