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끼건데 2000년대 이후 발표된 한국 문학에 대한 일종의 폄훼 분위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평론가 조영일이나 이명원의 비판이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겠고 얼마전에는 트위터에서 "인생을 망치고 싶으면 2000년대 이후 한국 소설을 읽으면 되지요. 추천작 강남몽, 구월의 이틀, 내 아름다운 정원."이라는 멘션까지 봤네요. (이 멘션 쓰신 분이 영화쪽 일 하시는 분 같더군요.)


솔직히 말하자면 저 개인적으로도 90년대에도 꾸준했으나 2000년대 이후에도 전성기를 구가한 작가들(예 - 은희경, 김영하, 신경숙, 공지영 등)은 물론 2000년대 이후에 등단한 문단 작가들의 작품들이 과거의 작가들(예 - 이문열, 최인훈, 최인호, 김승옥 등)의 젊은 시절에 비교해볼 때 훨씬 못하다고는 느낍니다.


그런데 주류 문단이 똘똘 뭉쳐 배타적인 문학 게토를 형성한다는 식의 비판이나 2000년대 이후 한국 소설은 다 쓰레기 식의 비판이라기고 부르기에 무리한 폄훼에는 동의를 못하겠네요. 2000년대 이후 한국 영화의 약진을 이야기하고 있고 저 역시도 그렇게 느끼지만 과연 동시대 한국 영화의 성취에 비해 한국 문학이 쓰레기라고 폄하되는 것은 물론 인생을 망치는 매개체로 까지 언급될 정도인가 모르겠네요.


동시대 한국 영화들 처럼 국제적인 명성을 얻지 못했을 뿐이지 2000년대 이후 한국 문학의 성취도 그에 못지 않다고 봅니다. 2000년대 한국 문학이 죄다 형편없다니? 영화계에서 호평 받았던 윤성현의 [파수꾼]이나 장철수의 [김봉남 살인사건의 전말] 정도의 성취를 이룬 동시대 한국 문학이 정말 단 한 편도 없다고 생각하는 것인지...신형철 평론가처럼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다 칭찬할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히 좋은 작품들이 많아요.


저 개인적으로는 황정은의 [百의 그림자], 편혜영의 [재와 빨강], 김연수의 [밤은 노래한다], 김언의 [소설을 쓰자] 등은 참 감탄하며 읽었었습니다. (하기사 조영일 평론가는 김연수가 글을 너무 못 쓴다고 까더군요.)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