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가족의 풍경

2015.12.06 03:47

Bigcat 조회 수:7531

John_Everett_Millais_-_The_Order_of_Rele

 1746년의 방면 명령The Order of Release, 부분도, 존 에버렛 밀레이, 1852

 

 

 

 1746년은 재커바이트 반란이 최종적으로 진압된 해입니다. 명예혁명으로 폐위된 제임스 2세를 복위하고 다시금 스튜어트 왕조가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웨일즈)의 왕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반란의 시작이었지만, 사실 1688년부터 산발적으로 일어난 이 난이 최종적으로 진압된 것은 수 십년이 지난 1746년에 이르러서였습니다. 물론 이 오랜 기간 내내 스코틀랜드에서 전쟁이 일어났던 아니고요. 계속 어느 지역에서 난이 터지면 진압되고 그러다 다시 터지면 진압되고 그런 식이 반복되었죠. 그러다 마침내 1746년의 진압을 끝으로 이 전란은 바로 매듭을 짓게 된 것이었구요.

 

 거의 100여년의 시간이 지나서 밀레이가 이러한 소재로 역사화를 그리기 시작한 것은 1852년에 이르러서였습니다. 사실 역사화라면, 기존의 양식을 그대로 따른다면 조각같은 인물상과 함께 뭔가 장엄하고 대단한 구도와 함께 역시 뭔가 강한 정치선전을 가져야 함에도 밀레이는 전혀 그런 방식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는 일상의 가족 구도를 선택해서 이 반란의 종언을 그려냈죠. 이는 밀레이가 속한 라파엘 전파 형제회의 유파적 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당시 주류 미술이었던 아카데미 미술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냈고 당시 아카데미가 최고의 장르로 추구하던 역사화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조각같은 인물상과 뭔가 큰 교훈을 가진 노골적인 정치선전을 혐오했습니다. 그래서 밀레이는 일상의 소재로 이 역사의 순간도 일상의 풍경으로 만들어낸 것이죠.

 

 일상의 소재와 일상의 풍경을 사진처럼 정밀하게 그려내는 방식은 근대적인 자연주의와도 맥이 닿는 것으로, 밀레이는 작품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주변의 인물을 모델로 삼았는데, 그 때문에 그의 친구이자 미술이론의 스승이기도 한 문필가 존 러스킨의 아내 에피 그레이가 이 작품의 모델이 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근대적 자연주의 양식을 따른다고는 하지만 밀레이는 고전적인 코드도 그대로 작품에 적용했는데, 화면에 개가 등장한 것과 아내가 머리에 베일을 쓴 것 그리고 그녀의 발이 맨발인 것을 들 수 있죠.

 

(개는 부부간의 성실함을, 아내의 맨발은 그녀가 신처럼 신성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 이는 고대 그리스 미술에서 유래한 양식입니다 - 베일은 성모 마리아의 신성성을 상징하죠)

 

 

 

Detail.jpg

 

 그런데, 사실 이 그림의 일화를 생각해 본다면, 이런 코드는 정말 대담하기 짝이 없는 것이었죠. 이 그림에 등장하는 가족은 스코틀랜드의 명사도 아니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무슨 대단한 일을 한 사람들도 아닙니다. 이들은 그저 수 십년 동안 스코틀랜드 전역을 휩쓸었던 반란에 끌려들어간 딱한 민초들일 뿐인데, 그런 현실을 반영하듯 저 그림의 일화도 사실 잔혹하기 짝이 없는 것이었죠.

 

일화는 이렇습니다. 반란 현장에서 체포되어 감옥에 갇힌 남편에게, 뜻밖에도 그의 아내가 남편의 사면을 명하는 방면서를 가지고 찾아옵니다. 석방된 남편은 감격하여 아내를 포옹하고 아내는 남편의 등 뒤로 방면서를 경비병에게 보이고 있죠. 그 집의 큰 강아지가 옆에서 반가운 듯 꼬리를 치고 있고, 참 정겨운 풍경이긴 한데....실은 이 남편은 그냥 석방된 것이 아닙니다. 바로 그의 아내가 남편을 구하기 위해 높으신 분에게 성상납을 했죠.

 

 이 그림이 공개되었을 때, 가족의 정겨운 풍경 뒤에 서린 이 한 많은 사연은 당연히 대중을 시끄럽게 했고 그 여파는 이 그림에 그려진 인물과 관련된 대형 사건으로 한바탕 더 큰 난리가 나게 됩니다.

 

 

the-order-of-release-1853.jpg

 

 그림의 모델인 에피 그레이가 남편 존 러스킨을 상대로 이혼 소송을 낸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이혼 사유라는 것이 정말 놀랍게도, 그들 부부가 지난 6년의 결혼생활 동안 실질적인 부부관계를 전혀 갖지 않았다는 것이었죠. 중세 이래의 민법 상 유럽에서 결혼이란, 두 사람의 실질적인 부부관계가 있어야만 성립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  아내의 주장에 남편 러스킨이 사실을 인정함으로써 - 법원은 이들 부부의 '혼인무효'를 선언했고 에피는 자기가 원한대로 남편과 헤어져 친정으로 돌아갔습니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당시 기준에서는 충분히 시끄러울 만한 일이었는데, 그 이듬해에 더 큰 일이 터집니다. 바로 에피가 화가 밀레이와 결혼을 한 것이었죠!

 

  밀레이와 에피의 결혼이라니! 전남편의 친구이자 제자이기도 한 밀레이와의 관계 때문에 눈이 휘둥그레진 대중은 이 얘기 때문에 시끌벅적 난리도 아니었죠. 게다가 대체 두 사람이 언제 사랑에 빠졌을까...궁금해 하는 사람들에게 바로 딱! 저 그림이 시야에 들어왔습니다. 그렇죠. 그 두 사람은 이 그림을 그리면서 -  화가와 모델로 가까이 지내면서 -  급격히 서로에게 빠져들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에피는 자기가 모델로 서는 주인공의 일화를 들으면서 어떤 생각을 했던 걸까요? 감옥에 갇힌 남편을 위해 희생하는 아내 역할을 하면서 자기의 이상한 결혼 생활에 극도의 회의감을 느꼈던 걸까요? 아니면 새로운 사랑에 빠지면서 현실의 상황을 뒤집어 버려야겠다는 용기를 얻었던 걸까요? ( 진실은 본인들만이 알겠지만, 그림 스토리 보다는 그 그림 그리는 젊은 화가에 대한 사랑 때문에 자기 인생을 다시금 돌아보는 계기가 됐던 건 분명해 보입니다.)

 

 여튼 1855년, 근엄한 빅토리아 시대에 터진 이 스캔들은 어찌나 그 여파가 컸던지 -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크림 전쟁( 나이팅게일로 유명하죠 ) 소식도 한동안 묻어버릴 정도였다네요.

 

 하지만 그런 소동도 서로를 사랑하는 두 사람을 어쩌지는 못하죠. 밀레이와 에피는 이후 두 자녀와 함께 일생 행복한 부부로 지냈습니다. ( 물론 주변 사람들이 많이 괴롭히기도 했지만...특히 빅토리아 여왕...-_-;;) 밀레이의 화가로서 경력도 별 문제없이 탄탄대로를 걸었구요.

 

 

결혼이란게 두 사람만 행복하면 되는 것이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27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83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983
108151 에프엑스 신곡 '첫사랑니' 뮤직비디오. [15] 자본주의의돼지 2013.07.24 3650
108150 금자씨 이영애 [4] 가끔영화 2013.06.09 3650
108149 이런 시국에 '태평'한 소리 하나 하자면, [9] 닥터슬럼프 2012.12.05 3650
108148 스마트폰 3대 끝판왕 [8] 아리마 2012.12.21 3650
108147 이정희 전 의원 대선출마 할 것 같네요 [15] DH 2012.09.10 3650
108146 도둑들에서 첸커플이 가장 인상깊었어요 [9] 사람 2012.08.18 3650
108145 기사펌, 시체와 함께 2년간 동거를…70대女 "외로웠다 [8] heyjude 2012.07.26 3650
108144 아이유 실시간차트 점령... 이건 진짜 점령이란 단어 쓰기에 적절하군요. [9] 눈의여왕남친 2011.11.29 3650
108143 <치즈인더트랩> 2부 20화 수면 [20] 환상 2011.11.03 3650
108142 이거 팝콘 값 엉터리 계산 좀 보세요 [10] 가끔영화 2012.05.05 3650
108141 강아지가 출산했어요. [25] 웬즈데이 2011.11.18 3650
108140 스파르타쿠스 앤디 위필드 사망... [2] 이반 2011.09.13 3650
108139 게이트 플라워즈 보컬 박근홍 인터뷰 [7] GREY 2011.06.20 3650
108138 인셉션-(엔딩스포) [5] 펭귄 2010.07.21 3650
108137 차원이 다른 막장 드라마 - 하늘에서 내리는 일억개의 별(스포) [13] Bigcat 2018.10.28 3649
108136 방사능 물고기 ㅡ 펌 [25] 나니아 2015.02.01 3649
108135 먹고 사는 흔한 얘기 [14] Koudelka 2014.02.26 3649
108134 [듀나인]이민가방 속에 브랜드 가방을 넣어가도 될까요? [12] 구름진 하늘 2013.10.19 3649
108133 스노든 글의 '대한민국 국민이나 잘하세요'라는 댓글보고 뒤통수가 [8] 큰거북이 2013.07.28 3649
108132 밀크시슬 함량 및 하루 권장량 관련 문의 [3] centrum 2017.12.20 36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