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없는 사람의 변.

2015.12.16 21:01

젊은익명의슬픔 조회 수:2471

1. 우선, 억울합니다....ㅠㅠ 저라고 이렇게 재미없는 사람이 되고 싶어서 된 건 아니었어요. 권위적인 어머니 밑에서 대화하는 법을 상대적으로 늦게, 적게 배운 것도 하나의 이유일 수 있겠고, 어느순간부터 제게 엄습한 이 우울감도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겠고...타고난 것도 물론 있겠죠. 그리고 아참 제 자신의 노력의 부족도 빼놓을 순 없겠어요. 하지만 '재밌어지려는 노력'이라니 상상만 해도 막막해요, 어떻게 재밌어지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거죠? 진지하게 방법을 묻고 싶어요. 근데 제가 개그감이 떨어지는데 반해, 혹은 그 때문에, 제 코미디에 대한 기준은 굉장히 높은 편이에요. 아니면, 이해를 못해서 그런가, 코미디 프로를 재밌게 본 적이 없어요. 코미디 영화를 봐도 쉽게 안 웃어요. 특히 미국식 화장실 조크는 경기까지 일으킬 정도로 싫어하죠. 이래서야 글러먹었어요.


2. 제가 인생에서 '재밌는 사람'이 되었던 시기는 없었던 것 같지만, 그것에 문제의식을 갖게 된 건 비교적 최근이에요. 제 고등학교 때의 친구에 의하면 전 실로 '사람자석'이었다고 해요. 실제로 그때까지만 해도 남녀 가리지 않고 모두와 친밀하게 지냈는데 그때도 제가 '재밌는 사람'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거든요. 그것만 보면 꼭 '재미'가 사람을 사귀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건 아닌 것은 맞는 것 같아요. 그 때의 제 자신은 좀 더 제 자신을 사랑했고, 사랑할만한 근거를 더 많이 갖고 있었죠.(공부도 곧잘하고 운동도 좋아하고 자존감도 전반적으로 더 높은 사람이었어요.


3. 그렇다고 최근에 제게 친구가 없었던 건 아니에요. 우울감을 갖게 된 이후 전 좀 더 차분한 사람이 되었고, 주변친구들의 아픔이나 은밀한 고민을 들어주고 공감해주며 유대를 쌓아갔고(야메카운슬러라고나 할까), 저 역시 제 자신의 내밀한 아픔을 공유하면서 깊은 관계를 갖게 된 친구들도 몇 명 생겼고, 그들 덕분에 제 우울한 삶은 많이 구원받았었죠. 


4. 하지만 내일 모처럼의 비번인데, '제가 재미없는 사람이라서 만나주지 않을까봐' 두려워하는 시점에서 이미 전 틀려먹은 거죠. 이런 걱정을 하는 것 자체가 사실은 친구들과 내가 덜 친했던 건지, 아니면 제 문제인 건지, 어느쪽인지 양쪽인지 어느 쪽도 아닌 건지 잘 모르겠네요. 제 친구들을 탓하고 싶진 않구요. 오히려 미안하죠. 제겐 아까울 정도로 정말 좋은 사람들인데...다 제 잘못인 거죠. 근데 대체로 이런 관계가 그렇듯, 함께 아픔을 나눌 수 있었던 시기를 둘 중 한 쪽만 극복해도 쉽게 밸런스가 무너지게 되는 것 같아요. 언제부턴가 전 일방적으로 제 아픔을 얘기하고 친구들은 들어주기만 하는 그런 느낌이에요.


5. 내일은 아마 '행복의 정복'을 읽으면서 하루를 보내게 될 것 같아요. 독서하는 것도 싫지 않지만 외로움을 잘타는 저의 특성상 내일 하루도 힘겨운 휴일이 될 것 같군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0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45
108255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시나리오 라는 걸 올해 절실히 느낍니다. [20] M.B.M 2010.12.11 3663
108254 김황식 총리 '노인들 지하철 무료승차 반대' [25] amenic 2010.10.20 3663
108253 휴대용 노트북에서 300g은 차이가 크겠죠? 1.58kg 이냐 1.88kg이냐 고민중이에요 [13] apogee 2013.10.14 3663
108252 [기사] 여중앞 70대 바바리맨... "외로워서 그랬다" [18] 빠삐용 2012.06.14 3663
108251 요즘 MBC 뉴스 좀 이상하네요 [9] 푸른새벽 2010.08.17 3663
108250 한나라당 망하려나요(당대표 스포) [9] jwnfjkenwe 2010.07.14 3663
108249 프랑스 영화를 추천해주세요. [26] cecilia 2010.07.13 3663
108248 (기사링크) 홍명보, “벨기에전 변화…아직 생각 안 해” [18] chobo 2014.06.23 3662
108247 국정원에 관한 개인적 추억이 있으십니까? [12] drlinus 2012.12.12 3662
108246 아빠바보 딸이 딸바보 아빠를 보내드렸습니다. [17] 여름숲 2011.12.03 3662
108245 [기사] 신혼의 달콤함은 6개월.. [18] 가라 2011.12.13 3662
108244 [기사] 나경원 ‘알몸 목욕’ 이번엔 거짓 해명 논란 [4] 빠삐용 2011.09.30 3662
108243 테크노마트 또 흔들렸네요 [12] mii 2011.08.11 3662
108242 토호들의 지역주의 [82] marian 2011.03.28 3662
108241 이렇게 말하는 친구에게 뭐라고 촌철살인의 한마딜 해줄까요? [22] 2011.01.23 3662
108240 조영남-간절대박.. [7] 제주감귤 2010.12.14 3662
108239 마가 꼈나봐요. [8] 태시 2010.06.07 3662
108238 아버지의 기일에는 [14] whks 2010.08.03 3662
108237 이제 대한항공은 더 이상 못탈거 같습니다. [7] soboo 2014.12.13 3661
108236 외국에선 폰카로 사진 찍어도 찰칵소리가 안나던데.. [13] 담대하게 2014.05.13 36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