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벤져스 엔드게임


JTBC의 송원섭 기획 팀장이 예전에 캐리비안의 해적 3편을 갖고 포스팅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이 영화는 어린이들의 전쟁놀이 게임과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어른들이라면 무슨 게임을 하건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하겠지만, 어린이들의 게임은 순식간에 룰이 바뀌고, 상황에 따라 계속 새로운 규정이 등장합니다. 


빨간 비행기는 노란 탱크와 싸우면 이기지만 노란 탱크 중에서도 꼬리에 미사일이 달린 탱크는 비행기에게 이기고, 비행기 중에서도 헬리콥터는 모든 탱크에게 이길 수 있다는 식으로, 새로 등장하는 장난감의 종류에 따라 새로운 규칙이 아주 당연한 듯 인정됩니다. 


'캐리비안...'의 우주도 그렇습니다. 무척이나 긴 1편과 2편에 걸쳐 한번도 언급되지 않았던 아홉명의 해적 영주들이 갑자기 등장하고, 데비 존스가 몰고 다니는 플라잉 더치맨의 선장이 바뀌는 규칙(매우 중요합니다)도 어느 한 순간 등장해버립니다. 


세상의 끝에서 죽은 사람을 데려오는데 어떤 사람은 거기까지 가서 데려와야 하고(예를 들면 잭 스패로우) 어떤 사람은 말만 하면 다시 살려낼 수 있는(예를 들면 바르보사) 지도 순식간에 그냥 뚝딱 설명 한마디로 정해집니다.


출처: https://fivecard.joins.com/53 [송원섭의 스핑크스 2호점]


이 부분을 읽으면서 이 사람 말이 그럴듯하다고 느꼈지요. 생각해보면 마블 코믹스의 특징이 이거 아닌가 싶군요. 왜 캡틴 마블은 지구를 구하러 오지 않고, 타노스는 좀 더 생산적인 데에다 인피니티 스톤을 쓰지 않죠? 그건 이 이야기가 어린이들의 게임이기 때문이죠. 특히 '앤트맨 앤 와스프'에서 크레딧 올라갈 때 보면 이건 결국 어린이들을 위한 스토리구나 하는 생각이 들죠. 장난감을 갖고 어떻게 하면 영화 내용을 재연할 수 있는지 보여주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즐겁게 해주고 싶은 어린이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느냐, 제 생각에는 STEM 전공을 고려하는 백인 남자 어린이 - 청소년이예요. 나도 아버지가 이름난 백만장자였으면 좋겠다 라고 상상하는. MIT를 조기에 졸업해서 로봇을 만들고, 여자들을 후리고, 빨강머리 미녀를 비서로 부리다가 딸도 하나 낳고, 죽을 땐 멋지게 죽어야지. 세계를 구하면서 말이야. 지구로는 부족하니 우주를 구해야지. 한마디로 이 영화는 이 어린이의 에고를 부스팅해주기 위한 거대한 어린이 전쟁놀이지요. 이것저것 이야기 조각을 끼워맞춰서 패치워크 이불을 만들어냈고, 그 패치워크 중심에는 남자 아이가 로봇 장난감을 갖고 놀면서 앉아있더군요. 


2. 왕좌의 게임 시즌 8 에피소드 3. 


아리아가 손을 바꿔서 나이트 킹을 죽인 수법은 - 만화 '마스터 키튼'에도 나온 격투법이예요. 무기를 버리는 것처럼 하면서 주의를 흐트리고 다른 손으로 공격하는 방식이죠. 시즌 7 내내 아리아는 누군가를 죽이기 위한 목적으로 트레이닝되었는데, 개연성을 생각한다면 존 스노우보다는 아리아가 나이트 킹을 죽이는 게 자연스럽겠죠. 


왕좌의 게임 3세대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어요. 대너리스의 뱃속에는 아마도 존 스노우의 자식이 들어있을 확률이 있고, 아리아의 뱃속에는 젠드리의 자식이 들어있을 확률이 있어요. 생각해보면 좀비는 보통 썩은 구세대를 한 번 뒤엎는 장치란 말이예요. 매드 킹, 권력을 잡은 주정뱅이를 존중하던 아버지 세대와 결별을 고하는 도구죠. 그러면 3세대는 누가 열게 될까요? 대너리스와 존 스노우의 경우는 구세대의 상징과 마찬가지예요. 오래된 피죠. 아리아는 암살자고 젠드리는 로버트 바라테온의 사생아입니다. 게다가 젠드리는 평민- 대장장이를 상징하는 캐릭터죠. 이름 조차도 젠트리 (Gentry)와 비슷하잖아요. 스타크 가의 피와 바라테온 가의 피가 밑바닥 삶으로 정화되어서 태어난 아이와, 이모와 조카가 근친상간해서 태어날 용의 아이, 어느 쪽이 신 세대를 이끌어갈까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3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72
123794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 대해서 이야기합시다 (시리즈전체스포일러) [6] skelington 2023.07.20 313
123793 14년전 드라마 시티홀 재밌는데요 본거지만 [2] 가끔영화 2023.07.20 179
123792 Topaki.+미임파 7짧은 잡담 [4] daviddain 2023.07.20 198
123791 미션 임파서블 : 데드 레코닝 (스포일러) + 일사 파우스트에 대해서 [10] skelington 2023.07.20 529
123790 넷플릭스 [첸나이 익스프레스], [베이워치 SOS 해상구조대] 는 핑계고... 인도 미녀 3대장 [10] 영화처럼 2023.07.20 321
123789 터전 찾기도 어려운 장애인…“이사 잦다”며 구속하겠다는 경찰 왜냐하면 2023.07.20 238
123788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4] 조성용 2023.07.20 481
123787 뉴진스 신곡 Cool With You MV(feat. 화양연화) 상수 2023.07.20 262
123786 [티빙바낭] 과학과 액션에 관심 없는 분들이 만든 SF 액션, '이온 플럭스' 잡담입니다 [18] 로이배티 2023.07.20 432
123785 인시디어스 5: 붉은 문을 보고 라인하르트012 2023.07.19 213
123784 프레임드 #495 [4] Lunagazer 2023.07.19 94
123783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오펜하이머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리뷰 상수 2023.07.19 408
123782 (스포)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로렌스] Sonny 2023.07.19 296
123781 5년만에 로그인... [15] 늦달 2023.07.19 510
123780 폴 슈레이더(택시 드라이버 각본, 퍼스트 리폼드 감독)의 오펜하이머 감상평 [9] 상수 2023.07.18 568
123779 알쓸별잡(알아두면쓸데없는지구별잡학사전) 1차 티저 상수 2023.07.18 300
123778 로또 조작설 ND 2023.07.18 288
123777 프레임드 #494 [4] Lunagazer 2023.07.18 107
123776 [티빙&넷플릭스] 자잘한(?) 몇 가지 컨텐츠 짧은 잡담 [6] 로이배티 2023.07.18 465
123775 헉 오송터미널 사고 50분전 112 신고가 있었군요 [2] 말러 2023.07.18 47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