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이 글을 쓰는 동기가 된 것이 순례님의 몇개 게시글이지만 순례님이 없는 자리에서 뒷담화를 하려는 의도는 아니란 점을 밝혀드립니다.

순례님이 듀게에 올린 몇개의 게시물을 보면 대부분의 현대영화 거장들의 작품이 영화형식적인 면에서 빈약하거나 엉터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http://djuna.cine21.com/xe/?mid=board&search_keyword=%EC%88%9C%EB%A1%80&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4062532 <-- 일단 듀게의 이 게시물을 보면 일단 데이빗 린치의 작품 멀홀랜드 드라이브 일부 장면을 분석하면서 이 작품이 얼마나 허술하게 구성되었는지 비판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거의 유령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모 영화 카페를 어제 들어갔다가 우연히 순례님의 글을 발견했어요. 여러가지 정황과 글 쓰는 스타일로 봐서 거의 순례님의 글이라 판단되는데 거기선 구로사와 아키라의 7인의 사무라이가 처절하게 비판받고 있더군요. 영화형식에 대해서 전혀 공부한 바가 없기 때문에 일단 순례님의 분석이 다 맞다고 전제했을때 한가지 의문이 들더군요.

왜 최근의 영화 거장들은 고전영화 문법을 적용해서 영화를 만들고 있지 않을까? 순례님의 말대로 그게 영화를 구성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면 왜 그걸 적용하지 않는것일까 하는 의문이었어요. 그래서 몇가지 가능성을 도출해 봤죠.

 

1. 현대 영화를 만드는 감독들이 대체로 안이하고 게을러서

 

2. 현대 영화를 만드는 감독들의 기량들이 수십년 전보다 현격하게 떨어져서

 

3. 고전영화 문법을 현대 관객들이 수용하기 어려워서

 

 

먼저 첫번째 가능성입니다. 이건 위에 링크된 순례님의 글에서도 약간 언급이 되긴 했지만 요즘 영화감독들이 안이하고 게을러서 대충 대충 컷을 구성해서 만든다는 가정입니다. 하지만 이거 납득이 잘 안가요. 일부 젊은 감독들이 그렇다는건 이해가 가지만 통상 우리가 거장이라고 부르는 감독들조차 대충 대충 영화를 만들어 내논다는건 쉽게 받아들이기가 어려워요. 과거보다 좀 못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도 치열한 작가정신으로 작품을 만드는 감독들은 있거든요.

 

두번째 가능성인데요, 극단적으로 말하면 최근 영화감독들이 바보라는 얘깁니다. 하지만 이 부분도 쉽게 이해가 안 가는건 마찬가집니다. 최근에 영화에 입문하는 젊은 영화작가라면 몰라도 적어도 중견 감독들이라면 누구나 순례님이 언급한 고전영화들을 어린 시절 보면서 영화의 꿈을 키워 왔어요. 그걸 모를리가 없지 않을까요? 고전영화가 만들어지던 시절과 비교했을 때 물리적으로 훨씬 많은 영화작가들이 활동을 하는데 그 중에 역량있는 사람이 단 한명도 없다는건 믿기가 어려워요.

 

세번째 가능성입니다. 이것도 순례님 글에 약간 비쳐졌는데 그 당시 문법에 충실하게 영화를 만든다고 해서 관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가정입니다. 그러니까 감독들은 그렇게 만들 능력이 되지만 대중들 눈높이에 맞춰 대강 영화가 만들어진다는거죠. 잉마르 베르히만 같은 작가들의 영화라면 그럴수도 있겠지만 존 포드 같은 경우는 상당히 통속적인 작품들을 많이 내놨거든요. 그리고 실제로 흥행도 잘 되었고요. 대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내러티브 구조만 갖춰진다면 적용 못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그렇다면 마지막 의심이 듭니다. 혹시 고전영화 시대에 효과적이라고 여겨졌던 연출기법이 현대에 와선 반드시 그렇게 효과적이지만은 않다고 판단하는 무엇인가 있지 않겠냐하는 의심이죠. 물론 미학적으로 아직 체계화되진 않았지만 말이죠. 존 포드가 영화를 연출할 당시에도 견고한 미학체계를 염두에 두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존 포드 자신은 천부적 감각으로 자연스럽게 만들었던 것을 후세의 학자들이 해석을 하고 미학 개념을 구축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혼란스럽고, 잘 모르겠어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