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슈퍼 배드

2010.09.23 00:34

milk & Honey 조회 수:4459

 

 

 

 

'슈퍼 배드’의 여자 아이들-마고, 에디트, 아그네스-은 버림받은 소녀들을 위한 보육원에서 살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어린 나이에 거리로 내몰려 할당량의 쿠키를 팔아야 하며, 고된 노동 후에는 원장실을 청소해야 합니다. 이 아이들의 유일한 소원은 “어서 입양이 되게 해주세요!” 그러나 이 보육원은 입양이 된 후 다시 파양이 된 아이들을 골판지 상자에다 집어넣고 그 안에서 기거하게 하는 무시무시한 곳입니다. 상자 겉에는 ‘the box of shame'이라고 크게 적어놓지요, 모두가 가면서 볼 수 있도록. 그리고 이 마을에는 ’그루‘란, 뾰족코의 마왕같은 인간이 사람들을 빵빵 얼려버리고 각종 공공재 및 개인 소유물을 마구잡이로 파손하며 휘젓고 다닙니다.


영화를 보지 않은 분들이 여기까지 읽으시면 이 영화를 지난 세기의 공포를 표현한 암울한 작품이라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몸보다 큰 머리, 저주받은 물건을 꺼내는 주머니가 달린 괴물고양이...그가 온다, 도라에몽!” 식의 싱거운 이야기일 뿐이랄까요.


이렇게, 어두운 현실이 깔려 있긴 하지만 영화는 더없이 밝고 화사합니다. 정말 나쁜 사람은 사실 등장하지 않구요, 고딕풍 호러 캐릭터에서 따왔음이 분명한 그루의 집과 고전적인 아날로그 장치들, 그리고 집, 비행선 등 이음새없이 매끈하게 설계된 최첨단 기기가 가득한 벡터의 디지털 장치들을 대비해서 보는 것도 재미있습니다. 


'수퍼 배드'의 횡과 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중심인물들은 비슷한 트라우마를 갖고 있어요. 그것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오는 결핍입니다. 주인공 그루는 달로 가고 싶은 욕망에 대한 공감을 어머니로부터 얻지 못합니다. 벡터는 정확한 서사는 없지만 엄청난 부를 소유한 아버지로부터 억압당하며 살아온 기크의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우리 귀여운 마고, 에디뜨, 아그네스는 어린 나이에 버림을 받았지요. 


나머지 한 축은 어른이 된 제작자들의 어린 시절에 대한 향수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앞의 결핍과도 연관이 되는 부분이라 따로 분류하는 것이 옳은지 모르겠습니다. 이러한 감정들은 자상하며 반성할 줄 아는, 또한 어린 존재를 진심으로 사랑하며 표현하는 부모, 장난감과 신기한 장치들로 가득한 세상, 나를 따르는 요정들의 존재 등등으로 형상화되어 있습니다.


한편 이들이 이룬 각각의 가정은 어딘가 조금씩 조각이 빠져있습니다. 그루에겐 아버지가, 벡터에겐 어머니가, 세 명의 아이들에겐 부모가 묘사되어 있지 않습니다. 마지막 함께 하게 되는 가정의 최종형태도 양부모가 함께 한 가정의 모습은 아니지요. 제작자의 의도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 이혼율이 높고 한부모가정의 비율이 높아진 현실에 맞게 제작된 것일 수도 있고 그닥 필요없는 캐릭터까지 그려 데이터의 양을 늘이고 싶지 않았던 것일 수도 있지요. 하지만 가족의 형태가 생물학적 혈연 중심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반증임은 확실합니다. 이건 제겐 희망이기도 하구요. 외로운 현대인들의 판타지이기도 합니다.


 

 



 

 

* 우리말 더빙으로 봤습니다....웬만하면 더빙은 ‘전문성우’, 하다못해 훈련된 배우들이 담당하도록 합시다, 예?
* Miranda Cosgrove, Julie Andrews, Steve Carell의 목소리 더빙이 있었군요. 자막으로 한번 더 봐야 하나...(순서는 선호도순)

* 미니언들은 그대들이 가지십시오. 벋뜨 아그네스는 제 겁니다. 꺄악.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회원 리뷰엔 사진이 필요합니다. [32] DJUNA 2010.06.28 82897
122 [영화] 회색 벨벳위의 네마리 파리 Four Flies on Grey Velvet <유로호러-지알로 콜렉션> [6] Q 2010.10.11 6250
121 [영화] 소스 코드 Source Code [4] [18] Q 2011.05.06 6250
120 [영화] 이터널 선샤인(Eternal Sunshine of the spotless mind, 2004) [4] [28] hermit 2013.02.04 6263
119 [영화] 시타델 Citadel <부천영화제> [30] Q 2012.07.29 6271
118 [소설, 아니메] 은하영웅전설 - 전설이 아닌 우리의 현실 [6] [1] Ylice 2010.09.17 6299
117 [영화] 블랙 사바스/검은 안식일 The Black Sabbath (마리오 바바 감독) <유로호러-지알로 콜렉션> [23] Q 2011.07.02 6308
116 [영화] 007 skyfall [2] [201] ML 2012.11.04 6312
115 [영화] The King's Speech/Somewhere [4] [21] 베베른 2010.12.30 6319
114 [영화] 엣지 오브 다크니스 (Edge of Darkness, 2010) : 멜 깁슨은 녹슬지 않았다 [22] 조성용 2010.03.30 6355
113 [영화] 자본주의: 러브 스토리 (Capitalism: A Love Story) : 사람 잡는 러브 스토리 [204] 조성용 2010.03.15 6369
112 [애니메이션] 렌과 스팀피(The Ren and Stimpy Show) [3] [16] 원한의 거리 2011.01.08 6388
111 [영화] 유령작가, The Ghost Writer (2010) [8] [215] violinne 2012.06.22 6452
110 [영화] 오블리비언 Oblivion [1] [30] Q 2013.04.29 6473
109 [영화] 다크 나이트 라이즈 The Dark Knight Rises (뒷북 리뷰, 스포일러는 후반부에 모아놓음) [7] [33] Q 2013.02.03 6479
108 [영화] 아홉개의 꼬리가 달린 고양이 The Cat O'Nine Tails <유로호러-지알로 콜렉션> [4] [1] Q 2010.09.08 6510
107 [영화] 점원들 (Clerks., 1994) : 동네 편의점에서의 이런저런 일들 [25] 조성용 2010.03.13 6513
106 [소설]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The Lifecycle of Software Object) [1] [204] 날개 2013.08.05 6526
105 [영화] 1980년대 후반 홍콩 느와르 영화 11편 [5] [2] 곽재식 2011.02.11 6540
104 [영화] 설국열차 [2] [22] menaceT 2013.08.02 6552
103 [영화]히치콕劇場 - 현기증(Vertigo1958년작) [2] [2] 무비스타 2010.11.03 657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