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과 매매춘 합법화

2011.05.26 10:57

겨자 조회 수:1677

hubris님이 쓴 첫번째 글 - "낙태와 마약, 성매매와 장기매매에 대한 경제학적 생각"을 읽고 씁니다.


성매매에 대한 hubris님의 글은 이해가 갑니다. 그리고 어떤 이유로 인해 그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는지도 납득됩니다. 파는 자와 사는 자 둘 다에게 효용이 증가하는 산업이라는 것 기술만으로도 충분히 대중들의 시각이 달라질 만 합니다. 제 눈길을 잡아끈 것은, "성매매를 반대하는 논거중에 가장 빈약한 것은 가족 중에 누군가가 성매매를 해도 너는 찬성하겠냐, 라는 겁니다. 제 대답은 단순합니다. 가격이 문제라고. 아무도 모르게 하룻밤에 1조라면, 와이 낫?"이라는 사족입니다.


트레이더로서의 hubris님의 입장은 잘 알았습니다. 그런데, 제가 궁금한 것은 기독교인으로서의 hubris님은 성매매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느냐입니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가족의 성매매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는가가 궁금합니다. 제 기억에 hubris님은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비효율적인 무상급식시스템에 대해서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코멘트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에는 효율성만을 부각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hubris님은 블로그에서 서 믿음belief와 신앙faith의 차이를 설파한 책을 번역해 올린 적이 있습니다.


사실, 많은 사람들에게 신앙(faith)과 믿음(belief)은 한 사물에 대한 두 가지 단어를 의미할 뿐일 겁니다. 그러나, 그들의 의미는 같지 않습니다. 그리고, 지금 진행중인 종교적 격변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둘 사이를 잘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앙(faith)은 강철같은 확신의 문제입니다. 매일의 삶에서, 우리는 확신의 여부를 우리가 믿는 사람들 혹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의 문제에 적용합니다. 이것은 신학자인 폴 틸리히(1886-1965)가 "궁극적 실재"(ultimate concern)이라고 불렀던 것이고, 히브루인들이 "핵심"(heart)이라고 불렀던 문제입니다.


한편 믿음(belief)은 의견(opinion)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불확실성의 정도를 말로 표현합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는데, 그렇지만, 나는 그럴 수 있다고 믿어"라고 말하죠. 믿음은 가벼운 수준으로 가질 수도 있고 감정적인 차원에서 가질 수도 있지만, 믿음은 존재론적이라기 보다는 주장에 가깝습니다. 우리는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어떤 것이 사실이라고 믿을 수 있습니다만, 어떤 것을 신앙할 때는 우리가 사는 데 큰 의미를 갖게 됩니다.


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 신앙은 그 사람을 규정합니다. 목숨이 위태로와도 지키는 게 신앙faith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린도 전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희 몸이 그리스도의 지체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내가 그리스도의 지체를 가지고 창기의 지체를 만들겠느냐. 결코 그럴 수 없느니라.

창기와 합하는 자는 저와 한 몸인 줄을 알지 못하느냐. 일렀으되 둘이 한 육체가 된다 하셨나니 주와 합하는 자는 한 영이니라.


그리고 요한계시록은 음행한 자는 성안에 들어올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기독교인의 가치를 받아들일 수는 없지만, 자신을 기독교인이라고 선언한 사람이라면 그 성경말씀에 순종해야합니다. 1조가 아니라 세상을 전부 살 수 있는 금전이라 해도 성매매는 성매매입니다. 악마는 광야에서 천하 만국을 예수에게 보여주며 내게 엎드려 경배하면 이 모든 것을 네게 주리라 했습니다. 그 액수가 조이기 때문에, 경이기 때문에 한 번 엎드렸던 것이라고 예수가 성부에게 변명할 수 있었을까요?  가격이 충분히 높다면, 나의 가족도 매춘을 할 수 있다고, hubris님은 기독교인으로서 자기를 신 앞에서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읽는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hubris님이 쓰신 글 셋을 링크합니다.


낙태와 마약, 성매매와 장기매매에 대한 경제학적 생각

왜 우리는 도덕적 판단을 넘어서는 사고를 해야하는가?

사회적 사안에 대해서 경제학적 고려가 필요한 이유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