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좋았네요.

2023.12.07 21:11

thoma 조회 수:367

한병철의 [피로사회] 읽고 조금 소개합니다. 

2012년에 나오고 화제가 된 책이니 뒤늦은 독서입니다. 문학과 달라서 이런 책은 조금 시기를 탈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읽어 보니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현 시대는 외부에서 강제하는 타자의 힘 즉 부정적 폭력에 의해 착취당하는 시대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전제가 되는 이 부분은 생각의 여지가 있는 것 같아요. 지금도 여전히 그런 사회인데? 또는 그런 조건에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라며 받아들일 수 없는 전제라고 할 수도 있으니까요. 그런데 다른 층위로 볼 때, 사회의 어떤 측면에서 볼 때는 이해가 가고 본 설명을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습니다.

   

저자는 지금 시대는 이질적인 힘에 의한 규율사회가 아니며, 같은 것의 과다,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한 자기 착취가 일어나는 성과사회라고 진단합니다. 이 사회에서 주민은 자기 자신을 경영하는 기업가가 되어 있고 '예스 위 캔'의 구호가 말해 주듯 '할 수 있다'와 '자기 자신이 되어야 한다'라는 무한정한 압박을 가집니다. 능력, 가능성, 성과의 압박입니다. 자유와 강제가 일치하는 사회가 되었다고요.


저자는 이렇게 스스로를 괴롭히는 긍정의 과잉과 산만함에 대한 대응으로 '깊은 심심함'이라는 상태를 제시합니다. 

저는 졸리다가 눈을 번쩍 떴습니다. 이거 내 생각이랑 비슷한데? 게으른 저는 어쩌다 알게 되는 지인들 중에 항상 뭔가를 배우거나 모임을 만들거나 해서 활동적인 일을 해야만 하고 가만히 있으면 큰일나는 것처럼 여기는 사람들을 보면 이상했거든요. 저의 경우에는 심심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정상적인 일상 생활을 하는 데 꼭 필요하거든요.

저자는 아래의 니체 말을 옮기면서 자기 생각을 거들게 합니다. 

'우리 문명은 평온의 결핍으로 인해 새로운 야만 상태로 치닫고 있다. 활동하는 자, 그러니까 부산한 자가 이렇게 높이 평가받은 시대는 일찍이 없었다. 따라서 관조적인 면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것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인간 성격 교정 작업 가운데 하나이다.' 

니체는 지금에 비하면 조용했던 19세기 이후를 살지 못한 사람인데도 이런 말을 했나 봅니다. 저기 '관조적인 면을 대대적으로 강화하는' 이란 게 한병철의 표현으로는 '깊은 심심함'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분노'의 의미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분노는 세계가 점점 긍정적으로 되어가는 것을 멈출 수 있는 힘이라는 뜻으로 말하고 있었어요. 분노는 긍정과 정상에 흡수되고 있는 '예외적 상태'를 확보하는 에너지라고 하면서 짜증, 신경질과 구분을 합니다. 저에게 분노의 에너지까지는 힘겹게 느껴졌어요. 그저 짜증에 머물고 있는 사람이라.


제가 책의 맛을 잘 옮기지 못했으나 짧은 분량의 철학에세이 종류인데 문장은 정연하고 군더더기 없이 할 말만 잘 전달하는 책이었어요. 

심심하게 사는 제 편을 들어 주는 거 같은 기분이라 잘 읽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43
125075 訃告 - 이선균 (1975-2023) [24] 상수 2023.12.27 2072
125074 연말결산 - CGV아트하우스 영화흥행 Top5, izm올해의 싱글, 앨범(국내, 팝) [2] 상수 2023.12.26 360
125073 에피소드 #69 [2] Lunagazer 2023.12.26 69
125072 프레임드 #655 [4] Lunagazer 2023.12.26 67
125071 백만년만에 뽄드칠을 해봤어요 [7] 돌도끼 2023.12.26 261
125070 킹스 퀘스트 4 음악 [2] 돌도끼 2023.12.26 85
125069 [디즈니플러스] 아직은 크리스마스니까! 시즌 무비 '솔드 아웃'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12.25 354
125068 프레임드 #654 [4] Lunagazer 2023.12.25 80
125067 [아마존프라임] 코엔 형제 '스타일' 영화를 좋아하신다면, '블로 더 맨 다운'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2.25 280
125066 최근 본 드라마와 잡담 [6] thoma 2023.12.25 457
125065 기형도, 성탄목 - 겨울 판화 3 중 [7] jeremy 2023.12.25 289
125064 [강력비추] 레벨 문;;; [14] LadyBird 2023.12.25 611
125063 캐롤 앨범 중에는 이게 부동의 1위여요. [7] jeremy 2023.12.25 508
125062 [핵바낭] 일 다 끝냈습니다 & 일상 바낭 & 메리 크리스마스 [14] 로이배티 2023.12.25 412
125061 이런저런 잡담...(어른들의 말) 여은성 2023.12.25 233
125060 송창식-밤눈 [2] jeremy 2023.12.24 155
125059 프레임드 #653 [4] Lunagazer 2023.12.24 65
125058 Ocn 나홀로집에 1편 지금 해요 [1] 가끔영화 2023.12.24 113
125057 아마존 프라임 추천작 '솔트번' [6] LadyBird 2023.12.24 412
125056 이런 형식으로 쓰기 좋아하는데 직업이 아니라 자타의 완성도 30%하하 [1] 가끔영화 2023.12.24 1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