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 사장의 이메일

 

2010년 정태영 현대카드 사장이 한 고등학생과 이메일을 주고 받습니다. 관련 기사  정태영 사장이 쓴 답신에 보면 학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건 반대다, "문학, 역사, 경제학, 수학, 물리학, 공학 등 조금 더 기초적인 학문을 전공해서 자신의 세계를 깊고 넓게 열어 놓으라고 권하고 싶"다. "저 자신도 불문학을 전공했고 지금 대학에 다니는 두 딸도 학부에서 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있고 저는 그런 선택에 매우 기뻐하고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당시에 이 내용을 읽고 아 이 답변은 약간 위험한데... 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나네요. 왜냐하면 불문학, 문학, 사회학을 공부하는 건 부의 징후이지 그게 부의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했거든요. 참고로 조언을 받은 학생은 2013년 한국외국어대 국제통상학과에 입학했다고 조선일보는 전하네요. 


오병돈 - 김창환 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에 오병돈 - 김창환 교수의 연구가 실렸습니다. 연구 내용 요약하면 (1) (미국에서) 대학이 태어난 계급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2) 대학원으로 인해서 계급 재생산이 일어난다는 겁니다. 이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김창환 교수가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1) 하나는 대학원도 다 같은 대학원이 아니라는 것. 석사와 박사가 다르고, MBA나 의대 같은 프로페셔널 스쿨이 다름. 고소득층 자녀일수록 석사보다는 박사와 프로페셔널 스쿨에 많이 진학.  이를 수직적 계층화(Vertical stratification)로 명명. 


(2) 다른 하나는 전공 선택. 고소득층 자녀들은 학부에서는 인문학이나 순수자연과학 등 돈안되는 전공을 선택하고, 대학원에서는 공대, 의대, 경영 등 노동시장 보상이 높은 전공을 선택. 이를 수평적 계층화 (horizontal stratification)로 명명. 

이 때문에 학부 전공을 제대로 통제하면 대학졸업자 중에서도 노동시장에서 부모의 영향력이 나타남. 과거에 대학 진학 후 부모의 영향력이 없어보였던 이유는 저소득층은 돈되는 전공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고소득층은 그러한 미래의 재정적 압박에서 자유로워서 인문학을 전공했기 때문 (미국에서 인문학은 고소득층 덕분에 유지 ㅠㅠ). 같은 전공자 내에서는 돈많은 부모를 둔 자녀의 소득이 여전히 높음.


(3) 마지막은 연령. 고소득층 자녀는 학위를 일찍 따는데, 저소득층 자녀는 알바 등을 뛰기 때문에 학위 취득에 시간이 더 걸림. 그래서 같은 연령이면 고소득층 자녀의 노동시장 경력이 저소득층 자녀를 앞섬. 이 마지막 기제는 이 전 연구에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내용.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대학원 중에서 MBA는 오히려 부모 계층의 영향력이 없다는 것. 이는 많은 MBA 진학자들이 이미 회사에서 한 번 능력을 검증받아서 선택편향효과가 크게 때문일 것으로 보임. 


출처  (강조는 제가) 


나심 탈렙은 예전부터, 부자들이 인문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당신도 그렇게 따라서 하면 안된다. 그들은 돈이 있으니까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런 이야기를 합니다. 돈이 있어서 할 수 있는 행동을 보고 그게 부자가 되는 비결이려니 하고 생각하면 안된다는 거죠. 계급상승을 하고 싶은 저소득층이라면 학부전공을 선택할 때 유의하라는 함의가 있죠. 쉽게 말해서 대학 전공은 인문계를 피하고, MBA는 회사 돈을 받아서 가고, 대학원을 간다면 박사/로스쿨/메디컬 스쿨을 가되, 학위 취득 시간을 최대한 줄인다. 이런 전략을 취해야한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미국 상황에서). 


남미 같은 경우를 보면 유치원-고등학교 교육까지는 교육의 질적 차별을 통해서 계급 재생산을 하려고 합니다. 미국도 마찬가지구요. 미국은 K-12 뿐 아니라 대학 교육도 양보다는 질적 차별을 해서 계급 재생산을 하려고 하죠. 그런데 이 경우에는 질적 차별이 아니라 교육의 양적 차별을 통한 불평등 유지 역시 존재한다는 걸 보여준 연구네요. 이 경우 저소득층이라면 어떤 전략을 취해야할지 떠오르난 바들이 있겠지요. 사실 몇가지 더 중요한 함의가 있는 연구인데 몸이 안좋아서 코멘트를 하기 어렵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481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337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1720
123365 디아블로 4 짧은 감상 [5] Lunagazer 2023.06.05 338
123364 프레임드 #451 [4] Lunagazer 2023.06.05 95
123363 '코브라'를 겨우 읽고. [10] thoma 2023.06.05 323
123362 술 마시는 꿈 [1] catgotmy 2023.06.05 142
123361 Sade Diamond Life (1984) [4] catgotmy 2023.06.05 114
123360 [만화책바낭] 타카하시 루미코의 '마오' 1~14권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06.05 524
123359 프레임드 #450 [4] Lunagazer 2023.06.04 106
123358 이 티 입고 다니면 쳐다볼까요 [6] 가끔영화 2023.06.04 618
123357 외롭지는 않고 한가합니다 [2] 가끔영화 2023.06.04 267
123356 레트로튠-세월이 지나 같은 곡 같은 다른 곡 [3] theforce 2023.06.03 222
123355 프레임드 #449 [4] Lunagazer 2023.06.03 110
123354 [영화바낭] 정말로 스포일러 없는 '스크림6' 간단 잡담 [12] 로이배티 2023.06.03 462
123353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Back to Basics (2006) [1] catgotmy 2023.06.03 186
123352 [애플티비] 아주 건전한 미국맛 코믹 드라마, '운명을 읽는 기계' 시즌 1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6.02 724
123351 주말에 읽을 책들 [2] thoma 2023.06.02 325
123350 프레임드 #448 [4] Lunagazer 2023.06.02 110
123349 외모를 버린 레알 마드리드에 미남이 오려나요 [20] daviddain 2023.06.02 708
123348 그리즈만이 7월에 한국 오네요+이강인 [9] daviddain 2023.06.02 245
123347 아리아나 그란데 K Bye for Now (SWT Live) (2019) [1] catgotmy 2023.06.02 175
123346 나의 업무해방일지, 요즘 들은 아이돌 노래(걸그룹, 보이그룹 조금) 외 신곡 1 [2] 예상수 2023.06.02 2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