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맞으러 다녀온 김에 써보는 사주의 괴상함..

해마다 1월 2일 아침이 되면 핸드폰이 귀신이라도 들린양 쉴 새 없이 몸을 부르르 떨어댑니다. 그나마 문자의 시대는 좀 나았지요. 언제부턴가는 동자신이라도 들었는지 경박한 육성으로 방언까지 뿜어대는 겁니다. 까톡까톡까톡까톡까까톡...

경우 없는 인간들이야 "올 해도 살아있을 셈인가?" 오고가는 갈굼으로 벌충되는 우정을 시전하지만, 대부분 사회생활의 두꺼운 등짐에 눌려 되도 않는 입에 발린 덕담들을 주고 받는 거지요. 게 중에 가장 흔한 클리셰는 육십갑자로 이름 지어진 그 년을(년을?) 넣는 것 아니겠습니까? "기해년 새 해가 밝았습니다. 너 님아 어쩌구 저쩌구"

그런데 말입니다. 엄밀히 따지자면 1월 2일이 기해년의 시작이 아님은 물론이고, 심지어 음력 1일도 기해년의 시작은 아닙니다. 천기의 운행을 따라 24절기를 지었기 때문에 입춘이 바로 기해년의 시작인 겁니다.

이 24절기는 주로 농사에 쓰이는데, 달만 보고는 살 수 없는 벼이든, 경칩에 깨어난다는 개구리나 손이 닿는 곳에 귤과 만화책을 쌓아놓고 겨울을 보내는 인간들 모두 태양을 기준으로 살아간다는 것이지요.

그러니 오래 시간 음력이 지배해 온 동양이건만 태양, 나아가선 생로병사하는 천지의 기운에 기댈 수밖에 없어요. 여기서 사주라는 개념에 문제가 생기는 겁니다. 음양오행 양과 음, 기의 흐름이 하늘로 가면 천문, 땅으로 가면 풍수, 몸으로 가면 의술, 운명으로 가면 사주가 되는 것인데, 이 넓은 세상이 하나의 땅을 기준으로 한 시간에 묶여버리니 그것의 적용에 문제가 생기는 거지요.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24절기는 주나라 시절에 만들어진 것인데, 학자들의 말에 의하면 그때는 일단 지금보다 평균 기온이 1도가 높았어요. 게다가 나름 이것저것 따져 만든 당송대의 기준으로 봐도 24절기는 중국의 화북지역에 최적화 되어 있다는 겁니다.

가령, 입춘은 봄의 입구라지만 우리의 입춘은 보통 눈 예고와 함께 시작이 되지요. 개구리가 깨어나고 산천에 푸름이 돋는다는 경칩에 신학기를 맞이한 우리는 얼어죽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패딩을 껴입은 채 교실에서 벌벌 떨었어요. 입추는 더 합니다. 작년 입추 기억하시나요? 그 불 타오르던...

음양오행과 세상의 순환을 기본 원리로 한다는 사주를 적용하기엔 뭔가 좀 이상한 겁니다. 재밌는 것은 사주의 마지막 글자조합인 시주의 해석에 따라 사람의 운명이 완전히 갈린다며 사주쟁이들은 서울을 기준으로 시간을 따질 때엔 시간을 - 30분 한다는 겁니다. 어이, 입춘에 눈 오는 문제는?

한 해의 시작이 입춘이라는 것에도 딴지를 거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사주가 꽃 피운 시대가 당송대인데, 당나라에서는 선명력을 썼단 말입니다. 이게 단순히 시차 문제가 아니 라 여러모로 우리와 맞지 않으니 세종 더 그레이트께서 칠정산을 만드셨어요. 뿐인가요? 당시 역학자들은 한 해의 마지막을 입동으로 보았고, 당연히 입동을 기준으로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된다고 봤습니다.

사주? 운명?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의아한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어요. 화북지역과 한국의 절기는 대략 20여 일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즉슨, 경칩 후 20여 일. 3월 22일 쯤에는 개구리가 깨어나고, 푸름이 돋으려 한다는 거지요. 대충 그렇죠?

혹시 우리가 나의 운명이라고 봤던 것들이 실은 남의 것은 아니었는지?

더 재밌는 건 사주에서 주장하는 대운과 세운입니다. 대운은 10년(12배수로 돌아가며 얘는 또 왜 10년? 숫자들과 관련된 공망이란 개념도 있는데 이건 논 외)을 주기로 바뀌는 운의 흐름인데요. 사주 쟁이들은 운을 정확히 따진다며 대운이 오고 가는 시기를 정하느라 지금도 지들끼리 싸웁니다. 그러면서 정작 한 해의 운을 보는 세운은 일괄 소급하여 입춘으로 스타트 결정

재밌지 않습니까?


이건, 제 운이 그닥이라 포도를 보는 여우의 마음이 되어 쓴 글이... 맞아요.. ㅜㅠ 나 어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4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88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46
124033 무빙 8-9화를 보고 [4] 라인하르트012 2023.08.17 474
124032 프레임드 #524 [4] Lunagazer 2023.08.17 93
124031 이달의 소녀와 피프티 피프티의 대조 [2] 모르나가 2023.08.17 510
124030 이옥섭 연출, 구교환, 심달기, 이겨울 주연 미공개작 단편영화 세 마리(2018) [2] 상수 2023.08.17 255
124029 신림동 대낮에 둔기로 폭행 후 성폭행, 피해자 위독 상수 2023.08.17 355
124028 시니드 오코너는 데미 무어가 자신을 연기했으면 바랐군요 daviddain 2023.08.17 216
124027 이런 감정은 소심함일까요? 자격지심일까요? [4] 한동안익명 2023.08.17 392
124026 동해는 일본해, 독도는 일본땅, 후쿠시마 오염수 빨리 방출해 주세요, 왜냐하면 2023.08.17 207
124025 시에라와 미디 [3] 돌도끼 2023.08.17 193
124024 (스포) [콘크리트 유토피아] 2회차 감상 [8] Sonny 2023.08.17 543
124023 [내용있음] 오펜하이머 [21] 잔인한오후 2023.08.17 675
124022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할거면 더 빨리 해달라고 일본에 비공식 요청한 윤석열 대통령(아사히신문 보도) [7] 상수 2023.08.17 581
124021 [핵바낭] 개학 시즌 맞이 영양가 없는 일상 바낭 [10] 로이배티 2023.08.17 347
124020 미임파를 그만 보든가 해야지 원 daviddain 2023.08.16 253
124019 [넷플릭스] 옥시콘틴이 주인공인 ‘페인킬러’ [12] 쏘맥 2023.08.16 473
124018 프레임드 #523 [4] Lunagazer 2023.08.16 90
124017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08.16 542
124016 에드워드호퍼 전시회 후기 [7] 산호초2010 2023.08.16 447
124015 [내용있음] 콘크리트 유토피아 [11] 잔인한오후 2023.08.16 678
124014 테구자 [5] 돌도끼 2023.08.16 21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