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는 침묵했다' 읽고 잡담.

2023.05.14 15:10

thoma 조회 수:275

하인리히 뵐(1917-1985)의 200페이지 정도 길이의 소설입니다. 

이 작가의 소설은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1953)'와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1975)'가 더 많이 알려져 있는 것 같습니다. '천사는 침묵했다'를 읽고 나니 앞의 두 책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중고생 때 서점에서 책 제목을 보면서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가 무슨 내용의 책일까 궁금해 했던 기억이 납니다. 제목이 근사하니까요. 그 후에 이분 책은 안 읽고 전혜린의 같은 제목 수필을 읽었네요. 전혜린이 1955년에 독일 유학을 갔다고 하니 독일에서 뵐의 책을 만나지 않았을까 싶네요. 전혜린의 책 제목은 본인이 붙인 것은 아니지만요.


'천사는 침묵했다'의 주인공 한스는 작가 하인리히 뵐의 2차대전 징집과 전쟁 경험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뵐 작가가 무의미한 전쟁에서 벗어나기 위해 실제로 부상을 당하기도 했지만 꾀병도 부려서 입원하고 탈영 시도를 여러 번 했다고 합니다. 소설 속의 한스 역시 탈영으로 잡혀 총살 직전 어떤 이의 도움으로 도망을 치는데 곧이어 독일이 항복하게 됩니다. 폐허가 된 고향에서 굶주림에 시달리며 돌아다니는 한스가 만나게 되는 몇 명의 인물들로 패전 직후의 독일 상황을 눈에 보이듯 그리고 있습니다. 그 독일 상황이라 함은 실제로 보이는 무너진 건물과 쓰레기로 뒤덮인 장소라는 뜻도 있지만 어느 나라에든 있는 그때그때 권력과 재력에 의지해 쥐새끼 같이 살아남아 자신을 세탁해 나가는 인물까지 포함한 한 사회의 전형적 인물 구성의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인물들의 전형성이 은근하게 적절하게 잘 표현되어 있었습니다. 전시를 틈타 부를 더욱 축적하는 인간이나 이런 인물을 비호하는 종교 권력, 죽어가는 사람들 곁을 지키는 의사나 사제도 있으나 죽어가는 사람을 의학연구의 재료로만 보는 의사도 있고요, 목숨을 걸고 부패한 기득층에 저항한 이도 있고 안과 밖이 다 피폐하였음에도 서로 의지하게 되는 남녀도 그려지고 있습니다. 


비참함의 직접적인 전시로 과잉스러운 작품은 아닙니다. 소설 전반에 걸쳐 피로와 슬픔으로 인해 낮은 톤을 유지한다고 할 수 있으며 수시로 서정적이라는 생각이 들곤 했습니다. 과거 회상에서 동원되었던 나무와 안개 사이의 가스등 불빛의 번짐 같은 묘사는 헤르만 헤세, 루이제 린저 같은 어릴 때 접했던 독일 문학 이미지를 떠올리게도 했고요. 

작가 사후 출간되어 재검토가 완전하기 어려웠는지 읽다 보면 앞뒤 내용이 충돌하는 부분이나 덜 다듬은 듯한 느낌이 들 때도 있었지만 소설은 아름다웠고 또 한 명의 작가를 알게 되어 좋네요. 

8932911584_1.jpg

8937461803_2.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2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48
123609 프레임드 #475 [4] Lunagazer 2023.06.29 102
123608 인디아나 존스 봤어요 [2] 돌도끼 2023.06.29 404
123607 애니 리버비츠 베니티 페어 할리우드 화보 모음(1995~2008) [4] LadyBird 2023.06.29 309
123606 조상신에 대해 [7] catgotmy 2023.06.29 489
123605 이런저런 잡담... [3] 여은성 2023.06.29 374
123604 [티빙바낭] 이번엔 리메이크 버전 '이탈리안 잡'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06.29 379
123603 프레임드 #474 [4] Lunagazer 2023.06.28 109
123602 새 슈퍼맨 & 로이스 레인 캐스팅 발표 [11] LadyBird 2023.06.28 663
123601 6월 28일 오늘의 뉴스 몇가지(젊어지는 날, 김건희, 메가 스터디) [1] 왜냐하면 2023.06.28 339
123600 픽스 트랩 전기 모기채 써보신 분 있으신가요? [4] 산호초2010 2023.06.28 257
123599 [스압] AI챗 너머에 사람 없는 것 맞나요? 혼돈과 충격의 채팅창 [5] 스누피커피 2023.06.28 436
123598 올해 오스카 명예상 수상자들은... [6] 조성용 2023.06.28 389
123597 슬라보예 지젝 말투 [2] catgotmy 2023.06.28 297
123596 세리에 클럽들 등번호 88번 사용 금지 daviddain 2023.06.28 188
123595 축구는 더러운 산업, 모두가 포주와 창녀, 하지만 나는 그것을 사랑한다 [1] daviddain 2023.06.28 232
123594 어르신 됨을 실감 [10] 2023.06.28 398
123593 아빠 회사로 전화 건 딸 [3] 상수 2023.06.28 382
123592 Julian Sands 1958-2023 R.I.P. [6] 조성용 2023.06.28 235
123591 어디로는 가끔 일부러 이길로 지나가는지 [2] 가끔영화 2023.06.28 121
123590 '몬테크리스토 백작' 잡담입니다. [10] thoma 2023.06.28 3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