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법자 (2009) ☆1/2  

 

아주 많이 혐오스러울 뻔했었을 수도 있었지만 홍보 인상과 달리 [무법자]는 그러지 않았고 이는 영화의 유일한 장점입니다. 이리 저리 곁으로 빠지면서 늘어지는 동안에 이야기는 정체되고 그런 동안 관객들을 자극할 분노마저도 느껴지지 않으니 신기할 지경입니다. 그러다가 후반부에선 적나라한 표절 수준으로 비창의적으로 이야기를 장식하고 굴려가니 말이 안 나올 지경이고 어쩌면 올해의 의도치 않게 웃기는 장면들 중 하나로 꼽힐 장면까지 만들어가면서 헛웃음을 제공하기까지도 합니다. 여기에 개그까지 시도하는 걸 보면 만들 사람들은 정말 그걸 의도했는지도 모른다는 의심도 들었습니다.

 

 한데 영화 만든 사람들이 다루려는 주제는 꽤 심각한 것입니다. 요즘 들어 우리가 뉴스에서 자주 듣는 이른바 ‘묻지 마 살인’이거든요. 영화의 주인공 오형사(감우성)은 지난 7년 동안 그런 어처구니없는 사건들로 영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최근에 별 생각 없이 살인을 저지르고 시체를 암매장하고 거기에 별 죄책감을 들지 않은 젊은이 5인조들의 사건에 그는 열 받은 그는 사건 현장에서 그 중 한 명에게 분노를 폭발시키기도 하는데, 눈이 뒤집힌 탓인지 그는 경찰 쪽 사람 한 명이 용의자와 같이 굴러 떨어진 것도 모르고 삽질을 하면서 너도 당해봐라 하는 식의 쇼를 벌입니다.

 

 전반부에서는 걸핏하면 등장해서 이야기 페이스를 망치곤 하는 플래시백과 내면 독백과 함께 그의 7년 전 사정이 얘기됩니다. 그는 이지현(이승민)이란 여인과 결혼을 했는데, 둘은 끔찍한 사건을 통해 만났습니다. 지존파 비슷한 일당들에게 영화다운 액션으로 같이 있었던 친구와 함께 납치된 그녀는 지옥 같은 경험을 당하는데 그녀가 벌거벗겨지고 짐승처럼 다루어지는 광경을 보면서 전 이승민에게 많은 안쓰러움을 느꼈습니다. 옷 벗은 여배우에게 개목걸이를 달아주면서 감정을 쥐어짜는 걸 요구할 정도까지 간다면 영화는 당연히 거기에 맞는 진지함을 갖추어야 하지만 본 영화는 TV 드라마 시리즈 같은 양 행동하면서 그녀를 욕보였습니다.

 

그 사건으로 인해 지현은 많이 정신이 불안정해졌고 그런 그녀에게 가까이 다가가 간 오형사가 곁에 있으니 그녀는 다시 안정을 찾아가고 임신을 통해 그들의 행복한 가정을 이룰 기회도 그들에게 들어옵니다. 하지만 그 때의 기억은 별 그럴듯하지도 않는 경로로 통해 다시 그들에게 돌아오고 그러니 그녀는 만삭의 몸으로 오형사의 곁을 떠나버렸고 7년이 지나도 문제의 의자는 거실에서 정확히 똑같은 위치에 놓여 있습니다. 와우, 정말 그걸 극복하기 되게 힘들었나 봅니다.

 

한편 무차별적 살인은 각본에 의해 툭 하면 일어나곤 하곤 하다가 오형사를 개인적으로 더욱 더 자극하는 일들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 중 하나에 대해 기가 차해 하면서도 재미있어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는, 작년에 개봉한 [이태원 살인사건]에서 다룬 일을 본 영화에서도 피해자 등의 몇몇 점들에서만 빼고 그대로 이야기 소재로 다루고 있다는 것이고 유사한 대사까지 그대로 나옵니다. 경찰은 미국 국적을 가진 범인들을 제대로 심문할 수도 없고 자신들의 범행을 부인하는 오형사는 전보다 더 과격한 모습을 보여 줍니다.

 

한데 그는 정말 괴로워하고 화나고 있기라도 합니까? 연기 지도가 나쁘니 감우성은 영화 내내 밋밋한 원 노트 연기를 하고 있습니다. 화면에서 그는 늘상 찌푸린 얼굴을 하고 있고 그러는 ‘7년 전’이나 ‘현재’라는 자막이 없었다면 곧잘 옆길로 빠지는 이야기를 파악하는 게 많이 힘들었을 것입니다. 그는 나쁜 짓 저지른 인간들에게 화를 내지 않을 때는 우울하랴 바쁘고, 오형사 주위엔 지현 말고 여자 캐릭터들이 두 명이나 있고 둘 다 그를 신경 쓰고 있지만 비참한 찌질이 마초 노릇하느라 바쁜 그는 예쁜 그들에게 신경도 안 씁니다.

 

  오형사와 오래 전부터 친했던 음악치료사 경진(윤지민)는 동기부여를 위해서만 존재하는 캐릭터이고, 마찬가지로 한형사(장신영)은 각본 입맛대로 태도를 바꾸곤 합니다. 처음엔 오형사에게 비판적이었다가 어느 새 과거가 드러남과 동시에 그를 이해하고 신경 쓰는 캐릭터로 바뀌고 또 어느 새 그녀는 강력계로 부서를 바꾸면서 머리 자르고 패션 확 바꾼 후에 뛰어다니는 터프한 여형사가 됩니다. 이들을 연기한 여배우들도 역시 나쁜 연기 지도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그들의 대사 처리는 어색하고 뻣뻣합니다. 그걸 무시한다 해도, 각본 속의 대사들은 대부분 아주 나쁘고 값싼 농담을 하거나 소리만 칠 걸 요구하는 경우들이 대부분이지요.

 

[데스 위시]류의 영화들을 따라가기로 처음부터 작정하기로 했지만 불행히도 영화는 그 찜찜했던 [모범시민]도 기본적으로 제공한 오락성에서도 실패합니다. 갑자기 돌연히 오형사는 머리가 핑핑 잘 돌아가는 무적의 천재 캐릭터가 되어 법이 처벌하지 못한 자들을 응징하기 위해 도시 한복판에서 일을 한 판 벌이려고 하고 여기에 화면 분할과 긴박한 음악으로 이야기에 어설프게 긴장감이 불어넣어집니다. 한데 그의 방식에 서서히 의심이 들기 시작하고 이야기의 결말은 지금까지 그나마 엉성하게 쌓은 설정과 동기를 죄다 무너뜨립니다. 어떻게 그가 모든 걸 다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가는 건 그렇다 칩시다. 한데 그런 결말이 (만일 존재한다면) 이야기 논리에 맞는 겁니까?

 

  보는 동안에 저와 관객들을 그나마 불쾌하게 만들지 않았단 점에서 영화는 불쾌지수를 급도로 상승시키는 [용서는 없다]에 비하면 덜 해악을 끼치긴 합니다. 18금 막장 드라마 한 편만큼이나 엉망이 되어 가면서 영화가 이빨을 잃어가는 광경은 불쾌하기 보다는 여러 번 실소들을 자아내곤 했지요. 하지만 본 영화가 여전히 나쁜 영화인 건 변함없고 그런 헛웃음만이 영화가 끝나고 나서 생기는 더러운 인상을 좀이나마 완화시켜주었다는 점만이 위안으로 남습니다. 지옥으로 우릴 끌고 가기는커녕 그것마저도 못하면서 대충 때워 넘기려면 뭐합니까?

 

P.S.

3월이 다 가기도 전에 벌써부터 연말 결산에서 최악으로 기억될 국내 영화들이 왜 이리 줄줄 나오는 건지 누가 좀 대답해야 될 것 같습니다. [용서는 없다], [주문진], [평행 이론], 그리고 본 영화.... 그리고 이 영화들 모두, 이발소에 보내고 싶은 충동이 든 유명남자배우가 항상 등장하곤 했습니다.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