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이 영화는 아이맥스로 보는게 좋다는 말을 듣고 오늘 보러 갔습니다. 곧 탑건 매버릭이 아이맥스 상영관들을 다 꿰어차고 걸릴거라서 지금이 아니면 네버겠더라고요.

아시다시피 이 영화는 토이 스토리의 스핀오프입니다. 우리가 알던 토이 스토리의 버즈는 극중에서 우디와 버즈의 주인인 앤디가 좋아하는 영화의 주인공을 장난감으로 만든 것이며, 이 영화가 바로 그 영화라는 것이죠.

영화는 처음에 이런 사정을 자막으로 알리면서 시작합니다. 1995년이라는 년도가 구체적으로 명시되고요. 당연 토이 스토리가 처음 개봉한 년도입니다.

다 보고나서 생각하니 이 자막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미리 알려주고 있더군요. 영화가 딱 1995년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나왔음직한 내용이었거든요! 물론 영상과 음향은 2022년에 기대할 만한 최신 기술이 동원된 최고의 수준을 뽐내고 있지만, 스토리는 그게 아니었습니다. 아쉽지만, 한마디로 무척 진부합니다. 각 캐릭터들은 캡틴 아메리카와 여러 성우들의 열연에도 불구하고 다들 어디선가 본듯한 느낌을 주고요. (버즈 캐릭터는 이게 당연하겠습니다만).

영화의 설정과 스토리가 개연성과 핍진성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도 딱 토이 스토리의 앤디 나잇대의 어린이들이 납득할만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사람들은 하이퍼 스페이스를 통해 여행하는 우주선을 만들수 있으면서 광속에 가깝게 움직이면 시간축에 어떤 일이 일어날 지도 몰랐단 말입니까? 스토리 상 개연성 및 핍진성에 대한 문제점은 넷 상에서 이미 여러가지가 이야기 되고 있더군요.

플롯 상으로 이 영화가 2022년에 나온 영화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점은 이미 논란거리가 되어온 동성결혼 및 임신과 관련된 부분뿐이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을 받아들이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만 이게 왜 논란이 되고 있는지는 이해가 갑니다. 일단 플롯에서 아무런 역할을 못하는 지나가는 설정에 불과하거든요. 영화의 스토리와 캐릭터가 뭔가 새로운 느낌을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마치 해야할 일은 그닥 잘 못하는 사람이 쓸데없는 걸로 튀어보이려 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1995년에 앤디가 볼만한 영화에 동성 커플이 그려질 가능성은 거의 없을거라는 점은 차치하고요 ^.^

뭐 그렇다고 영화가 형편없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럭저럭 러닝타임은 흘러가는 편입니다. 다만 어디서 누군가 말했지만 “그냥 디즈니 플러스에서 봤으면 괜찮았을” 수준으로 흘러가서 탈이지요. 픽사 영화로서는 최저 수준에 가깝습니다. 그나마 기술적인 면에서는 아이맥스 화면에서 화면 비율에 변화를 줘가며 보여주는 비주얼이 상당부분 먹고 들어가면서 각본과 연출에서 모자란 점을 어느 정도 만회해 줍니다. 결국 이 영화를 아이맥스에서 보게 된 원래 이유는 충족시키고 나왔습니다. 다만 저는 이 영화가 잘 되어서 우디와 제시가 나오는 흥겨운 막장 서부극을 볼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그 기대는 일단 접어야 하겠습니다.

혹시 이 영화를 아이맥스로 봐두고자 하신다면 내일(21일) 이 마지막 기회일겁니다. 다행히 용산 아이맥스관에 자리는 많이 남아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1863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3703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44888
123440 '목로주점'(1877) [15] thoma 2023.06.10 251
123439 외국인들과 공격성 [11] 여은성 2023.06.10 503
123438 이젠 하다못해 샘 오취리 실드도 등장하네요. [5] 분홍돼지 2023.06.10 529
123437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을 보다가 말고 catgotmy 2023.06.10 170
123436 프레임드 #456 [2] Lunagazer 2023.06.10 74
123435 궁극의 엔터테인먼트 머신 만들기 [6] skelington 2023.06.09 361
123434 산딸기 먹어본 사람 있나요 [8] 가끔영화 2023.06.09 273
123433 프레임드 #455 [6] Lunagazer 2023.06.09 100
123432 한국은 개인주의가 약해서 그렇습니다 [4] onymous 2023.06.09 609
123431 졸린 오후 이강인 ㅡ 아틀레티코 정리 기사 [3] daviddain 2023.06.09 155
123430 어쩌다 마주친 그대 차정숙 나쁜엄마 왜냐하면 2023.06.09 261
123429 국가적 자부심이라는 게 무의식적으로 정말 굉장히 센가봐요 [3] Sonny 2023.06.09 409
123428 그럼 다른 얘기를 해보죠. [11] 갓파쿠 2023.06.09 366
123427 한국인들만 있는 커뮤니티에서 한국인들한테 인종차별에 대해 묻기 [13] Sonny 2023.06.09 578
123426 한국은 인종차별이 다른 나라에 비해 특별히 심한 나라인가? [25] 갓파쿠 2023.06.09 515
123425 한국이 심한 건 인터넷 워리어 같아요 [9] catgotmy 2023.06.09 317
123424 메시, 마이애미로 간다네요 [4] theforce 2023.06.09 162
123423 국내에서 리사 인기가 4위인게 인종차별? [14] 갓파쿠 2023.06.09 655
123422 [왓챠바낭] 좀 특이한 복수극 영화 두 편, '복수의 밤'과 '늑대들' 잡담 [4] 로이배티 2023.06.09 232
123421 프레임드 #454 [4] Lunagazer 2023.06.08 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