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톨스토이인가요, 도스토옙스키인가요? 라고 선호를 굳이 묻는다면 저는 도스토옙스키 쪽이라 생각해왔어요.

나보코프는 문학이 자신을 흥미롭게 하는 관점이 되는, 탁월한 수많은 예술가의 창조물이라는 기준에서 보았을 때 도스토옙스키는 위대한 작가가 아니고 유머가 있긴 하나 진부함과 황량함을 지닌 평범한 작가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도스토옙스키 언급을 할라치면 난처함과 곤란함을 느낀다고.

[나보코프의 러시아 문학 강의]에 그럼에도 도스토옙스키가 다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좋아하지도 않는 주제를 가르칠 만큼 학술적인 교수가 못 된다. 나는 도스토옙스키의 정체를 폭로하길 간절히 원한다. 책을 많이 읽지 않은 일반 독자들은 이 가치 체계가 혼란스러울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교수로서의 나보코프는 명쾌합니다. 확신에 차서 자신의 문학관과 취향을 옹호하고 말투는 신랄합니다. 

나보코프는 네 번 - 열두 살, 열아홉 살, 스물여덟 살, 그리고 이 강의 즈음에 [죄와 벌]을 읽었다고 합니다. 열두 살 때는 황홀했으나 열아홉 살 때부터 의심을 가졌고 최근에 결함을 제대로 깨달았다고 합니다. 

저는 [죄와 벌]을 고2 때 푹 빠져서 읽고 20대 후반에 다시 읽었습니다. 수십 년이 흘렀으니 지금 다시 읽으면 느낌이 다르겠죠. 하지만 뭔가 조금 억울합니다. 나보코프가 지적하는 도 작가의 결점들과 [죄와 벌]의 결함에 수긍이 가니 더 억울한 것 같습니다.

묘사는 극히 부족하고 히스테리, 간질 발작, 정신이상의 인물들 천지에, 살아 있는 인간이라기 보다는 관념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는 인물들, 미학적 성과는 부족한 역겨운 범죄에 대한 집착과 개연성 결핍의 감상주의적 전개...... 특히 [죄와 벌]에서 살인자와 매춘부가 함께 영원의 책(성경)을 읽는다는 문장은 최악이라고 씁니다. 추잡한 살인자와 불운한 소녀 매춘부라는, 차원이 다른 둘을 성경과 함께 트리오로 엮은 넌센스라는 겁니다.

'책을 많이 읽지 않은 일반 독자'로서 이런 지적들 자체가 혼란스러운 것은 아닙니다. 들어 본 지적도 있고요. 

제가 희미하게 느끼는 억울함이랄까 반발의 마음은 좀 가혹하다는 생각 때문인 거 같아요. 

나보코프는 사람들이 이 글의 첫 줄에 있는 질문들을 나누는 것 자체가 불쾌했던 게 아닌가 짐작해 봅니다. 톨스토이의 우아함과 거대한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생생하게 이를 떠받치는 세밀함과 살아 있는 인물들의 설득력 있는 감동적인 행보. 이 위대한 작가를 도스토옙스키와 같이 위치지어 언급하곤 하는 것이 보기 싫었지 않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그럴 수 있겠습니다. 나보코프가 도 작가를 조목조목 비판한 결점을 읽어 보면요.

하나마나한 소리지만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는 아주 다른 작가입니다. 여러 차이가 있지만 균형과 불균형이라는 대비를 떠올려 봅니다. 도스토옙스키는 작가 자신이 불균형한 삶의 여정을 거쳤고 그가 만든 작품 역시 불균형한 사람들이 불균형한 사건을 만들어 나가는 이야기입니다. 자기가 잘 아는 이들을 데리고 자기가 잘 못하는 묘사를 생략하면서 잘 아는 납득이 어려운 인간사를 펼쳐놨다는 생각을 합니다. 도스토옙스키가 작품 성격에 비해 과평가가 된 부분은 있을지도 모르겠어요. 그런데 이 울퉁불퉁하고 기이하고 균형과 우아함을 찾기 어려운, 어떻게 보면 왜곡된 눈으로 본 인간 이야기에 이입하는 사람들의 에너지를 긍정합니다. 

나보코프에게는 그 불균형이 예술적, 미학적으로 정제되지 않은 하수로만 보였겠지만 말입니다.


도스토옙스키 편을 가장 먼저 읽었는데 다음에 톨스토이가 이어지네요. [안나 카레니나] 위주로 쓰고 있습니다. 

[나보코프의 러시아 문학 강의]는 모국의 문학에 대한 이야기라서인지 거침없이 써내려간 지식과 자의식이 돋보이고 읽는 재미가 있네요. 러시아 문학 작품에 이해를 더하고자 하시면 추천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70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4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424
125093 역시 스포츠에선 내셔널리즘을 배제하기 어렵군요 [7] 프루비던스 2010.06.25 2619
125092 [판매글] 소니 워크맨 NWZ-X1050 [1] 불나비앙 2010.06.25 2522
125091 [질문] 일라이 봤는데요. 듀나님 리뷰에서 마지막 반전에 대한 질문(초강력 스포일러 ) [3] 가라 2010.06.25 2608
125090 [bap] 덕수궁미술관 - 달빛 음악회 [3] bap 2010.06.25 2660
125089 영화낙서판도 파비콘 있으면 좋겠어요. 진성 2010.06.25 1747
125088 듀나인] 서울 고속버스터미널 근처에 맛있는 튀김집 [3] hybris 2010.06.25 3514
125087 안토니오 디 나탈레.. [3] S.S.S. 2010.06.25 3101
125086 [듀9] 여름 휴가계획 세우시고 계세요?? 어디로 어떻게 다녀와야 휴가 잘 보냈다고 소문이 날지.. [5] 서리* 2010.06.25 2254
125085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려는데... [2] theforce 2010.06.25 2808
125084 축구 잘 아시는 분들 [20] 민달팽이 2010.06.25 3129
125083 오겡끼데스까... [2] 메리~메 2010.06.25 2451
125082 트루시에, "日 평가전 연패는 전략일 뿐" [4] 새우눈 2010.06.25 3271
125081 서울아트시네마 오시마 나기사 회고전 [2] Wolverine 2010.06.25 2309
125080 [바낭 듀9] 아이팟 터치 4 [7] 푸네스 2010.06.25 2738
125079 아이폰 노예계약 [14] 호레이쇼 2010.06.25 4020
125078 [전시회] 패션·초상 사진의 거장, 세실 비튼(Cecil Beaton) 전.. [4] 서리* 2010.06.25 3088
125077 [듀나인] 아이패드에 동영상 넣는 법 [3] 뤼얼버내너밀크 2010.06.25 5895
125076 아이폰4- Q:손으로 잡으니까 수신율이 저하되욤 / A:(잡스)그따위로 잡지마라. [12] 룽게 2010.06.25 3848
125075 급질) 30만원으로 본체를 맞출 수 있을까요? [10] 01410 2010.06.25 2498
125074 한국전쟁 사진 (링크, boston.com) [5] 호레이쇼 2010.06.25 238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