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그 해설 대부분이 좋은 얘기입니다.


좋은 얘기가 실린건 그렇다칩시다. 해설에 비판하는 게 실리면 이상하겠죠.


근데 뭔가 팟 하고 오는 해설은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이건 근 15년간의 이야기입니다. 그전은 잘 기억도 안나서 모르지만요. 한국문학전집 뒤에 실린 평론 정도 봤던것 같은데요.



다카하시 겐이치로의 존 레논 대 화성인 같은 경우 뒤의 해설을 이해하기는 쉽습니다.


전공투 어쩌고 저쩌고, 아 해설 쓴 사람이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알기 쉽게 말해줍니다.


나스 키노코의 공의 경계(장르소설) 해설도 뭐 많이 부풀려서 좋게 표현해주는것 같긴한데 뭔소린지는 알아먹겠습니다.



근데 한국소설 뒤에 나오는 해설은 대체로 못알아먹겠어요.


장르소설의 경우는 다르지만요.


제가 무식한 탓이 있습니다. 그런데 박상륭이나 제임스 조이스 소설 같은거 빼면 대충 읽어요.



재미없는 소설을 읽고 나서 해설에 뭐라하나 볼까하면


어려워요. 뭐야 꽤 의미부여하는데 공회전 하는 느낌입니다.


아 모르겠다 하고 넘어가길 수차례



이게 제가 근 15년간 한국소설의 해설에 가지는 이미지입니다.


그래 이 소설 뭐 좋은거라는데, 난 잘 모르겠네 하고 해설을 보면 좋은거라는 소린줄은 알겠지만


뭔소릴 하는지 모르고 저만 붕 뜹니다.



1차적으론 제 지식의 부족함 때문일거고


다른 건 모르겠어요.


정성일의 평론도 읽다보면 재밌어지던데요. 정성일의 그 꼬장꼬장함이 좋습니다.


뭔소린지 확실히 이해는 안가도 이사람 분명하구나 하는 신뢰감이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