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가 있을 수 있어요.




1.

기생충은 칸느 황금종려상 수상작이라는 것만 빼면? 쌔끈하게 아주 잘 만든 봉준호표 상업영화였어요.  

다 보고 나서 인상적인 장면 하나 안 남는 아주 친절하고 부드러운...

몇몇 캐릭터들을 ‘기성품’으로 쉽게 쉽게 만들어 내 놓은게 조금 거슬리긴 하더군요.

여성 캐릭터들 대부분이 그런데, 박소담이 연기한 캐릭터가 가장 심했어요.  

박소담은 인생 연기를 펼쳤지만  감독이 너무 건성으로 캐릭터를 만들어 갔다 쓰고는 죽여 버리네요. 

그나마 다 보고 나서 명치끝에서 걸리적 거리며 남는게 하나 있다면 이선균의 연기에요.  

경계에서 아슬아슬 쓰레기스러움을 보여주는 저걸 어떤 배우가 또 가능할지 금방 떠 올려지지가 않더군요.


이 영화를 본 지인들이 이구동성 “도대체 왜 때문에 상을 준거지?” 

영화 자체보다는 1세계의 영화인들이 이 영화에 굳이 황금종려상을 준 이유가 이야깃거리가 되는 영화


제 의견은 ‘한국사회의 빈곤, 계층갈등, 혐오 등에 대한 얄팍하고  납작해 보이기만한  여러 장면들과 상징들이 ‘그’들에게는 

꽤 유니크하고 충격적일지도 모르지’ 입니다.  그냥 그래야 이해가 되요.



2. 

미카엘 하네케의 ‘해피엔드’ 는 2017년 칸느 경쟁부분에 진출했지만 수상은 못한 영화에요.


그런데 기생충과는 달리 영화를 다 보고 나서 꽤 오랫동안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하게 만들고 수다를 떨게 만드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서 어떤 장면들은 봉준호가 보고 영향을 받은게 아닌가 싶은 장면도 있었어요.

예를 들면  집안일을 하는 젊은 가족이 있는데 그 중 남자 도우미가 주인집 큰 딸에게 ‘사적인’  안부를 전하는 장면이 그래요.


거장의 영화답게 뭐 하나 버릴게 없는 장면들로만 꽉 채워진 영화라  영화가 순식간에 달리다가 끝난 느낌이 들 정도에요.

특히 마지막 시퀀스는 너무 압도적이에요.  뻔한 표현이지만 드럼통만한 망치로 뒷통수를 얻어 맞은거 같아요.


‘기생충’에 비하면 너무 불친절한 영화지만 더 복잡하고 다양하며 중요한 문제들을 던지고 있어요.

소통의 부재? 왜곡을 드러내고 있지만 얼핏 ‘소통’ 따위, ‘사랑’  그 따위가 아니라 ‘보육원’에 보내지 않기만 하면 만사 ㅇㅋ 

소통이라는 것은 결국 욕망의 교집합에서만 의미 있는 것이라던가 


자존감의 부족을 ‘입진보’짓을 통해 가족을 공격하는 것으로 채우는 아들이 있는데 제노 포비아에 맞선 투사 시늉을 하지만

손가락 하나 부러지고 바로 아닥하는 장면은 거 참;



3. 

신세기 에반게리온 정주행을 시작했는데  재미 있게 보고 있지만 첫 장면이 계속 머리 속을 빙빙 돕니다.

‘2015년’.... 이 애니가 설정한 시간배경이 2015년입니다.

이미 4년전이네요. 


그리고

이 애니를 20대에 처음 보았을 때는 잘 몰랐는데 지금은 주인공 아이들의 나이, 14살이라는 나이가 계속 눈에 밟히더군요.

사실 이런 거대로봇 만화영화 조종사들이 대부분 소년,소녀 들이었는데 그게 실은 얼마나 끔찍한건지;;

그걸 보여주고 다룬 것만으로도 이 애니는 충분히 레전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다시 봐도 참 감탄스러운 멋진 장면들은 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