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행복의 정복>을 읽고

2015.12.05 11:06

underground 조회 수:1165

버트런드 러셀의 <행복의 정복>을 읽고 있어요. 


유명한 철학자의 유명한 책이고 내용이 별로 어렵지도 않은데다 양도 많지 않네요. (250페이지 정도예요.)


그런 책을 왜 이제까지 읽지 않았나 생각해 보니 아마도 '정복'이란 말이 맘에 안 들었나 봐요. ^^


(뭘 정복씩이나 한단 말인가, 정복이 가당키나 한 것인가 하는 삐딱한 마음??) 


어쩌면 행'복'의 정'복'이라는 '복'자 돌림이 불편했는지도 모르겠어요. 


(왜 어감 안 좋게 '복'이 두 번이나 나온단 말인가!!)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아, 이 책을 20대 초반에 읽었어야 했는데...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가끔 참 좋은 소설이나 영화를 뒤늦게 봤을 때 저는 이제까지 제가 소설이나 영화를 열심히 봐오지 않았다는 사실이 


진심으로 기쁘더군요. 앞으로도 이렇게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소설과 영화를 수없이 많이 볼 수 있을 테니 


이 얼마나 기쁜 일인가, 뭐 이런 게으른 자의 부유함을 느끼면서요. ^^ 


그런데 이 책은 어렸을 때 읽었으면 사는 게 훨씬 수월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이 책의 전반부는 불행의 원인에 관한 글이고, 후반부는 행복의 원인에 관한 글인데 전반부 첫 장의 제목이 


'자기 안에 갇힌 사람'이에요. 아마 러셀은 자기 안에 갇히는 것을 불행의 시작으로 본 것 같아요. 


"내가 삶을 즐기게 된 주된 비결은 자신에 대한 집착을 줄였다는 데 있다. 청교도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흔히 그렇듯이, 나또한 자신의 죄와 어리석음, 결점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버릇이 있었다. 그랬으니 나 자신을


불행한 괴짜로 여겼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나는 차차 자신과 자신의 결점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법을


배워나갔다. 나는 외부의 대상들, 즉 세상 돌아가는 것, 여러 분야의 지식, 그리고 내가 호감을 느끼는 사람들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외부적인 대상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 역시 그 나름대로 고통을 부를 수 있다. 세상이 전쟁의 구렁텅이로 떨어지기도


하고, 어떤 분야에서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친구들이 죽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종류의 고통은


자신에 대한 혐오로 생기는 고통과는 달리 삶의 본질적인 부분까지 파괴하지는 않는다. 외부에 대한 관심은 


어떤 활동을 할 마음을 불러일으키는데, 그 관심이 살아있는 한 사람은 결코 권태를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에 대한 관심은 어떤 적극적인 활동으로 이어지기 힘들다. 기껏해야 일기 쓰기에 매달린다거나, 


정신분석을 받으러 정신과에 다닌다거나, 승려가 되거나 할 뿐이다. 하지만 승려가 된 사람도 규칙적인 수도 생활에


쫓겨 자신의 영혼을 잊을 수 있어야 비로소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승려가 종교에 귀의한 덕분에 누리고 있다고 믿는


행복은, 그가 어쩔 수 없어서 도로 청소원이 되었더라도 누릴 수 있었던 행복에 불과하다. 지나치게 자기 자신에게 


몰입하는 바람에 불행해진 사람이 행복해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외부적인 훈련뿐이다."


(<행복의 정복>, 이순희 옮김, 사회평론, pp. 17~18)


자기성찰 같은 것을 미덕으로 내세울 법한 철학자가 이런 얘기를 하니 재밌지 않나요??  


돌아보니 일기쓰기를 열심히 하던 시절이 제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시기 같아요. 


물론 일기쓰기를 해서 괴로웠던 게 아니라 괴로워서 일기를 썼던 것도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일기쓰기만 해서는 제 자신에 대해 더 알게 되는 것도 없었고 괴로움이 덜해지지도 않았죠. 


다람쥐 쳇바퀴 돌 듯 똑같은 생각과 똑같은 말들이 돌고 도는 걸 지켜보았어요. 


별로 아는 것이 없는 눈으로 제 마음 속만 들여다본다고 해서 뭐 대단한 발견을 하게 되는 것도 아니었고 


제 자신에 대해 더 정확히 알게 되는 것도 아니었죠. 그걸 깨달은 순간 일기쓰기를 때려치웠고요.  


그후 가끔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이해해 보려고 책을 읽고 공부하다 보면 제 자신에 대해 알게 될 때가 있었어요. 


다른 사람이 왜 그러는지 이해하게 되면서 나도 그런 부분을 나도 모르게 갖고 있었다는 걸 발견하게 되고 


그래서 내 자신에 대해 알게 되고 이해하게 되는 경우가 가끔 생기더라고요. 


보통은 거꾸로잖아요. 내가 어떤 성향을 갖고 있고 다른 사람이 나와 비슷한 성향을 갖고 있을 때  


내가 그 사람을 이해하게 되죠. (내 자신에 대한 이해 =>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그런데 가끔 그 반대 방향으로 진행될 때가 있어요. 이해가 잘 안 되는 다른 사람에 대해 뭔가를 알고 싶어서 


공부를 하다 보면 제가 이해하지 못했던 저의 어떤 성향이나 행동을 이해하게 되는 경험도 하게 돼요. 


(헉, 내가 이런 사람이었어?? 하는 깨달음이 가끔 있었어요. 뭔지 안 알랴줌. ^^) 


보통 나를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제대로 사랑하게 된다고 하고 그 말도 맞다고 생각하지만 항상 일방향은 아닌 것 같아요. 


이런 저런 결점이 있는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려고 애쓰다 보면, 문득 내 자신에 대해 모르고 있던 부분, 


내가 이해할 수 없었던 내 자신의 성향이나 행동들에 대해 이해하게 되고 그래서 나를 좀 더 사랑하게 되는 


그런 반대 방향으로의 이해도 생기는 것 같아요.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 내 자신에 대한 이해) 


제가 제 자신에 대해서 잘 알고 이해하고 있는 것들은 사실상 제가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이미 이해해 주고 있는 


그런 성향과 행동들인 것 같아요.  그런데 다른 사람들을 보며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은 사실상 제 자신에 대해서도


(제 자신이 갖고 있는 것이어도) 이해를 못 해주고 있는, 이해가 불가능한 부분들이었죠. 그런 부분들은 쉽게 


의식되지도 않는 것 같아요. (제 눈엔 제가 아는 것만 커다랗게 보이는 것처럼요.) 


그런데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이해를 해 보려고 책도 찾아보고 공부를 하다보면 그제서야 보이는 거죠. 


나에게도 그런 성향이 있다는 것이, 내가 왜 내 자신도 이해할 수 없는 그런 행동들을 했는지. 


그래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는 것만큼 내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어요. 


현재 나는 내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하고 있는 것만큼만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고 있는데 


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사랑해 보려고 내 자신을 자꾸 들여다 본다고 해도 나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다른 사람을 이해해 보고 사랑해 보려는 노력을 통해서, 그제서야 내가 알지 못했던 내 모습을 보게 되고 


그것을 이해하게 되고 그래서 내 자신을 더 사랑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뭐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러셀의 <행복의 정복>을 간단히 소개하려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가 뭔가 도 닦는 얘기가 나와버렸네요. ^^


여기서 얘기한 건 뭐 저의 가설이고요. 이게 잘 들어맞는지 안 맞는지는 살면서 검증해 봐야겠죠. ^^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