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로주점'(1877)

2023.06.10 14:11

thoma 조회 수:270

제목만 알고 있던 고전 소설에 대해 오해하고 지냈던 경우가 꽤 있습니다. 지난 번에 읽은 '분노의 포도'. 저는 이 '포도'를 오랫동안 포장도로로 알고 있었습니다. 농민들이 분노해서 도로 점거라도 하나 보다...라고요. 확인한 결과 먹는 포도였는데 정확하게는 모르겠으나 분노가 포도처럼 알알이 익어간다는 의미인가 봅니다. '포도'가 작품에는 특별히 등장한 기억이 없는데 이 과일이 성경 속에 자주 나온 걸로 봐서 뭔가 다른 의미가 있는지도 모르겠네요. 

이번에 읽은 '목로주점'은 조금 다른 의미로 오해하고 있었어요. 저는 주인공이 주점을 운영하거나 종업원으로 일하지 않을까 그래서 그 주점이 이야기의 배경이리라고 짐작해 왔습니다. 아니었어요. 주인공 제르베즈의 평생 직업은 세탁부입니다.   

원제인 assommoir 는 '도살용 도끼, 선술집'이라는 뜻을 가지는 요즘은 잘 안 쓰는 프랑스어인 모양입니다. 우리말로는 '목로주점'이라는 제목으로 자리잡아서 어쩐지 낭만적인 느낌이 더해져 있네요. '선술집'이나 그냥 '술집' 같은 제목이 낫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의미가 아닌 어감상으로요. 이제는 '목로주점'이라는 제목이 고유명사로 자리잡은 듯해 어렵겠지요. 원제를 보면 중의적인 의미가 있네요. 술집이 분량상으로는 많이 차지하는 배경이 아니지만 이야기 전개의 중요성 면에서는 절대적입니다.

앞서 읽었던 '집구석들'도 공간이 중요했습니다. 브루조아들이 모여 사는 건물이 배경이면서 유기물과 같은 하나의 세계를 이루며 계급의 전형을 보여 줍니다. '목로주점'도 공간이 중요합니다. 주인공의 흥망성쇠가 공간들로 표현되어 있었어요.  


에밀 졸라는 총서를 시작할 때 발자크와의 차이를 말하며 이렇게 썼다고 합니다.

'나는 현대사회가 아닌 한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타고난 유전적 기질이 환경에 의해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역사적 배경과 직업, 거주 공간 등을 작품 환경으로 선택할 것이다. 나는 순수한 자연주의자이자 순수한 생리학자이고 싶다. 원칙(왕정, 종교)보다는 법칙(유전, 격세유전)에 근거한 글쓰기를 지향하고자 한다.' 

인간을 표현할 때 이념과 이상으로 된 가치관이 주는 영향(원칙)보다는 타고난 유전적 요인과 직업, 주거 공간 같은 환경적 요인만을 살펴 쓰겠다는 뜻이겠습니다. 이것은 졸라의 인간관일 수도 있고 그에 따른 소설작법에서의 선택이겠으나 논란이 따랐다는 건 당연하게 보입니다. '목로주점'이 발표되고 졸라는 양측에서 다 공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보수 진영에선 문학과 병리학을 구분 못한다, 공화파로부터는 민중에 대한 경멸로 그들을 깎아내리는 인물이다, 라고요. 빅토르 위고조차도 '노동자들이 처한 비참하고 비천한 상처를 드러내 보여 세인의 구경거리로 전락시켰음은 유감스럽다.'고 했다네요. '목로주점'만을 보면 민중들의 삶에 희망이나 전망이 안 보이니까요. 애초에 그들은 가난을 대물림하며 교육도 못받고 술 한 잔의 위로만이 의지가 되는 일상인데 이를 그대로 전시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는 생각을 했겠습니다. 

하지만 신문에 실리는 노동자들의 사건사고 조각 기사와 한 인물의 기복을 따라가는 긴 이야기는 역할과 파장이 다르지 않겠습니까. 당시에 이 소설을 읽은 노동자들이라면 제르베즈의 성실함과 어리석음에 이입하고 분노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반면교사삼는데 어떤 설교보다 낫지 않았을까, 단순하지만 그런 생각을 해 봅니다. 그들을 들러리로 다루지 않았고 그들 중 하나가 주인공인 이야기가 귀했을 당시에 말입니다.

총 13장 중에 12장 후반 30페이지 정도는 제르베즈의 최악의 상태를 기술하는 부분인데 거리를 헤메다 가스등에 생긴 자신의 그림자를 보게 되는 장면은 잊히지 않습니다. 원래 다리를 살짝 절던 제르베즈는 나이들수록 몸이 불면서 다리를 심하게 절게 되는데 길바닥에 비친 그 그림자, 비대하고 땅딸막하고 흐느적거리며 텀블링이라도 하는 듯한 자신의 그림자를 보며 절망합니다. 굶주려서 눈오는 거리를 헤메는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기 그림자를 보게 한 작가가 새삼 대단해 보였습니다.


아래는 세탁부 그림을 여럿 그렸던 드가의 작품입니다. 비슷한 시기에 작품 활동을 했고 '세탁부'라는 소재를 공통으로 가지지만 드가와 졸라가 특별히 돈독하게 지내진 않았다는 걸 읽었습니다. 소재와 지향점, 이 둘은 다르니 그런가 싶어요. 그래도 소설 속의 제르베즈가 저런 복장을 했겠지라는 생각을 했고 옮겨 봅니다.

?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

?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61
123703 [듀나인] 코스트코에서 나올 때 영수증 확인은 도대체 왜 하는 걸까요? [13] 침엽수 2013.05.19 6240
123702 나를 슬프고 우울하게 만드는 친구이야기 [41] 2011.01.24 6240
123701 MBC 파업 중 [1] 연등 2017.08.28 6239
123700 네이버에서 손석희 검색하다가 충공깽 경험했습니다. [10] mitsein 2014.04.21 6239
123699 이병헌 음담패설 영상으로 협박한 여성 입건. [10] 자본주의의돼지 2014.09.02 6239
123698 무릎이 붙는 연예인... [24] DJUNA 2011.09.18 6239
123697 스타벅스 라자냐 좋네요 [19] 나나당당 2013.07.06 6238
123696 제주도의 어느 게스트하우스에서 [10] HardCore 2012.05.15 6238
123695 [공지] 게시판 이상 신고 받습니다. [10] DJUNA 2012.06.26 6237
123694 불쾌한 농심 소고기짜장면 광고 [24] amenic 2011.11.26 6237
123693 박근혜는 오늘 확실히 보여줬네요. [14] 작은가방 2012.12.16 6236
123692 건대 성폭행 사건 인데요.. [20] coffee香 2011.10.14 6235
123691 대학생 김태희. [10] 자본주의의돼지 2013.07.11 6234
123690 문라이즈 킹덤을 보고 (ost 사진 포스터) [5] 봄눈 2013.02.03 6233
123689 지못미 장수원 씨... [15] 샤워실의 바보 2013.09.15 6232
123688 [듀숲?] 미혼남과 이혼녀의 결혼 [24] 가라 2012.03.30 6232
123687 일본문화가 많이 죽긴 죽었어요.... [23] 디나 2011.12.22 6232
123686 이런 크기의 바퀴벌레가 존재할 수 있나요? [19] kct100 2013.08.11 6231
123685 남자도 가지는 흔한 결혼 공포증 [34] 킹기돌아 2012.11.08 6231
123684 뱀 주사위 놀이판 지금 보니 엽기적이네요. [15] 무비스타 2011.12.04 623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