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ning01.jpg


running02.jpg


running03.jpg


running04.jpg


running05.jpg


running06.jpg



지난주 런닝맨에서는 주식특집의 전초전으로 퀴즈게임을 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과정의 사회과목(정확히 사회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사회? 정치?)을 암기해서 문제를 맞추는 형식이었고 몇몇 출연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게임이었죠. 이 게임을 보면서 제가 흥미롭다고 느꼈던 건 이 단순한 퀴즈게임이 정치적 함의를 띄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저는 보필 피디가 '나는 이런이런 문제들로 현 사회에 일침을 놓겠어!' 라는 의도를 가지고 이 퀴즈코너를 기획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근거없는 독심술이 아니라, 기획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런 기본적인 퀴즈들이 현 정치적 상황 때문에 어떤 정치성을 띄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거죠. 가장 최근에 지선이 있었습니다. 그 지선의 낮은 투표율을 생각해 볼 때 선거의 직접, 보통, 평등, 비밀 선거라는 이 기본적인 요소들이 갖춰지기까지 얼마나 험난했는지를 곱씹어보게 됩니다. 그 다음에 나온 문제인 "유신헌법"을 생각해볼 때, 대통령을 국민이 뽑는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 일이며 투표 자체가 민주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현 시대가 얼마나 대단한 시대인지, 혹은 이 가치가 조금씩 흔들리는 것이 얼마나 위태로운 것인지를 생각해보게 됩니다.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퀴즈도 현 시대 상황에서는 컨텍스트가 자동으로 완성이 되고 말죠.


특히나 헌법 1조 2항을 그대로 써보라는 퀴즈는 굉장히 의미심장했습니다. 촛불시위에 나가본 분들이라면 기억하시겠지만 시위 현장에서는 저 헌법 1조 1항과 1조 2항을 아예 가사로 만들어서 노래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헌법 1조 2항에 대한 퀴즈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윤석열에 대한 질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겠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는 보필 피디가 이런 의도를 가지고 기획했다는 게 아니라, 이런 정치적 함의를 시청자 입장에서 비평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이 기초적인 헌법을 윤석열은 과연 대통령으로 지키고 있는 것인가. 불과 며칠 전 윤석열씨는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을 산업 인재를 키워낸다는 소리로 큰 의구심을 일으켰습니다. 지금도 청와대 졸속 이전 때문에 윤석열씨와 함께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죠.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73907_35744.html 


저는 런닝맨의 이 퀴즈를 보면서 누군가는 괜히 뜨끔해졌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어느 정당의 지지자들은 유신헌법의 실패나, 민주주의의 기본적 요소들을 괜히 되새기고 싶지 않을테니까요. 그 사람들이 과연 '인간의 존엄'이란 개념을 좋아할까요. 혹은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인간의 존엄을 근거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이같은 노동자 착취가 과연 온당한 것이냐고 했을 때, 민주주의의 개념으로 과연 대답할 수 있는 사람들은 몇이나 있을까요. 이것은 단순히 집권 여당이나 대통령에게만 향하는 질문이 아니라 민주사회의 시민으로 살고 있는 저희 모두에게 해당되는 통증이기도 할 것입니다. 


running07.jpg


저는 조세호씨가 민주주의의 기본 정신 3가지를 쓰라고 했을 때 인간의 존엄 대신 사랑을 쓴 게 그냥 무식해서 한 실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프랑스의 자유, 평등, 박애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저런 방식의 오답을 할 수 밖에 없지 않을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1869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3706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44918
123444 레알과 바르셀로나가 바이언 흔드네요 daviddain 2023.06.10 104
123443 OTT에 대해 catgotmy 2023.06.10 136
123442 여기서 인종차별 논쟁이 다 무슨 소용일까요 아이고~ [16] Sonny 2023.06.10 668
123441 내가 좋아하는 작품에 숟가락 올리는게 싫은 마음 [5] 분홍돼지 2023.06.10 408
123440 '목로주점'(1877) [15] thoma 2023.06.10 251
123439 외국인들과 공격성 [11] 여은성 2023.06.10 503
123438 이젠 하다못해 샘 오취리 실드도 등장하네요. [5] 분홍돼지 2023.06.10 529
123437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을 보다가 말고 catgotmy 2023.06.10 170
123436 프레임드 #456 [2] Lunagazer 2023.06.10 74
123435 궁극의 엔터테인먼트 머신 만들기 [6] skelington 2023.06.09 361
123434 산딸기 먹어본 사람 있나요 [8] 가끔영화 2023.06.09 273
123433 프레임드 #455 [6] Lunagazer 2023.06.09 100
123432 한국은 개인주의가 약해서 그렇습니다 [4] onymous 2023.06.09 610
123431 졸린 오후 이강인 ㅡ 아틀레티코 정리 기사 [3] daviddain 2023.06.09 155
123430 어쩌다 마주친 그대 차정숙 나쁜엄마 왜냐하면 2023.06.09 261
123429 국가적 자부심이라는 게 무의식적으로 정말 굉장히 센가봐요 [3] Sonny 2023.06.09 410
123428 그럼 다른 얘기를 해보죠. [11] 갓파쿠 2023.06.09 366
123427 한국인들만 있는 커뮤니티에서 한국인들한테 인종차별에 대해 묻기 [13] Sonny 2023.06.09 579
123426 한국은 인종차별이 다른 나라에 비해 특별히 심한 나라인가? [25] 갓파쿠 2023.06.09 515
123425 한국이 심한 건 인터넷 워리어 같아요 [9] catgotmy 2023.06.09 3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