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소>는 무엇인가?

2019.06.06 13:39

어디로갈까 조회 수:1156

유튜브에 랜덤으로 뜬 6.25 관련 다큐멘터리를 봤습니다. 저는 13살 때까지 현충일과 6.25를 같은 날로 착각했어요. 이후 구분하게  된 후에도 해마다 이 날이면 그 아픈 영상들을 보게 되곤 합니다. 마음이 슬프고 불안정해지므로 꺼야지, 돌려야지 하면서도 꾸역꾸역 끝까지 보고 말아요. 마치 거리에서 '도를 아십니까?'라며 따라붙는 사람에게 '네, 관심 있어요'라고 답하는 것 같은 잘못된 선택/고집이죠.
온갖 감정에 휘둘리며 다 보고 나니 역시 쓸쓸함만 남습니다. 워낙 익숙한 영상이라, 잔인하고 무서운 장면에서도 참 쓸쓸하구나 선에서 감정의 타협을 보게 됐습니다. 

다만 어떤 내용이 계속 질문을 던져와요. 이를테면 이런 영상입니다. 
동지섣달, 피난열차에 몸을 싣지 못한 사람들은 언 강을 걸어서 남하해야 합니다. 피난민 중에는 기르던 소를 몰며 걷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데 소는 사람보다 미끄러운 빙판을 걷지 못하고 자꾸만 미끄러집니다. 주인이 소를 부축해요. 소가 한 발을 내딛을 때마다 그 밑에 짚가마니를 깔아주는데, 뒷발 밑에서 짚가마니를 꺼내 얼른 앞발에다 깔아주는 식입니다. 반복, 반복, 반복. 그 장면을 볼 때마다 저절로 한숨이 나오죠. '아, 저렇게까지 해야 하는 건가?'
 
그 한숨은 일상과 생활의 형태에 대한 의문입니다. 물론 제가 택하는 대답도 '해야 한다'예요. 그런 긍정 후에야, 걷는 소의 발밑에 짚가마니 깔아주기라는 자세가 실현되는 것이니까요.
피상적으로 보면  그 행위는 어이없는 노동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폭격을 피해 피난은 가야 하고 소도 강을 건너야만 해요. 소를 '데리고' 가는 것이죠.  소는 나중에 생계를 위해 팔 수도 있겠죠. 잡아먹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새 터전에서 밭을 갈게 할 수도 있고, 지친 아이를 태울 수도 있을 테죠. 무엇보다 식구인 소, 정들고 고마운 소를 폭탄 떨어지는 도시에 버려두고 오는 일  그 자체가 그들에겐 선택할 수 없는 야만이었을 겁니다. 그렇다면 <소와 함께 간다>는 것. 그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은가요?  <소와 함께>... <소>와...

자, 그리하여 이런 화두가 머릿속 전광판에서 명멸하게 돼요. '나의 <소>는 무엇인가? 내가 끝까지 데려가려는 <소>는 무엇인가?'
다큐 영상에서의 <소>는 생존을 위한 절대수단으로서의 존재였습니다. 그런 의미가 기본에서는 바뀌지 않겠지만, 지금 저는 전쟁의 와중에 있는 게 아니므로 이런 질문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살아남기 위해서, 삶의 의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 내가 곁에 두고 굳게 지켜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만 있으면 마음이 든든하여 혼돈을  미소로 대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소>.  현재의 내게 그 의미는 무엇이며, 또 무엇이어야 하는가?

빙판길 같은 일상에서 짚가마니를 까느라 손발이 조금씩 얼어붙더라도, 함께 가야할 <나의 소>가 곁에 있다면, 그렇다면 적잖이 든든하겠습니다. 고통 속에서도 현재와 미래를 두렵지 않은 자세와 표정으로 견딜 수 있을 듯해요. 뭐 인생이 견디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긴 합니다만. 

덧: 기분에 흠집난 김에 저녁엔 <허트 로커>나 찾아볼까 하는 충동이. -_-
 제임스의 대사: (아이에게) "너도 나이 들면 지금 좋아하는 것들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을 거야...... 니가 지금 좋아하는 것들이 그런 식으로 다가와. 그리고 내 나이쯤 되면 의미있는 건 한두 가지로 줄어들지. 내 경우엔 지금... 하나 뿐이야."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8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65
123599 [스압] AI챗 너머에 사람 없는 것 맞나요? 혼돈과 충격의 채팅창 [5] 스누피커피 2023.06.28 426
123598 올해 오스카 명예상 수상자들은... [6] 조성용 2023.06.28 388
123597 슬라보예 지젝 말투 [2] catgotmy 2023.06.28 297
123596 세리에 클럽들 등번호 88번 사용 금지 daviddain 2023.06.28 188
123595 축구는 더러운 산업, 모두가 포주와 창녀, 하지만 나는 그것을 사랑한다 [1] daviddain 2023.06.28 232
123594 어르신 됨을 실감 [10] 2023.06.28 398
123593 아빠 회사로 전화 건 딸 [3] 상수 2023.06.28 382
123592 Julian Sands 1958-2023 R.I.P. [6] 조성용 2023.06.28 235
123591 어디로는 가끔 일부러 이길로 지나가는지 [2] 가끔영화 2023.06.28 121
123590 '몬테크리스토 백작' 잡담입니다. [10] thoma 2023.06.28 349
123589 [티빙바낭] 마이클 케인과 미니 쿠퍼가 다 하는 명랑 하이스트, '이탈리안 잡' 잡담입니다 [17] 로이배티 2023.06.28 307
123588 요즘 본것들(최애의 아이 주제가 아이돌, 샤이니 신보, 오 영심이 주제가 해봐, 네이버 프리미엄 컨텐츠 일상을 위한 철학) [4] 상수 2023.06.27 225
123587 바이언 케인 첫 공식 오퍼 제출/김민재 업데이트/케인 ㅡ바이언 합의 [5] daviddain 2023.06.27 172
123586 프레임드 #473 [4] Lunagazer 2023.06.27 91
123585 한국의 로맨스 영화 [20] Sonny 2023.06.27 641
123584 가짜 뉴스, ITK 및 바이럴 기술: 소셜 미디어가 이적 시장을 어떻게 바꿨는가 [1] daviddain 2023.06.27 181
123583 메가박스 mx관 1매 예매 나눔합니다. 로네펠트 2023.06.27 100
123582 톱스타로 바낭 [1] 가끔영화 2023.06.27 137
123581 에어 (2023) catgotmy 2023.06.27 150
123580 6월29일 네이버 시리즈온 PC다운로드 서비스 종료(스트리밍 or DRM전환) [2] 상수 2023.06.27 2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