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점에 작년 씨네21이 있길래 봤는데, 라스 폰 트리에 나치발언 기사가 있더라고요.

작년에 국내기사로 짧게 접했었는데, 전문으로 보니 뭔가 웃기네요;

 

 

 

(작년 칸에서의, <멜랑콜리아> 상영후 기자회견 중..)

 

기자1 : 독일계라고 들었다. 덴마크 영화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당신이 독일계라는 사실과 함께 나치 미학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고 말했는데. 이에 대해 더 이야기해달라.

 

라스 폰 트리에 : 난 내가 오랫동안 유대인인 줄 알았다. 그리고 유대인이라는 사실에 매우 행복했다.

그 다음에는 수잔느 비에르(유대계 덴마크 감독)가 등장하고 나서는, 더이상 유대인이라는 사실이 행복하지 않았다. 아, 아니다, 농담이었다. 죄송하다. (일동 웃음)

아무튼 난 유대인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내가 유대인이었다고 하더라도 일종의 2류 유대인이었을 거다. 유대인 사이에는 일종의 위계 같은 게 있다고 하더라.

난 진짜 유대인이고 싶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난 나치였던 거다. 내가 하트만이라는 성을 가진 독일 가족 출신이니까 말이다.

그러한 사실도 나에게 일종의 기쁨을 주더라. 뭐라고 할까? 난 히틀러를 이해한다.

하지만 그가 분명 잘못한 일들이 있다고도 생각한다. 그래도 그가 마지막에 벙커에 앉아있는 모습이 머리에 그려진다.

 

(옆에 있던) 커스틴 던스트 : 오 마이 갓. 끔찍하다.

 

라스 폰 트리에 : 아니, 이야기가 끝나면 뭔 소리인지 알게 될 거다.

난 히틀러라는 사람이 이해가 된다. 그가 우리가 말하는 좋은 사람은 아니지만, 그에 대해 많은 걸 이해할 수 있고, 그에 대해 조금은 측은함이 든다.

아니 아니. 난 2차대전을 옹호하지 않는다.

유대인들을 적으로 생각하지도 않는다. (혼잣말로 중얼 '수잔느 비에르') 아니, 수잔느 비에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도 농담이었다.

난 유대인을 매우 좋아한다. 아니 너무 많이는 아니고. 왜냐하면 이스라엘은 짜증나는 존재니깐… 그래도…

아… 이 이야기에서 어떻게 벗어나면 되나?

 

진행자 : 다음 질문으로 빠져나가면 된다. 그게 당신의 구원의 길이다.

 

라스 폰 트리에 : 아 아니, 내가 얘기하고 싶은 것은 (나치의) 예술에 대한…

난 알베르트 스페르(독일 건축가. 히틀러의 메인 건축가이자 장관 역임. 전후 전범 재판에서 나치의 잘못을 인정하고, 자신의 책임을 인정한 사람)를 좋아한다.

그는 신의 최고의 아이들 중 하나이기도 했다. 재능이 많아서 그 재능을 사용할 수도 있었던 것이고…

아… 알았다. 난 나치다. (웃음)

 

기자2 : <멜랑콜리아>를  할리우드 블록버스터급으로 생각하나? 그렇지 않다면 이보다 더 큰 스케일의 영화를 만들 야망이 있나.

 

라스 폰 트리에 : 더 큰 스케일? 그렇다. 우리 나치는 항상 더 큰 스케일로 하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다.

어쩌면 당신이 내가 기자들에 대해 '최종해결'(Final Solution, 히틀러 시대 유대인 인종학살계획에 붙여졌던 이름)을 하도록 설득시킬 수도 있을 거다…. 휴…

 

(기자회견 종료.)

 

 

 

-------------------------------------------------------------------------------------------

참고로 라스 폰 트리에는 자신의 친부가 독일인이라는 것을 30대 중반에 알았다고 합니다.

자기를 키워준 아버지(유태인)를 생부로 알았다가, 어머니가 직장상사와의 간통(아마도..)으로 자기를 낳았다는 걸 나중에야 알게 된 거.

그래서 저기서 '난 유태인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고 하는 걸 거예요.

암튼 윗얘기들은 진담+농담이 섞인 코멘트였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라스 폰 트리에의 심리의 궤적(독일인의 아들이라는 정체성을 발견한 후의) 같은게 슬쩍 엿보이기도 하고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