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옛날 옛날 한 옛날에 클럽에서 칵테일을 서빙하던 젊고 아름다운 여자가 있었습니다. 이 클럽의 고객 중에서는 UC Davis의 생물학과 교수 두 명이 있었죠. 이 교수들은 동물의 모방행위에 대해 토론했는데, 웨이트리스는 교수에게 재미있는 질문을 던집니다. "왜 스컹크를 모방하는 동물들이 없죠?" 이 질문에 교수는 깜짝 놀라게 되고, 9개월동안 이 웨이트리스에게 논문을 갖다주며 읽어보라고 하고 지적인 자극을 줍니다. 이 여성은 스물일곱살 (한국 나이 스물여덟)의 나이에 UC Davis에서 학부를 시작합니다. 2년만에 학부를 마치고, 3년만에 석박사를 마칩니다. 


이 사람은 첫번째 논문을 쓸 때, 기존의 방식대로 수동태로 쓰지 않고 능동태 (I took the steps)로 썼습니다. 이게 문제가 되어 저널 편집자가 논문을 고쳐오라고 합니다. 공저자도 붙이고 추가 분석을 해오라고 하지요. 이 사람은 그래서 자기 개를 공저자로 넣고 기고를 해버립니다. 원래 이 개에게는 성이 없었는데 출간을 위해 성도 붙여줍니다. 이게 출판이 됐어요. 사실이 밝혀지자 저널 에디터는 불같이 화를 내고 논문 출판취소를 합니다. 이 에디터가 죽을 때까지 이 사람은 그 저널에서 출판 금지되었습니다. 


재즈뮤지션, 플레이보이 클럽 바니걸, 개 훈련 전문가, 랩 테크니션, 웨이트리스,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면역학 대가 (division Chief). 폴리 맷징어 (Polly Matzinger) 박사입니다. 


http://www.nytimes.com/1998/06/16/science/conversation-with-polly-matzinger-blazing-unconventional-trail-new-theory.html


맷징어 박사의 연구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는 여기 링크에 있습니다. 주요 내용 발췌. 


Matzinger believes that bringing a female point of view to a field dominated by men since its inception has helped her uncover inadequacies in conventional theories. "At college I was taught the 'self/non-self' model of the immune system," she says. "I had some problems with the model and started asking questions."


The self/non-self hypothesis is based on the idea that, after a "training" period in infancy in which the immune system learns the concept of "self", our immune cells attack anything they perceive as foreign, that is, "non-self". But Matzinger felt that the model didn't square with her day-to-day experience of how the body behaves and concluded that it must be incomplete.


One of the biggest flaws was the model's prediction that the immune system of a pregnant woman should reject the foetus given that it clearly expresses characters inherited from the father, which are not part of the mother's make up. Because this prediction is patently wrong, Matzinger felt there was a strong case for revising a model that had prevailed since the 1950s. But her desire for change did not always meet with approval. "What can happen in science is that people get stuck in a paradigm," she says. "In this case, the people who were stuck happened to be male."


Rather than scrapping the self/non-self model, many immunologists took a "Mohammed and the mountain" stance, revising their view of everyday biology to make it comply with their views. Matzinger describes how one of her colleagues "in his Oxford-educated male arrogance" could not imagine that his model might be wrong and suggested instead tha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female physiology. He wrote that foetuses immunosuppress their mothers and that is why they are not rejected. As Matzinger pointed out: "This is dumb. Didn't he notice that pregnant women don't have to walk around in bubbles? They're not sick like Aids patients!"


After being silenced temporarily by her professors as a student, Matzinger revisited the problem some years later and came up with the danger model. This argues that, rather than responding to anything that is "non-self", the immune system responds to things that are "dangerous". The danger model has provided new explanations for maternal/foetal immunity, autoimmunity and the ways the immune system adapts to changes such as organ transplants and the hormones released during puberty.


흥미로운 질문을 던지는 웨이트리스를 그냥 넘기지 않고, 논문을 가져다주며 과학자가 되라고 설득했던 교수는 로버트 슈왑 (Robert Schwab) 박사. 맷징어 박사가 "I owe that man a life" (내 인생은 그 사람 덕분이예요) 라고 인터뷰에서 말한 그 교수입니다. 


2. 몇년 전, 컬럼비아 대학, 뉴욕대학, 유펜에는 세 명의 여자들이 전 미국 교수들을 상대로 그들의 편견을 드러낼 실험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이 여자들은 여자들이었기에 여자이름을 갖고 있었고, 컬럼비아 대학의 여자는 심지어 흑인여자의 이름을 갖고 있었죠. 이 사람들은 전 미국의 교수 6천명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나는 ____ 인데 당신의 연구에 관심이 있다, 나와 10분만 만나줄 수 있겠냐 하고 묻습니다. 이름은 여자/남자, 아시안, 히스패닉, 흑인, 백인, 백인 남자등 여러가지 조합을 섞어서 보냈죠. 거의 모든 전공의 교수들이 백인 남자들에게 더 우호적으로 답장을 보냈습니다. 순수예술만이 예외였죠. 놀라운 것은, 모델 마이너리티 (모범적인 소수)로 일컬어지는 아시안 조차도 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메일 답신률로 미루어보았을 때, 백인 남자와 비교해서 가장 차별을 당하는 건 중국인 여성이었고, 그 다음으로 차별당하는 건 인도인 남성, 그 다음으로 차별당하는 건 인도인 여성이었습니다. 


https://www.insidehighered.com/news/2014/04/24/study-finds-faculty-members-are-more-likely-respond-white-males-others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063742


3. 미국 내에서 차별당하는 아시안 (특히 남자)과 관련하여 연구하고 계시는 분이 캔자스 대학의 김창환 교수인데, 이 분이 블로그에서 중요한 말씀을 하셨네요. 


"내가 생각하는 한국의 주요 당면 과제들

1. 노인 빈곤

2. 여성 차별

3. 노동 시장 내 불평등 (각주: 정규직과 비정규직)

4. 청년 기회 부족"


"앞으로 페미니즘은 강해질 수 밖에 없음. 교육받은 여성은 많은데,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고, 여성 차별은 심한 국가. 여성의 자각과 저항이 없으면 그게 이상한 것. 

민주당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 인상 주장은 매우 잘 한 것. 노인 문제에 정책적으로 잘 대응했 듯, 여성 문제도 좀 더 친화적으로 대응해야. "


http://sovidence.tistory.com/670


이건 결코 뜬구름 잡는 소리가 아니고 민주당이 뼈에 새기고 나가야할 4대정책입니다. 이 문제를 치고 나가야 새정련(민주당)에 미래가 있다고 봅니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