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그림은 이탈리아 화가 안드레이 만테냐의 (1490)라는 그림입니다. 그는 한국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화가는 아니지만 단일한 사물에 원근법을 적용하는 단축법을 고안해낸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러한 단축법이 아주 잘 드러난 대표작으로 흔히 꼽히는 것이 바로 위의 이죠.



예수를 묘사함에 있어서 저러한 극단적인 구도는 물론 신성을 제거한 듯한 담백한 묘사는 손발에 난 상처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다면 그가 예수가 아니라 어디서나 흔히 볼법한 필부가 아닌가 하고 착각할 정도입니다. 그러나 후광이나 과장된 몸짓과 표정을 제거함으로써 극적인 효과를 배제시킨 이 그림이 오히려 '낮은 데로 임한' 예수의 숭고함을 가장 감동적으로 묘사하고 있지 않나 합니다. 이 그림은 어찌보면 만테냐의 우리 곁에 있는 신에 대한 내밀한 기도인 셈이죠.



이 그림이 죽음을 묘사하는 외적 방식과 그 종교적 아우라는 후대 작품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리고 그 중 한 사람이 네덜란드의 화가 렘브란트였습니다.








위 작품은 <요하네스 다이만 박사의 해부학 강의>라는 작품입니다. 렘브란트의 작품 중 유명한 것은 <툴프 교수의 해부학 강의>인데 그 작품 이후 20년이 훌쩍 지나서 경제적 위기를 겪을 때 의뢰로 그린 두 번째 해부학 강의 그림이죠.


위의 부분은 화재로 3/4이 소실되고 정상적으로 남은 부분인데 이 그림의 일부분에서 우리는 만테냐의 <죽은 그리스도>의 영향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렘브란트는 만테냐의 작품을 소장하기도 했고요. 그러나 위 작품에서 느껴지는 영향은 외적인 부분에 국한됩니다. 시체를 하나의 물건처럼 취급했던 당대의 시선과 두개골을 들고 있는 사람의 표정을 볼 때 단축법으로 그려진 시체에서 만테냐의 원본에 있던 성스러움을 느끼기는 어렵습니다.







만테냐의 그림은 2003년에 러시아 감독 즈비아긴체프의 영화 에서 다시 한 번 재현됩니다. 12년만에 돌아온 아버지와 두 아들의 이야기인 은 마치 타르코프스키의 영화를 연상시키는 종교적 메타포로 가득차 있습니다. 여기서 즈비아긴체프는 초반에 잠든 아버지의 모습을 만테냐의 와 똑같은 구도로 포착합니다. 감독은 만테냐의 그림을 빌려온 이 장면을 파멸적 결말에 대한 복선으로 활용합니다.



만테냐의 영향력은 여기서 멈추지 않습니다.








얼마전에 공개된 신정환의 병원 입원 장면입니다. 지금까지 병원에 입원한 유명인들의 사진은 저렇게 전신을 담아내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대다수가 자신의 고통을 강조하기 위해 얼굴 표정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바스트 샷이나 클로즈 업 정도가 일반적이었죠. 신정환의 사진에서 그의 얼굴은 너무 작아 잘 보이지 않습니다. 자신의 고통을 대중에게 전달함으로써 공감을 얻어야 되는 대중 연예인이 저런 사진을 공개한다는 것은 자살 행위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나 골동품 수집을 취미로 갖고 있기도 하다는 예술적 감성의 신정환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무려 그는 병원에 누워있는 자신을 만테냐의 와 비슷한 구도로 찍은 것이죠. 이 구도를 통해 만테냐의 원본에 있는 필부와 희생양, 그리고 죽음이라는 메타포들을 모두 끌어옵니다. 신정환은 유명 연예인이지만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보통 사람이고, 언론에 의한 희생양이며, 생과 사의 경계에 서있다는 의미를 한 장의 사진에 모두 구현합니다.


예술 작품도 아닌 곳에서 만테냐의 그림을 차용함으로써 그 원본의 의미를 고스란히 가져오는데 성공한 신정환을 저는 우리 시대의 현대예술가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쾌차하시길.
출처 - 나매 미야비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1840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368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44692
8071 사랑할 때 이야기 하는 것들 [1] 감자쥬스 2010.09.19 2095
8070 [야구] '양신' 가시던 날 [2] soboo 2010.09.19 2494
8069 진심으로 믿을 수 있는 사람이 있기는 한가요? [9] 작은새 2010.09.19 4134
8068 지금 개콘, 남자의 자격 멤버들 분장실 강선생님 연기중. (냉무) [1] mithrandir 2010.09.19 2869
8067 일명 레전드인 뮤지션들이 지금의 아메리칸 아이돌 혹은 브리티쉬갓탤런트에 나왔다면 결과가 어땠을까요 [9] 토토랑 2010.09.19 4079
8066 [인생은 아름다워] 49회 할 시간입니다 [35] Jekyll 2010.09.19 2739
8065 일상이나 현대물 혹은 사극보다는 미래적인 SF나 하이컨셉(무슨 의민지 모르지만)이 어울릴 것 같은 여배우들. [2] nishi 2010.09.19 2943
8064 소설 읽는 재미를 잃어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그 외에.. [2] Apfel 2010.09.19 2020
8063 김태희씨 이야기 나오니까 생각나는데 정말 '그런 종류의' 연예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27] nishi 2010.09.19 6824
8062 라쎄린드 공연보구 왔어요 [1] 서리* 2010.09.19 2044
8061 그랑프리는 아저씨에도 밀렸다네요. [28] 감자쥬스 2010.09.19 4935
8060 최근 읽은 한국소설 세 권에 대한 단평. [6] Paul. 2010.09.19 3505
8059 오늘 겪은 더러운 얘기 하나 [4] 감자쥬스 2010.09.19 3384
8058 헤어진 연인을 우연히 마주친다면..? [17] 칭칭 2010.09.19 6418
8057 인터넷의 지루함. [2] art 2010.09.19 2667
8056 베르세르크를 읽고 급질문.-_-; [32] 프루비던스 2010.09.19 7738
8055 "과대평가 리스트"랑은 좀 다르지만, Salon.com에 올라온 "나 이 영화 좀 안좋게 말해볼께" [1] mithrandir 2010.09.19 2754
8054 유엔 "오존층 보호 효과 발휘" [1] philtrum 2010.09.19 2260
8053 오늘 남자의 자격 짝짝짝. [9] 달빛처럼 2010.09.19 4637
8052 만들기 쉬운 예술영화 / 만들기 어려운 쟝르영화 [6] 애총 2010.09.19 233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