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AK 100> 요짐보 用心棒

2010.07.13 00:50

Q 조회 수:5839

Photobucket 

 

요오짐보오   用心棒

 

일본, 1961.    ☆☆☆☆★

 

A Toho Production.  1시간 50. 화면비 2.35:1

 

감독: 쿠로사와 아키라 黒澤明 

각본: 쿠로사와 아키라, 키쿠지마 류우조오 菊島隆三 

촬영감독: 미야카와 카즈오 宮川一夫 

조명: 이시이 쵸오시로오 石井長四郎 

음악: 사토오 마사루 佐藤勝 

 
캐스트: 미후네 토시로오 三船俊郎 (쿠와바타케 산주로오), 나카다이 타츠야 仲代達也 (우노스케), 야마다 이스즈 山田五十鈴 (오린, 세이베이의 아내), 토오노 에이지로오 東野英治郎 (주막집 할아버지), 카와즈 세이자부로오 河津清三郎 (세이베이), 사잔카 큐우 山茶花究 (우시토라), 카토오 다이스케 加東大介 (이노키치), 시무라 타카시 志村喬 (양조주 토쿠우에몬), 후지와라 카마타리 藤原釜足 (명주상인 타자에몬), 와타나베 아츠시 渡辺篤 (관쟁이), 츠치야 요시오 土屋嘉夫 (코헤이), 사와무라 이키오 沢村いき雄 (파출소장 한스케), 츠카사 요오코 司葉子 (누이, 코헤이의 아내), 라쇼오몬 츠나고로오 羅生門綱五郎 (칸누키), 후지타 스스무 藤田進 (혼마 센세이)   


밑의 [멋진 일요일] 리뷰에서 oldies/새벗님께서도 인용하신 영화학자 스티븐 프린스가 쿠로사와 감독을 두고 이런 말을 했습니다. “대부분의 감독들은 영화의 역사라는 나무에서 뻗어나간 가지들이다. 그러나 쿠로사와는 이 나무의 줄기 (몸통) 에 해당되는 감독이다. 그의 존재를 발판삼아 수많은 영화작가들이 가지를 쳐나갔다.”   정확한 인용은 아닙니다만, 쿠로사와 아키라라는 이 감독의 작품군을 세계 영화사에서 자리매김할때 이러한 평가—단순히 “일본” 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예술가” 라던가 “액션영화의 거장” 이라는 등의 수사를 얄팍하기 그지 없는 선전문구로 보이게 만드는—가 내려질 수 있다는 것은, 다시 말하자면 2010년에 사시는 여러분들—특히 1980년대 이후에 출생하신 분들—이 보시는 망가, 영화, TV 드라마를 포함한 영상 매체에서 모든 굵직한 윤리적이고 사상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관객들을 긴장과 서스펜스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액셀러레이터를 지지밟으면서 질주하는 그런 “스토리” 를 지닌 아이템에는 이미 기본적으로 유전적인 레벨에서 쿠로사와 대선생님의 숨결이 거치지 않은 것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만큼 쿠로사와 감독은 20세기의 중요한 영상 예술가요 스토리텔링의 마스터이며,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서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진정한 휴매니스틱 아트를 만드는 데 성공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거는 혼자서 '내가 몸소 보니까 쿠로사와 별거 아니더라!' 하고 (김용옥 선생이 '내가 하바드 가보니까 별거 아니더라!' 라고 성토한 것처럼) 박박 우긴다고 이게 아닌게 되는 그런 레벨의 문제가 아닙니다.   


선생님께선 오히려 “진정한 예언자는 고향에서 홀대받는다” 라는 구약성경의 메시지처럼, 자기 나라 일본의 평론가들과 지식인들에게서 “양놈들 취향의 영화를 만든다” 라든가 “뻔한 내용의 영화에 집요하게 설교조 톤의 메세지를 어거지로 우겨넣는 계몽주의감독” 이라는 둥 “봉건적 가치관을 옹호하는 마초 성향의 우파 감독” 이라는 둥의 먹물성 비판을 받으면서 (마치 지금 한국의 모 감독이 “가슴이 아니라 머리로 영화를 만든다” 라는 웃기지도 않는 종류의 “비판” 을 당하면서 활동해야 하는 것처럼), 1970년대에 들어와서는 완전히 돈줄이 끊긴채로 자살 기도까지 해야 할 정도의 “푸대접” 을 받아왔던 것입니다.   


진정한 거목이 얼마나 큰 것인지 알아보려면 땅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떨어져 봐야 하듯이, 영화에 대해 지식이 생기고 안목이 쌓이고 실제로 영화를 만들어 보는 경험을 거치면 거칠 수록 쿠로사와 감독이 얼마나 대단한 존재인지 점점 더 실감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선생님의 대다수의 작품들이 두뇌 근육의 힘을 다 풀고 의자에 기대어서 팝콘 씹으면서 “영화를 즐기고자” 하는 분들의 수수한 바램을 배신하는 그런 예술틱한 그림들이냐 하면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무슨 얘깁니까? 스필버그 카메론 그런 치들이 다 지네들 영화 기똥차게 만드는 기술을 누구 작품을 보고 뿅가서 연마한 줄로 아십니까? 쿠로사와의 신파는 죽여라 울려주고, 쿠로사와의 스릴러는 심장이 딱 먿을 정도로 서스펜스가 넘치며, 쿠로사와의 액션은 무슨 CGI니 나발이니 떠들기가 챙피할 정도로 강력하고 스피디합니다. 50년 정도의 세월이면 기업도 심지어는 국가도 생겼다가 쫄딱 망해서 없어졌다가 하는 세상입니다만 쿠로사와 영화의 파워를 건드리기에는 어림 반푼어치도 없습니다. 


아무튼, [요오짐보오] 는 선생님께서 [라쇼오몬] 을 만든 후11 년이 지난 뒤 토오호오에서 더이상 너처럼 재정상 위험 부담이 따르는 감독은 돈 못대주겠다라고 협박 비스드름하다시피 굴어서 독립 프로덕션 “쿠로사와 프로” 를 제작하여 갈라져 나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부터 [붉은 수염] 에 이르기까지의 쿠로사와 프로 출품 연작들은 다 흥행에 성공했고 토오호오에서는 악랄하고 철저하게 그 수익의 대부분을 챙겨갔습니다) 이후 사회비판 스릴러/필름 느와르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 의 다음에 만든 영화입니다. 여기서 제가 일단 주목하고 싶은 것은 [요오짐보오] 의 각본에는 [라쇼오몬], [7인의 사무라이] 그리고 [이키루] 의 각본의 대부분을 쓴 하시모토 시노부와 쿠로사와의 글쓰기 파트너라고 할 수 있는 오구니 히데오 각본가가 관여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하시모토 시노부 각본가는 (미국 작가중 예를 들자면) 리 브라케트나 윌리엄 골드먼처럼, 완성작과 전혀 상관없이 각본만 따로 읽어도 그 논리적 치밀함과 인간 관찰의 예리함에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는 일본 역사상 최고 각본가중의 한 분 입니다. 이분의 각본의 특징은 적확하고 넘쳐남이 없는 절제된 대사에서 배어나오는 날카로운 칼로 베는 것 같은-- 특히 일본 사회와 정치의 ‘위선’ 을 다룰 때의—비판정신과 아무리 엄청나게 미로같은 복잡한 스토리를 다룰 때에도 결코 적당히 넘어감이 없이 명료하게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관객들을 압도하는 구성력에 있습니다 (그 때문에 당연스럽게도 마츠모토 세이초오 같은 대작 추리소설이나 미스터리물의 각색에는 빼놓을 수 없는 존재). 그런 면에서 이분은 [라쇼오몬] 의 원작자 아쿠타가와의 문학적 계보에 속해 있는 분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요. 아쿠타가와의 [덤불 속에서] 를 영화화하자는 아이디어도 쿠로사와가 아니고 하시모토 각본가가 낸 겁니다. 이분의 실력은 ‘스스로가 정의와 도덕의 편이라고 생각하는 악인’ 의 캐릭터를 다룰 때 정말 빛을 냅니다만, [요오짐보오] 에는 그런 날카로운 사회적 비판정신이나 캐릭터들의 위선을 차갑게 비꼬고 냉소하는 ‘작가적’ 자세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쿠로사와 감독과 프로듀서 키쿠지마 류우조오가 집필한 각본이 널널하다거나 그런 건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죠! 어찌나 이야기의 전개가 빠르고 이쪽에서 이렇게 나오면 저쪽에서 저렇게 받아치고 하는 주거니 받거니의 상황 전환이 바삐 이루어지는지 현대 영화의 정신없는 편집으로 단련이 된 관객들도 집중의 강도를 낮출 수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이런 기본적인 [요오짐보오] 의 “방자한” 태도를 씨니시즘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쿠로사와 선생님은 제가 누차 말하는 것이지만 제가 아는 모든 영화 작가들 중에서 가장 설익은 씨니시즘을 밟아 짓이기는 작품군을 만드신 분입니다. [이키루] 가 씨니칼한 영화라고 주장하시는 분들께 제가 뭐 드릴 말씀은 없을 것 같지만, [요오짐보오] 에서도 주인공 산주로오가 악인이 아닌 이유는 마지 못해서 선행을 한다고 해서가 아니라, “선” 의 가능성을 무시하고 “악” 을 모르는 척 우물쩍 넘어간다는 것이 얼마나 “정상적” 인 우리의 삶 그대로인가를 뼈저리게 알고 있기 때문이죠. 그 때문에 보상을 받지 않은 선행은 고대로 주인공의 “약점” 이 되고 악당한테 잡혀 죽을 위기에 직결되는 것이지요. 선행을 하는게 이렇게 죽을 각오를 해야 된다는 점을 뺨따구 때리듯이 직설적으로 우리에게 말하시고자 하는 분이 과연 “권선징악” 적인 위선적 날라리를—시대극이던 액션영화건 간에-- 읊으실 생각이 나시겠습니까?

 

그밖에도 [요오짐보오] 의 그 이전과 그 이후를 아울러서 이 작품의 독창성을 웅변으로 말해주는 요소들을 지적하자면 끝이 없습니다. 일본의 제리 골드스미스 사토오 마사루의 삼바와 맘보와 하프시코드가 난무하는 “서양적 고상함” 에 대한 비웃음이 담뿍 담긴 “퓨전” 스코어 (모두의 두루루루 둥둥 둥둥 하는 타악기가 바쁘게 깔리는 토오호오 로고가 찍히는 순간부터 긁적긁적, 아웅 부시럭하고 졸린 고양이 움직이는 것 같은 미후네 선생의 뒷모습에 빰 빰빰 빰빰~ 하고 산주로오 테마의 팡파레가 울려퍼지기까지의 길어야 한 45초간의 음악에 얼마나 정확하게 이 영화의 성격과 내용과 사상에 대한 코멘터리가 함축되어 담겨있는지 오직 놀라울 뿐입니다)는 어떨까요.

 

또 카부키 식으로 폼을 처억 재면서 주인공 무사가 칼을 휙~ 휘두르면 악당이 “오옷 ~” 하고 맴을 뺑뺑 몇번 돌다가 픽 쓰러지던 양식적인 “찬바라” 칼싸움을 배제하고 1초에서 2초도 안되는 시간에 서너번씩 칼을 휘두르고 (물론 육안에는 그 움직임이 잡히지도 않습니다), 또 칼을 맞는 순간에 통닭의 배를 가르고 와리바시를 채운 뒤 식칼로 푹 찔러서 만들어냈다는 소름끼치는 “퍽” 하는 몸 잘리는 음향을 삼입한다는 혁신적인 스타일의 액션은 어떻습니까.

 

Photobucket

 

거기다가 등장인물들이 마구 험한 깡패식 대사들을 뱉으면서 으스거리고 다니게 하면서도 (한국의 조폭코메디들과는 너무나 다르게), 스스로의 허세를 통해 자기 자신의 어리석음을 폭로하게 만드는 뱀처럼 교활한 위트. 그러면서도 이 세계의 악당들은 비겁한 겁쟁이는 겁쟁이대로, 머리가 石石인 친구는 石石인대로,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자 하는 방관자는 방관자대로 다 자기들의 논리에 충실하고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감독이나 각본가들이 무슨 정치적인 포인트를 지르거나 사회적인 전형을 까기 위해 일부러 얄팍하게 빚어놓은 그런 캐릭터는 [요오짐보오] 에는 없습니다.

 

최소 세개의 카메라를 동시에 돌리면서 아무리 먼거리에 있는 등장인물이라도 반드시 포커스를 맞추어야 한다는 쿠로사와 감독의 생떼에 가까운 요구를 다 소화해낸 미야가와 카즈오 촬영감독이 진두지휘한 기막힌 흑백 촬영에 대한 언급이 없을 수 없겠군요. 저는 [요오짐보오] 를 주막집 신의 대부분에서 미후네 선생이 상투 꼭대기만 남기고 화면에서 아주 잘려나가는 비참한 화면비 및 화질의 VHS 판부터, 대학교 시절 기숙사에서 슬라이드 보여줄 때 쓰는 흰 천막 쳐놓고 따르르하고 돌리면 크레딧이 “더 보디가드!” 하고 영어로 나오는 16미리판, 그리고 이제는 크라이테리언의 블루 레이까지 수많은 판본으로 봐왔습니다만 [카게무샤] 나 [란] 보다도 이 작품과 [천국과 지옥] 이야말로 그 빛과 그림자의 아름다움이 깨끗한 프린트나 디지털 트랜스퍼로 보았을 때 너무나 그렇지 않을 때와의 차이에 감동을 받게 되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요번 영상 자료원 상영판 [요오짐보오] 는 새로 뜬 프린트로 틀어주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이 영화는 언젠가 한번은 반드시 플롯 따라가기를 완전히 방기하고 샷 하나 하나를 스틸 사진 보듯이 음미하면서 관람하시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그러니 결국 집에서도 보고 극장에서도 보기를 추천드릴 수 밖에 없어요. 사실 HD 마스터니 블루 레이니 하는 것은 [요오짐보오] 같은 영화 감상하라고 존재하는 것들이올시다. [아바타] 같은 거는 극장에서 감독판이니 뭐니 틀어줄 때 또 보시고 ^ ^

 

Photobucket

 

마지막으로 쿠로사와 감독이 스탠리 큐브릭처럼 정치하고 치밀한 구성력과 밀도를 지닌 작품을 만드는 설계력과 실행력, 거기다가 남이 감히 따라넘볼수 없는 시각적인 비젼을 지닌 영화작가 였다, 여기까지만 하셨더라도 거장 소리를 수도 없이 들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쿠로사와 선생님은 거기에 더해서, 큐브릭이라도 제가 볼때는 선생님의 배꼽 언저리 근처밖에는 도달할 수 없었던 능력을 하나 더 구비하셨습니다. 뭐냐하면 “배우들의 연기” 의 감독으로서의 능력이죠. (괜히 [닥터 스트렌지] 같은 작품 예를 들어서 시비 걸지 마시고… [배리 린든] 의 라이언 오닐 같은 예도 같이 들어야죠… [샤이닝] 의 잭 니콜슨과 셸리 듀볼? 전 [샤이닝] 무지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지만 거기에 나오는 이 두 명배우들의 연기가 각자의 최고 수준이라고는 여기지 않습니다)

 

이 측면에서 쿠로사와 감독의 연기 감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일종의 “민주적인” 어프로치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시시껄렁한 역할을 맡은 연기자들이라도 감독의 손길이 반드시 가 닿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그런 연출임과 동시에 (한국 감독들 중에서는 봉준호감독이 제일 비슷한 분위기를 지녔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이건 물론 연기지도에 대한 접근방식에 한정된 얘기구요), 주연배우들에 대해서는 자신들의 캐릭터를 강력하게 각인시킬 수 있는 기회를 반드시 주지만 영화의 흐름과 리듬을 깨는 방향으로는 절대로 갈 수 없게 통제하는 지휘력도 발휘를 하십니다. 그런 고로 쿠로사와 영화는 야심 많고 비교적 덜 알려진 배우들이 우디 앨런 영화에 나오고 싶어하는 것과는 비슷하면서도 좀 다른 이유로 출연하고 싶어하는 작품이 된 것이죠. 단역이라도 출연만 하면 자신의 기력과 스킬을 맥시멈으로 뽑아내는 감독이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미후네 토시로오와 나카다이 타츠야 연기자님들에 대해서는 뭐 따로 입방아를 찧고 싶은 생각이 전혀 없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직접 보시면 되고요. 한마디 그래도 죽어도 하자면 나카다이 선생님은 정말 카멜레온 이십니다. 코바야시 마사키 감독의 작품에서 목숨을 내던져서 인간의 존재 이유를 증명해 보이는 청년으로 나올 때, 고샤 히데오 감독의 작품에서 독사 같은 깡패 두목으로 나올 때, 이치카와 콘이나 테시가하라 히로시 감독의 작품에서 현대사회를 대표하는 도회적인 댄디로 나올 때 그 모습들이 너무나 다 다르고 다 각자 개성적으로 멋있습니다. 이렇게 “멋있다” 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연기자분도 동서양 통털어서 정말 드물 것입니다.

 

그리고 고 미후네 선생님께서는…이분의 키가 172 cm 였습니다. 저하고 거의 같아요. 그런 체구의 분이 이 영화에서 보면 아놀드 슈와체네거라도 단칼에 두동강을 낼 것임을 도저히 의심할 수 없습니다 (아 그러고보니 그렇게 거구인 것 같은 아놀드 주지사님도 188 cm 인가밖에 안되는 군여…;;;). 아무튼 미후네 선생님의 액션은 고사하고 표정연기만을 바라보고만 있어도 이 작품 보는 본전은 다 뽑는다는 게 저의 결론이올시다. (“저놈 이용가치가 없어지면 처치해 버려” 라고 등에 칼을 박을 계획을 세우고 있는 세이베이 가족의 뒷담화를 엳듣다가 혀를 메롱~ 하기 직전의 미후네선생의 “놀고 있네” 표정 같은 것을 한번 봐보세요 ^ ^)

 

Photobucket

 

[요오짐보오] 와 [산주로오] 같은 예를 보면 이창동감독이 문화부장관 시절에 비슷한 말씀 하셨듯이 “오락영화” 와 “예술영화” 로 나눠서 보고 그런 행위는 무익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예술영화” 라는 규정에 맞으려면 우리가 [월E] 나 [다크 나이트] 같은 영화 보면서 얻을 수 있는 “재미” 는 없어야 한다는 주장은 그냥 새빨간 거짓부렁이올시다. 자아 기초 논리학 과제 다시 복습합시다. “재미” 가 전혀 없는 영화가 “예술” 이 될수는 (드물지만) 있어도, “예술” 인 영화는 반드시 “재미” 가 없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아시겠죠? 그냥 100% 추천합니다. 이 작품을 싫어하실 분들은… 아마도 솔직히 영화 보는 거 별로 관심 없으신 분들… 아니면 일본거라면 짜장면집에서 다꾸앙도 안 드시는 분들? ^ ^ 죄송... 싫은 소리 안할테니까 액션이니 사무라이니 이런 거랑 아주 담쌓고 사시는 (남성, 여성, 중성) 분들도 속는 셈 치고 한번 가서 보세요. 마음 아주 편하게-- [투사부일체] 보는 정도의 수준으로-- 먹고 보셔도 이 불후의 명작을 “이해” 하는데 아무 지장 없답니다.

 

PS: 이 [요오짐보오]를 세르지오 레오네의 [황야의 무법자] 가 단순히 플롯이나 설정을 빌려오는 정도가 아니라 대사와 신의 배치까지도 다 표절해 베낀 것은 새삼스럽게 제가 다시 언급할 필요는 없겠지요. [라이언 킹] 과 [흰사자 레오/정글 대제] 의 경우와는 달리 이 경우 토오호오에서 정식으로 고소를 했고 그 결과 쿠로사와에 이르기까지 관계자들도 합의금을 지불 받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요오짐보오] 는 대시일 하메트의 [붉은 수확] 을 베낀거니까 쎔쎔이다” 라고 하는 친구들이 있는데 전 [붉은 수확] 읽어 봤거든요? 이 작품과 [요오짐보오] 하고 닮은 점이라고는 주인공이 본명을 안 밝힌다는거 ([붉은 수확] 은 유명한 ‘컨티넨탈사 직원’이 주인공입니다) 와 여러 캠프의 악당들이 한 동네의 독점권을 노리고 서로 싸우고 있다는 설정 뿐입니다. 그걸로 시비 걸자면[로빈 후드] 도 장도리가지고 패고 그러는데 [올드 보이] 표절이다 그러고 모감독님께서 리들리 스코트 소송걸면 되겠슴. 그러니 앞으로 이런 말 하시는 분들 곧이 듣지 마시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리뷰엔 사진이 필요합니다. [32] DJUNA 2010.06.28 82399
81 [영화] Fast Color 패스트 컬러 (2018) Q 2019.09.02 1294
80 [영화] 워락 Warlock (1989) Q 2016.12.30 1294
79 [영화] 더 헤이트 유 기브 The Hate U Give (2018) Q 2019.11.10 1270
78 [영화] 더 바 El Bar (2017) <부천영화제> Q 2017.07.31 1263
77 [드라마] 마이 온리 러브송 감동 2017.06.18 1255
76 [영화] 셸리 Shelley <부천영화제> Q 2016.07.31 1248
75 [드라마] 옥중화 [2] 감동 2016.11.07 1247
74 [영화]고딕 Gothic [1] ally 2018.12.27 1246
73 [도서] 엔더스 튜즈데이 2015.10.07 1230
72 [영화] 유물의 저주 Relic (2020) <부천영화제> Q 2020.07.14 1211
71 [드라마] 호텔 델루나 감동 2019.09.08 1209
70 [영화] 레이트 페이시스: 늑대의 저주 Late Phases: Night of the Lone Wolf Q 2016.09.10 1209
69 [영화] 미래의 범죄 Crimes of the Future (2022) [3] Q 2022.12.27 1167
68 [영화] 부천영화제 환경주제 호러- 살인 청바지 Slaxx (2020), 치명적 발굴 Unearth (2021) Q 2021.07.18 1156
67 [영화] 가메라 3 사신 이리스의 각성 Gamera 3: The Revenge of Iris (1999) <부천영화제> Q 2019.07.05 1118
66 [드라마] 라이프 감동 2018.09.12 1090
65 [영화] I Trapped the Devil 나는 악마를 가뒀다 (2018)- Valentine: The Dark Avenger 발렌타인 (2017) <부천영화제> Q 2019.07.01 1070
64 [영화] 소르겐프리: 격리된 마을 What We Become <부천영화제> Q 2016.07.26 1070
63 [영화] 부천영화제 따불리뷰- 냠냠 Yummy (2019), 아카시아 모텔 Motel Acacia (2019) Q 2020.07.16 1056
62 [영화] 임페티고어 Impetigore (2019) <부천영화제> Q 2020.07.27 10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