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코르셋 운동

2018.06.06 12:44

Bigcat 조회 수:3590

15332_21664_3124.jpg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 학생이 겪는 코르셋’이라는 해시태그가 등장했다. ‘코르셋’은 여성에게만 강요되는 화장한 얼굴, 긴 머리, 날씬한 몸매 등 일정한 외모 규준을 비판적으로 이르는 페미니즘 용어다.

10대 여성들이 해시태그 운동을 통해 일상에서 경험 하는 ‘코르셋’이 심각한 수준에 달했음을 스스로 말하고 나선 것이다. 이 해시태그가 달린 수백건의 트윗에는 수면 부족과 식이 장애, 결막염 등 건강 문제를 겪으 면서도 화장과 다이어트를 계속할 수밖에 없을 만큼 심한 코르셋의 압박을 받고 있다…는 10대 여성들의 고발과 토로가 담겼다. 


…초등학생들에게도 화장은 일상이다. 외모 규준을 강요 받는 여성들의 연령대가 점점 더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튜브에서 ‘초딩 메이크업’을 검색하면 2만 9300여개의 관련 영상이 확인된다. 초등학교 3~6학년 여학생들은 영상 속에서 성인 뷰티 유튜버처럼 ‘학교 가기 5분 전 메이크업’을 소개하면서 미백 선크림을 바르고 붉은 색 틴트를 칠한다.

최근 뷰티 업계의 무서운 성장세도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해 뷰티업계에 따르면 화장품 시장은 매년 20% 가량 성장해 현재 약 3000억 규모로 커졌다.

녹색소비자연대가 지난해 발표한 ‘어린이 · 청소년 화장품 사용 행태’ 보고서에 따르면 여자 초등학생 42.7%, 중학생 73.8%, 고등학생 76.1%가 색조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건 단지 세대차이 때문에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요즘 확실히 "예쁘고 멋지게 꾸며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이 커진 탓인지…이런 저런 생각이 많이 들게 하는 기사입니다.

사실 제가 청소년기를 보냈던 80년대와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이긴 합니다. 그 때는 청바지에 운동화 그리고 헐렁한 티셔츠와 점퍼가 여중고생들의 패션이었고(저는 교복 자율화 세대) 인형같이 예쁜 아이돌 가수들도 없던 시절이었죠. 화장이나 퍼머같은 건 학교 졸업하고 직장 다니면 하는거구나 생각했었는데,

요즘 청소년들이 다이어트와 메이크 업을 비롯한 외모 꾸미기에 저토록 열성일 줄은…>.<

아마도 티비매체의 영향이 큰 듯 합니다.


이러한 외모 꾸미기 문제는 비단 외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미국에서도 한 때 사회 문제로 떠올랐던 적이 있습니다. '제 3의 인종차별'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그 때가 90년대 후반이던가…
(인종보다는 날씬하고 예쁘고 멋진 남녀가 취업도 잘 되고 승진도 잘 되고 연봉도 더 높다는 통계가 나와서 세기말 분위기를 뭔가 제대로 보여줬던…-_-; )



…사실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그냥 자기가 원한대로, 선택한대로 사는거죠. 꾸미는 것도 자기 맘대로고 안 꾸미는 것도 자기 맘대로 하면 좋겠다는 겁니다. 남에게 간섭 안하고요.


자기 선택대로 자기 스타일로 원하는대로 하는 거죠.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32&aid=0002872939&sid1=102&date=2018053120&ntype=MEMORANKING

 

 

 

 

 

 

트위터 이용자 @rusoranetuser가 지난 27일 게시한 #학생이_겪는_코르셋‘ 지지 트윗에 첨부한 사진. 긴 머리를 잘라 ’탈코르셋‘ 운동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í¸ìí° ì´ì©ì @rusoranetuserê° ì§ë 27ì¼ ê²ìí #íìì´_겪ë_ì½ë¥´ìâ ì§ì§ í¸ìì 첨ë¶í ì¬ì§. 긴 머리를 ìë¼ âíì½ë¥´ìâ ì´ëì ëì°¸íê² ë¤ë ë»ì ë°íë¤.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71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20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307
123799 돈 룩 업 (2021) catgotmy 2023.07.20 215
123798 프레임드 #496 [2] Lunagazer 2023.07.20 96
123797 어느 교사의 죽음 [10] Sonny 2023.07.20 1024
123796 완전한 망각. [7] 잔인한오후 2023.07.20 433
123795 도서관 경영 관련 책 catgotmy 2023.07.20 113
123794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 대해서 이야기합시다 (시리즈전체스포일러) [6] skelington 2023.07.20 316
123793 14년전 드라마 시티홀 재밌는데요 본거지만 [2] 가끔영화 2023.07.20 181
123792 Topaki.+미임파 7짧은 잡담 [4] daviddain 2023.07.20 199
123791 미션 임파서블 : 데드 레코닝 (스포일러) + 일사 파우스트에 대해서 [10] skelington 2023.07.20 532
123790 넷플릭스 [첸나이 익스프레스], [베이워치 SOS 해상구조대] 는 핑계고... 인도 미녀 3대장 [10] 영화처럼 2023.07.20 322
123789 터전 찾기도 어려운 장애인…“이사 잦다”며 구속하겠다는 경찰 왜냐하면 2023.07.20 238
123788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07.20 482
123787 뉴진스 신곡 Cool With You MV(feat. 화양연화) 상수 2023.07.20 262
123786 [티빙바낭] 과학과 액션에 관심 없는 분들이 만든 SF 액션, '이온 플럭스' 잡담입니다 [18] 로이배티 2023.07.20 432
123785 인시디어스 5: 붉은 문을 보고 라인하르트012 2023.07.19 213
123784 프레임드 #495 [4] Lunagazer 2023.07.19 95
123783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오펜하이머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리뷰 상수 2023.07.19 409
123782 (스포)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로렌스] Sonny 2023.07.19 298
123781 5년만에 로그인... [15] 늦달 2023.07.19 511
123780 폴 슈레이더(택시 드라이버 각본, 퍼스트 리폼드 감독)의 오펜하이머 감상평 [9] 상수 2023.07.18 5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