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로주점'(1877)

2023.06.10 14:11

thoma 조회 수:270

제목만 알고 있던 고전 소설에 대해 오해하고 지냈던 경우가 꽤 있습니다. 지난 번에 읽은 '분노의 포도'. 저는 이 '포도'를 오랫동안 포장도로로 알고 있었습니다. 농민들이 분노해서 도로 점거라도 하나 보다...라고요. 확인한 결과 먹는 포도였는데 정확하게는 모르겠으나 분노가 포도처럼 알알이 익어간다는 의미인가 봅니다. '포도'가 작품에는 특별히 등장한 기억이 없는데 이 과일이 성경 속에 자주 나온 걸로 봐서 뭔가 다른 의미가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이번에 읽은 '목로주점'은 조금 다른 의미로 오해하고 있었어요. 저는 주인공이 주점을 운영하거나 종업원으로 일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 주점이 이야기의 배경이리라고 짐작해 왔습니다. 아니었어요. 주인공 제르베즈의 평생 직업은 세탁부입니다.   

원제인 assommoir 는 '도살용 도끼, 선술집'이라는 뜻을 가지는 요즘은 잘 안 쓰는 프랑스어인 모양입니다. 우리말로는 '목로주점'이라는 제목으로 자리잡아서 어쩐지 낭만적인 느낌이 더해져 있네요. '선술집'이나 그냥 '술집' 같은 제목이 낫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의미가 아닌 어감상으로요. 이제는 '목로주점'이라는 제목이 고유명사로 자리잡은 듯해 어렵겠지요. 원제를 보면 중의적인 의미가 있네요. 술집이 분량상으로는 많이 차지하는 배경이 아니지만 이야기 전개의 중요성 면에서는 절대적입니다.

앞서 읽었던 '집구석들'도 공간이 중요했습니다. 브루조아들이 모여 사는 건물이 배경이면서 유기물과 같은 하나의 세계를 이루며 계급의 전형을 보여 줍니다. '목로주점'도 공간이 중요합니다. 주인공의 흥망성쇠가 공간들로 표현되어 있었어요.  


에밀 졸라는 총서를 시작할 때 발자크와의 차이를 말하며 이렇게 썼다고 합니다.

'나는 현대사회가 아닌 한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타고난 유전적 기질이 환경에 의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역사적 배경과 직업, 거주 공간 등을 작품 환경으로 선택할 것이다. 나는 순수한 자연주의자이자 순수한 생리학자이고 싶다. 원칙(왕정, 종교)보다는 법칙(유전, 격세유전)에 근거한 글쓰기를 지향하고자 한다.' 

인간을 표현할 때 이념과 이상으로 된 가치관이 주는 영향(원칙)보다는 타고난 유전적 요인과 직업, 주거 공간 같은 환경적 요인만을 살펴 쓰겠다는 뜻이겠습니다. 이것은 졸라의 인간관일 수도 있고 그에 따른 소설작법에서의 선택이겠으나 논란이 따랐다는 건 당연하게 보입니다. '목로주점'이 발표되고 졸라는 양측에서 다 공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보수 진영에선 문학과 병리학을 구분 못한다, 공화파로부터는 민중에 대한 경멸로 그들을 깎아내리는 인물이다, 라고요. 빅토르 위고조차도 '노동자들이 처한 비참하고 비천한 상처를 드러내 보여 세인의 구경거리로 전락시켰음은 유감스럽다.'고 했다네요. '목로주점'만을 보면 민중들의 삶에 희망이나 전망이 안 보이니까요. 애초에 그들은 가난을 대물림하며 교육도 못받고 술 한 잔의 위로만이 의지가 되는 일상인데 이를 그대로 전시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는 생각을 했겠습니다. 

하지만 신문에 실리는 노동자들의 사건사고 조각 기사와 한 인물의 기복을 따라가는 긴 이야기는 역할과 파장이 다르지 않겠습니까. 당시에 이 소설을 읽은 노동자들이라면 제르베즈의 성실함과 어리석음에 이입하고 분노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반면교사삼는데 어떤 설교보다 낫지 않았을까, 단순하지만 그런 생각을 해 봅니다. 그들을 들러리로 다루지 않았고 그들 중 하나가 주인공인 이야기가 귀했을 당시에 말입니다.

총 13장 중에 12장 후반 30페이지 정도는 제르베즈의 최악의 상태를 기술하는 부분인데 거리를 헤메다 가스등에 생긴 자신의 그림자를 보게 되는 장면은 잊히지 않습니다. 원래 다리를 살짝 절던 제르베즈는 나이들수록 몸이 불면서 다리를 심하게 절게 되는데 길바닥에 비친 그 그림자, 비대하고 땅딸막하고 흐느적거리며 텀블링이라도 하는 듯한 자신의 그림자를 보며 절망합니다. 굶주려서 눈오는 거리를 헤메는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기 그림자를 보게 한 작가가 새삼 대단해 보였습니다.


아래는 세탁부 그림을 여럿 그렸던 드가의 작품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작품 활동을 했고 '세탁부'라는 소재를 공통으로 가지지만 드가와 졸라가 특별히 돈독하게 지내진 않았다는 걸 읽었습니다. 소재와 지향점, 이 둘은 다르니 그런가 싶어요. 그래도 소설 속의 제르베즈가 저런 복장을 했겠지라는 생각을 했고 옮겨 봅니다.

?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

?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68
123723 [짧은잡담] 지금 케이블에서 청춘불패 1회를 재방송하고 있네요. [2] mithrandir 2010.07.12 1991
123722 과자광고의 속 뜻 + 구인광고의 속 뜻 [5] 스위트블랙 2010.07.12 3466
123721 듀게 소모임 회원 모집 - LGBT 컴온~ LGBT 2010.07.12 2684
123720 축구: 네덜란드 - 스페인 [232] tori 2010.07.12 3322
123719 시계줄이 안풀려요... Linear Algebra 2010.07.12 2127
123718 축 스페인 승 [3] nishi 2010.07.12 2482
123717 비바 스페인!! [1] cksnews 2010.07.12 1745
123716 지금 네이버에서 문어를 검색하면 [12] mithrandir 2010.07.12 4165
123715 2010 남아공월드컵 안녕.... [1] soboo 2010.07.12 1735
123714 SBS 2010 남아공 월드컵 클로징 영상. [4] 01410 2010.07.12 2432
123713 마지막 경기 감상. [5] nishi 2010.07.12 2161
123712 OPIC와 TOEIC의 상관관계 [1] 2010.07.12 2765
123711 자신이 고2고 남고에서 공학으로 바뀐다면, 유급하시겠습니까.. [12] catgotmy 2010.07.12 2843
123710 냉면과 맥주?! [4] kiwiphobic 2010.07.12 2544
123709 [bap] 천재감독 이만희 일대기 연극 [1] bap 2010.07.12 1896
123708 드라마퀸을 꿈꾸는건 아니었는데 [2] 러브귤 2010.07.12 2802
123707 [질문] 아이폰 3Gs 에서 OS4 로 업그레이드 한후 느려지는 현상 [4] 가라 2010.07.12 2508
123706 2010 남아공 월드컵 골든볼은 우루과이 포를란 [2] 어둠의속 2010.07.12 2656
123705 가카의 후안무치 말장난은 참... [6] Damian 2010.07.12 2477
123704 이거 다들 이러신가요.. 사소한건데.. 한번 해봐주세요. [22] 레옴 2010.07.12 403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