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인비저블맨 The Invisible Man (2020)

2020.04.09 15:15

Q 조회 수:33521

인비저블  The Invisible Man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2020.    ☆☆☆★★


A Universal Pictures Presents Blumhouse Productions/Goalpoast Pictures/Nervous Tick Productions Co-Production, distributed by Universal Pictures. Arri Alexa, Dolbly Atmos. 화면비 2.39:1, 2시간 4분. 


Director & Screenplay: Leigh Whannell 

Based on a novel by H. G. Wells, ”The Invisible Man” 

Cinematography: Stefan Duscio 

Production Design: Alex Holmes 

Art Direction/Set Decoration: Alice Lanagan, Katie Sharrock 

Special Makeup Effects: Sean Genders 

Music: Benjamin Wallfish 

Editor: Andy Canny 

Stunt/Fight Coordinator: Harry Dakanalis, Stephen Murdoch, Yasushi Asaya, Chris Weir 

Special & Visual Effects: Dan Oliver, Cutting Edge, Future Associate, Fin Design 


CAST: Elisabeth Moss (세실리아), Harriet Dyer (에밀리), Aldis Hodge (제임스 레이니어), Storm Reid (시드니 레이니어), Michael Dorman (톰 그리핀), Oliver Jackson-Cohen (에드리언 그리핀), Renee Lim (닥터 리), Benedict Hardie (마크- 건축회사 사장), Nick Kici (테일러- 식당 웨이터).


5e6634ea355fb.image.jpg 


유니버설에서 우리 스튜디오가 콘트롤하는 캐릭터들이 이리 많은데 좀 활용해서 마블과 디즈니가 해놓은 것 같은 세계관을 건설할 수 없나 라는 뜬구름 잡는 생각을 가지고 실현화를 위해 획책을 한 결과, 톰 크루즈 주연의 [미이라] 를 내놓았고, 그 안에서 “미이라” 괴물을 비롯하여 러셀 크로우가 연기한 지킬박사와 하이드씨를 등장시켰었으나, 1억2천만불이라는 막대한 제작비에 비해 미국 국내에서 8천만불을 겨우 넘는 성적을 거두고 비평적으로도 폭망하는 바람에 (단, 전세계 박스오피스를 통털어서 계산하면 4억불을 조금 넘는 성적을 거둬들여서 아마도 제작비 회수는 충분히 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여담인데, 박스 오피스 모조에 의하면 세계에서 중국을 제외하면 한국이 이 한편의 관람에 가장 많이 돈을 쓴 나라더라. 일본의 두 배가 넘는다. 이러니 미국 스튜디오들이 한국에 융숭한 대접을 안 할수가 없을 것 같다) “다크 유니버스” 라는 (솔까 촌티가 무럭무럭 나는) 확장우주 컨셉은 파일럿 단계에서 사그라지는 듯이 보였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투명인간] 의 기획은 여전히 살아있었나 보다. 그리고 애초부터 그렇게 할 작정이었는지, 아니면 [미이라] 의 폭망때문에 궤도수정을 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저예산 (이 한편의 제작비는 7백만불이라는 것이 정식 발표인 모양인데 [미이라] 의 20분의 1 정도의 규모다) 호러영화를 만드는 것으로 방향을 굳히고, [쏘우] 시리즈와 [업데이트] 의 각본-감독인 리 워넬에게 전권을 일임했다. 


그런 결과 워넬이 만들어낸 한편은 내가 적극 지지하는 훌륭한 저예산 펄프SF영화 [업데이트] 와 비슷한, 마블영화로 대표되는 헐리웃 블록버스터의 스타일과 미적감각, 그리고 아젠다에 익숙한 분들의 의표를 찌르는 결과물이 되었다. 확실히 블룸하우스 계열의 잘 빠져나온 (각본의 경우는 반드시 세련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일련의 호러 영화들, [파라노말 액티비티] 같은 얼기설기 뜯어맞춰 만든 것 같은 제품들 말고, [인시디어스] 시리즈라던가 [위지: 저주의 시작] 을 포함한 마이크 플래너건의 초기작들과 흔히 참칭되는 “세계관” 이 아닌, 일종의 미적 감각의 “우주” 를 공유하고 있다는 느낌도 강하게 든다. 그러나 워넬이 스스로의 아마도 사사로운 SF 팬으로서의 감성을 거리낌없이 도입했던 [업데이트] 와는 달리 [인비저블 맨] 은 이것 역시 헐리웃에서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 “개스라이팅” (이 단어 자체가 고전 미국 영화의 제목에서 유래된 것임을 상기하시라) 에 의해 아무도 자신의 말을 믿어주지 않고 혼자서 고군분투해야하는 여성 주인공에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photo THE INVISIBLE MAN- ATTIC_zps9bjhqjzx.jpg


스토리는 듀나님께서 지적하셨듯이 줄리아 로버츠 주연의 [적과의 동침] (1991) 과 같은 뼈대를 가지고 있다. 갑부이고 과학자인 남편의 숨막히는 통제와 정신적, 육체적 폭력에 시달리던 한 여성이 남편에게 수면제를 먹이고 탈출을 감행하지만, 그 이후에도 그의 계속되는 추적과 스토킹에 시달린다는 얘기인데, 투명인간의 이야기를 이러한 여성의 폭력적인 배우자에 대한 공포와 자유롭고자 하는 안간힘을 주된 요소로 삼은 골격에 붙여서 제작한다는 워넬의 행위의 선진성이랄까 특별함은 투명인간에 관해 이때까지 만들어진 영화들에 대해 별 생각이 없으신 분들께선 그냥 쓱 훑어보는 걸로는 인지하시기 힘들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현재 한국영화계에서, 자금을 굴릴 수 있는 일급 제작사에 이러한 기획이 주어진다면, 그 결과물은 백프로 주인공 자리를 당연한 듯이 차지한 남자 과학자/액션 히어로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서사가 될 것이며— 남자 주인공이 “진보적” 선인이든 “보수꼴통” 악인이든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의 투명화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액션/스릴러/SF 또는 호러 (H. G. 웰즈의 원작에 나오는 과학자 그리핀의 투명화 화학약품의 부작용인 “광기” 의 발현을 재료로 한) 의 공식을 답습하게 되었을 것이다. 여기에 다른 어떤 변주가 주어진다고 해도 그것은 정치적인 해석이나 “내용” 의 사회이념적 적응에서 머물러 있을 가능성이 대부분이다. 연상호 감독의 [염력] 에 신선하고 재미있는 정유미 연기자의 여성 악당 캐릭터는 나와도, 주인공은 여전히 류성룡이 연기하는 말귀 못 알아듣는 중년 아저씨인 것 처럼. “유럽식 바른 말 잘 하는 과격성” 을 신주 모시듯 하는 헐리웃 미국의 평론가들한테서 위대한 예술작가 취급을 받았던 폴 베르후번의 (박찬욱이 베르후번같은 커리어를 미국에서 이어갔다면 인터넷의 “평론가” 들은 온갖 욕을 처발랐겠지. 그러니까 미국놈들이 한국영화가 익스트림하다고 해서 뭣도 모르고 좋아한다는 식의 폄하는 좀 하지 마라. 그게 언제 일이냐 정말) [홀로우 맨] (2000) 기억 나셔? 거기에서 반나체로 잠들어 있는 엘리자베스 슈 연기자의 속옷이 혼자서 슬슬 벗겨지는 장면 기억 나는가? 20년 전만 해도 이런 남자들 (영화 속에서는 젊은 남자들을 가져다 써먹지만 실제로는 중년 남자들) 의 눈높이에 맞춘 장면들— 아니면 틴에이저 주인공이 여자 동급생들 샤워하는 거 훔쳐보는 그런 [도라에몽] 의 노비타 같은 짓거리— 은 그냥 “투명인간” 같은 컨셉을 가지고 상업영화를 만들 때는 거의 의무적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나는 미국이라고 해서 이러한 일반적 상황이 한국에 비해서 모두가 크게 문제삼을만큼 변했다고 보지는 않는다. 무슨 이야기인고 하니, 이 영화는 각본 집필 단계부터 이러한 남성 중심적 시각을 뒤집을 생각을 하고 만들었다는 것이다.


리 워넬은 이 한편을 현대적 호러 영화로써 작금의 (미국) 관객들이 제대로 반응할 수 있는 활동사진으로 만드려고 고심하는 과정에서, 투명인간이 아닌 투명인간의 피해자— 즉 “보이지 않는 존재” 에 대해 끊임없이 호소하고, 편집증적으로 두려워하는 캐릭터— 를 주인공으로 아예 삼아버리는 것이 공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그렇게 일단 방향을 틀면, 당연한 얘기지만 현금의 관객들의 공감을 폭넓게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 즉 피해자 주인공을 일상 생활에서 흔히 당하는 종류의 “무시” 와 “의심” 의 시련을 겪게 되는 여성으로 만드는 옵션을 취했을 것이 예상되는 것이다. 한국 영화를 놓고 비교하자면 이권 감독의 [도어 락] 이 이러한 전략을 면밀하게 가동시켜서, 단순히 싸이코 스토커가 젊은 프로페셔널 여성을 괴롭히는 모습을 남성 중심의 시점에서 응시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실제 영화 속 주인공과 비슷한 사회 경제적 처지에 있는 여성 관객들의 절대적 공감을 끌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리 워넬이 평소에 페미니스트적인 사상을 지니고 있는 예술인이 아니라 하더라도 (난 사실 잘 모른다. 원래 그런 사람일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보긴 하지만. 인터뷰 하나 둘 읽어가지고 서뿔리 판단하지 말기 바란다), 단순히 여성을 최소한 반수로 계산한 보다 많은 수의 관객들에게 손에 땀을 쥐게 하고 공포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선택지를 고르다 보니까 지금 보는 바와 같은 작품이 나왔을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추측되는 것은 아마도 각본이 수정을 거치는 단계에서, 그러니까 실제로 프리 프로덕션이 진행되는 단계보다 앞서서 워넬은 이 여주인공을 누구에게 맡길 것인지 주도면밀하게 고려를 했을 것이며, 이미 엘리자베스 모스를 물망에 떠올렸을 것이라는 점이다. 모스는 [웨스트 윙] 이나 [Mad Men] 등의 초유명작 TV 시리즈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아 등장했었고, 연기력에 관해서는 이미 검증이 끝난 상태였지만, 가장 최근에 인상이 남는 조연이었던 [어스] 의 백인 이웃의 어머니처럼 오히려 신경이 너무 두꺼워서 말썽인 캐릭터에 어울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연기자였다. 그러나 이 한편에 있어서는 줄리아 로버츠가 [적과의 동침] 에서 과시한 것 같은 절대적인 아름다움과 카리스마에 바탕을 둔 “스타로서의 공감” 과는 전혀 다른, 어떤 면에서는 “믿을 수 없는 화자” 의 영역으로 발을 담글 수도 있는 정서적 불안정성과 고집이나 독선으로 비쳐질 수 있는 확신의 표현 등에서 공감과 의심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그런 위험하면서도 뛰어난 연기를 보여준다. 사실상 모스를 캐스팅한 시점에서 이 한편의 주된 장치의 60% 이상이 구비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photo THE INVISIBLE MAN- YOU CAN GO BACK TO HIM_zpsljyr3w3t.jpg


각본이 특히 그리핀 캐릭터와 그의 변호사 동생 (누차 말하는 것이지만 영어에서는 형제관계에서 누가 위고 아래인지 구태여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 톰이 에드리언의 동생이라는 것은 추정에 불과하다. 동생에 눌려 살면서 그에게 휘둘리는 형의 경우도 충분히 상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에밀리가 세실리아의 언니라는 것도 정확하게 말하자면 하나의 추정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어 자막을 곧이 곧대로 믿지 마시길) 의 관계에 관한 부위 등 소위 말하는 “개연성” 을 약화시키는 지나치게 비틀린 설정을 많이 하지 않았느냐는 비판이 있을 수도 있겠는데, 나는 그러한 비판이 아주 의미가 없지는 않지만 (특히 그리핀에게 정말 그렇게 세실리아의 그의 사후 인생을 빼도 박도 못하게 박아넣을 수 있는 법률적 권한이 있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의문을 제기할 수 있겠다), 이러한 사실 한국 일반 관객 입장에서는 추측의 영역을 넘어서지 못하는 사항을 가지고 개연성이 없다고 영화 자체를 무시하는 뻘짓은 저지르지 마시길 부탁드린다. 그렇게 따지자면 트럼프같은 게 미국 대통령을 먹고 북조선의 리더랑 저런 짝짜궁 행태를 보여주고, 황교안이 대한민국 대통령이 될 수도 있다는 현실 세상에 무슨놈의 얼어죽을 “개연성” 이 있어 보이시나? 


워넬 감독의 극단적인 와이드스크린 (화면비가 2.39:1 이다) 구도와 세심한 원테이크 샷의 안배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가 빈 공간에 존재할 지도 모른다는 공포와 서스펜스를 극대화하는 연출의 스킬에 대해서는 새삼스럽게 칭찬할 것도 없지만, 의외로 나의 예상을 뒤엎었던 점은 [업그레이드] 에서 의식적으로 아날로그적 투박함과 디지털적 매끈함을 대비시켰던 것과 비슷하게, “투명인간” 의 투명성을 다루는 방식이었다. 물론 투명인간의 수트의 작동 방식은 최첨단의 CGI 에 의해 구현되어 있지만, 그 밖의 액션은 거의 모든 “특수효과” 가 배제된 연기자들의 스턴트 연기에 기대고 있다는 점이 솔직히 놀라왔다. 이 점 역시 투명화의 단계에 의해 체내의 내장이나 혈관이 드러나보이는 따위의 “신기한 볼거리” 에 특수효과 비용을 소비했던 [홀로우 맨] 같은 현대의 작품들과 극명히 대비된다 (이 한편과 비슷한 투명성의 표상에 대한 접근방식을 보여준 한편이라면 존 카펜터 감독의 1992년작 [투명인간의 회고록] 이 그나마 근접했다고 할 수 있을지도). 특히 정신병원에 수용된 세실리아를 투명인간이 습격하는 장면에서의 원 테이크로 길게 빠지면서 등장인물들이 “혼자서” 이리 터지고 저리 으깨지는 액션 시퀜스는 [올드 보이] 의 장도리 액션 시퀜스처럼 엄청나게 단순한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도 충격적으로 신선하게 다가온다. 한마디로 말해서 워넬 감독의 연출은 주도면밀하다. 초반부에 세실리아가 베이컨을 요리하다가 부엌에 불이 날 뻔하는 시퀜스에서는 그 롱테이크의 긴 호흡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말하자면 그 때문에, 첫번째 관람할 때에는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부엌 스토브의 불의 강도가 세게 변하는 순간을 놓쳐버렸고, 두번째 감상할 때에 겨우 그 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파편화된 편집 기법을 통해서 관객들의 집중을 흐트려놓거나, 매직에서 쓰는 트릭처럼 오주의 (誤注意 misdirection) 를 통해 그들을 왁 하고 놀래키려는 연출 방식은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다. 


photo THE INVISIBLE MAN- GUARD ZAPPED_zpsjl2fneqz.jpg


워넬의 작가적 태도에 대해서 의견이 갈릴 수 있는 부분은 일단 이 한편의 공식적인 스토리가 끝난 시점에서 벌어지는 주인공 세실리아가 자신의 인생에 매듭을 짓는 다고 볼 수 있는 엔딩인데, 나는 이러한 장르적 공식에 충실하면서도 스토리에 수미일관하게 영화를 다듬으려는 의도가 [업그레이드] 와 겹치는 부분이 흥미롭기도 했고, 약간 답답하달까 그런 느낌도 들었다. 즉 엘리자베스 모스가 연기하는 세실리아 캐릭터를 호러영화 주인공의 양가적인 퀄리티를 살리면서 주도권을 잃지 않도록 배치한 것은 좋았는데, 문제는 이러한 관객에게 이 캐릭터의 해석을 통해 도덕적인 결론을 가져가도록 하는 식의 “반쯤 열린 엔딩” 자체가 현대의 호러나 스릴러 장르에서는 이미 일종의 클리세가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이 정도면 충분히 많은 관객들에게 정서적 만족감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좋은 엔딩이라고 말하고 그냥 넘어갈 수도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나는 역시 워넬 감독이 스스로가 일종의 자의식을 가지고 쳐놓은 장르적 울타리를 위험부담을 끌어안고 넘어설 수 있기를 바란다. 데이빗 크로넨버그 감독의 [폭력의 역사] 의 조쉬 올슨이 집필한 각본도 장르적으로 컨벤셔널한 측면이 농후하지만, 크선생님이 실제로 그 영화의 결말을 짓는 방식은 완전히 갱스터 액션/스릴러 장르의 클리세를 짓이겨서 바람에 흩날려버리는 감동과 공감을 선사한다. 워넬도 그런 경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되기를 빈다. 물론 여러가지 실험과 시행착오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이제는 그 아무도 그를 [쏘우] 시절의 고문 포르노 전문가라고 폄하해서 보는 사람들은 없을 테고, 흥행적으로도 이 분야에서는 조던 필과 더불어 탑레벨에 올랐으니, 해볼 만 하다고 생각하는데. 


[인비저블 맨]은 호러/SF 영화의 팬들에게—고전 영화에 능통하면 할 수록 더 큰— 포만감을 안겨다주는 건실하고 교활하게 잘 만든 한 편이다. 그 페미니즘적인 시각은 페미니즘적인 이념을 어거지로 주입한 데서 나오는 게 아니고 위에서 설명했듯이 현대적으로 투명인간이란 제재의 호러영화로서의 파워를 극대화시키고자하는 기획을 한 지극히 머리가 좋고 고전 장르 영화에 빠삭한 필름메이커가 합리적이고 명민하게 우려낸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강력 추천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리뷰엔 사진이 필요합니다. [32] DJUNA 2010.06.28 82388
781 [영화] 칼 드레이어의 <오데트>(1955)-영화와 신학이 만난 최고의 경지 crumley 2024.03.26 42
780 [영화] 2023년 최고의 블루레이-4K UHD 스무편 Q 2024.02.29 249
779 [드라마] 연모 감동 2024.02.11 415
778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의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1959)-무의미로 향하는 첩보 스릴러 [2] crumley 2024.02.01 448
777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의 <싸이코>(1960)-후대에 큰 영향을 끼친 모던 호러의 걸작 crumley 2024.02.01 386
776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의 <오명>(1946)-당신의 마음이 마침내 나에게 닿기까지 crumley 2024.02.01 373
775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의 <이창>(1954)-관음증을 통해 ‘영화’를 탐구한 걸작 crumley 2024.01.27 369
774 [영화]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1958)-‘영화’라는 유령에 홀린 한 남자의 이야기 crumley 2024.01.27 386
773 [영화] 고지라 마이너스 원 ゴジラ-1.0 (2023) [2] Q 2023.12.10 790
772 [드라마] 악귀 감동 2023.10.29 528
771 [드라마] 싸인 감동 2023.09.05 490
770 [영화] 독친 Toxic Parents (2023)- 이공삼오 2035 (2023) <부천영화제> [2] Q 2023.08.31 680
769 [드라마] 달의연인-보보경심 려 [2] 감동 2023.08.28 490
768 [영화] 인피니티 풀 Infinity Pool (2023) <부천영화제> (약도의 스포일러 있음) Q 2023.07.22 863
767 [영화] 네버 파인드 You'll Never Find Me, 아파트 N동 Bldg.N <부천영화제> Q 2023.07.09 564
766 [영화] 이블 데드 라이즈 Evil Dead Rise (2023) <부천영화제> [2] Q 2023.07.05 694
765 [영화] 드림 스캐너 Come True (2020) Q 2023.05.26 652
764 [영화] 2022년 최고의 블루 레이/4K UHD 블루레이 스무편 [2] Q 2023.03.05 1496
763 [드라마] 펜트하우스 감동 2023.01.13 735
762 [영화] 미래의 범죄 Crimes of the Future (2022) [3] Q 2022.12.27 115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