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버스라는 설정

2023.05.17 09:31

Sonny 조회 수:620

어제 서울아트시네마에서 하는 유운성 평론가의 비평에 대한 강의를 듣고 왔습니다. 강의는 재미있었는데 제 육신이 노곤을 이기지 못하고 쓰러져버려서 잠이 깰 때는 겸연쩍더군요. 그래도 후반부에 영화평론가를 영화 작품이나 감독에게 종속된 직업군인 것처럼, 모더레이터로 활용하는 지금의 기조에 대해 비판조로 말씀하시는 게 꽤 와닿았습니다. 비평은 현재 여행지가 사라져버린 기행문처럼 영화가 없더라도 읽을 수 있는 종류의 글이 되어야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신선했습니다.


유운성 평론가의 강연 중 제일 흥미로웠던 것은 멀티버스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스필버그의 [파벨만스]를 이야기하면서, 이 영화는 최근의 멀티버스 서사에 당황하는 것처럼 느껴졌다는군요. 스필버그는 본인이 제작에 참여했던 [백 투 더 퓨처]의 타임머신이나, 직접 감독했던 [캐치 미 이프 유 캔]의 위조 개념으로 정작 본인이 지금의 멀티버스 세계관의 창시자 같은 사람입니다. 어딜 가도 자신과 같은 자신이 있고 과거를 가든 미래를 가든 계속 '지금, 여기'라는 현재성을 느끼게 된다는 그 설정이 지금은 독립영화에든 상업영화에든 너무 당연하게 자리잡고 있어서 그걸 낯설어한다는 것입니다. 멀티버스 설정에서는 "돌이킬 수 없는"의 설정이 크게 먹히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른 세계의 현재로 슉 가버리면 되니까요.


듣고보니 저도 저런 감각을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볼 때 느꼈던 것 같습니다. 살아남은 어벤져스들이 머리를 맞대고 내놓은 해결책이 멀티버스였죠. 그걸 보면서 좀 얍삽하다고 느꼈습니다. 죽음이란 사건의 가장 강력한 점은 절대로 되돌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한 영화의 러닝타임 안에서 일어난 일도 아니고, 심지어 전편에서 벌어진 죽음이란 사건을 어쩔 수 없이 납득한 관객들에게 '다른 세계로 가면 되지!'라고 하는 게 이 세계의 불변의 법칙을 함부로 건드리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픽션이라는 것이 종종 비현실적인 초월적 법칙을 제공해서 쾌감을 제공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모든 불행과 슬픔조차도 간단하게 무위로 돌릴 수 있는 이 세계관에 대해서는 뭔가 좀 의구심을 품게 됩니다. 글쎄요, 그게 그렇게 뚝딱 이뤄지는 일일까요.


멀티버스 안에서는 뭐든지 가능합니다. 모두가 바라는 성공과 행복은 물론이고 꿈도 꾸기 싫은 실패와 비참까지도 겪을 수 있습니다. 그야말로 체험의 전능함을 부여하는 이 세계관 안에서 우리가 깨닫는 것은 과연 현재, 이 곳의 나 자신일까요. 혹은 벌어지지 않은 세계를 근거로 들면서 무한한 가능성에 홀로 취하는 것일까요. 수천만의 세계 중에서 하나뿐인 세계라는 이 관념이 우리에게 어떤 감각을 부여할지 좀 의심스럽습니다. 유운성 평론가는 이 멀티버스를 오가는 느낌이 포르노 서칭과 유사하다고 지적했는데(유운성 평론가 본인이 제시한 개념이 아니라 이미 서구 평론가 쪽에서 나왔던 지적이라고 합니다) 그런 식의 유물론적 감각이 우리의 픽션세계설정도 바꾸는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73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63
123519 김연아 지젤 의상 [39] Salzkammergut 2011.04.29 6182
123518 clancy님 연애는 구원이 아니었어요. [43] 知泉 2013.02.15 6181
123517 강호동,“지상파는 은퇴, 종편에서 활동하겠다.” [18] 사회지도층 2011.09.14 6181
123516 누구에게도 선의를 기대해선 안되는 것인가 [5] 천연성 2015.11.16 6181
123515 미생 각색 정윤정씨는 원작에 무슨 원한이라도 있는걸까요? [11] soboo 2014.12.20 6179
123514 에이미 아담스와 릴리 콜린스 [4] magnolia 2012.07.09 6178
123513 [성격검사] 당신의 강점은 무엇인가? [6] underground 2019.07.07 6176
123512 제가 좋아하는 "작가들의 방" [11] Ostermeier 2010.10.11 6176
123511 샤넬백 이야기가 길어져서... [53] 안녕핫세요 2010.11.19 6174
123510 '다음-카카오톡' 이것들 정말 쓰레기네요. [21] soboo 2014.10.08 6173
123509 신기생뎐 마지막회 [2] mii 2011.07.17 6172
123508 추신수 선수 음주 운전하다 체포되었네요 [33] 우가 2011.05.04 6172
123507 최희진 이루 부자 사건 종결됐네요 [17] 가끔영화 2010.09.07 6172
123506 ‘내 여자의 남자친구’ 박성범 감독, 척수암 투병중 15일 별세 [7] DJUNA 2010.08.15 6172
123505 한국 남성은 비교적 장점이 하나도 없는 숫컷입니다 [80] amenic 2015.05.25 6171
123504 진짜사나이 해군편 잡담+유희열 [17] 자본주의의돼지 2013.10.21 6171
123503 서울은 이렇게 무난하게(?) 지나가는 걸까요 [16] 정독도서관 2012.08.28 6171
123502 오늘 무한도전 [14] 달빛처럼 2011.06.11 6171
123501 신분들통나 도주하다 사진 찍힌 국정원직원 [20] 룽게 2010.06.30 6171
123500 로버트 패틴슨은 정상 남자 사람이었군요. [12] 쥬디 2013.03.25 61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