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위대한 발명

2019.07.14 12:18

어디로갈까 조회 수:1632

BBC에서 제작한 '인류의 발명'에 대한 다큐멘터리 필름을 봤습니다. 
세계 석학들이 꼽은 인류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은 인쇄기계더군요. 이것이 발명된 후, 지식의 축적을 통해 자연을 지배할 힘을 얻게되었다는 게 이유입니다. 동시에 그로부터 인간의 자연에 대한 '강간'이 시작되었으며, 지구 파괴의 속도가 앞당겨졌다는 비판도 곁들여졌고요.

인간 진화의 다음 단계인 컴퓨터도 인쇄기계 비슷하게 많은 표를 얻었어요. 스스로 프로그램을 짤 수 있는 컴퓨터는 인간의 생물학적 구조를 바꿔 사이버 요소를 생리과정 안에 도입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생물학적 종으로서의 인간은 사이버네틱 종으로 변하게 되는 것일까요? ( 아마도 저는 그런 진화를 보지 않고 죽을 듯하여 별 고민 안... - -) 

컴퓨터와 비슷하게 중요한 발명으로 언급된 것이 인도-아랍의 숫자체계입니다. 그게 없었으면 미적분도, 뉴턴이나 갈릴레이의 업적도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고, 당연히 컴퓨터도 등장하지 못했을 테죠. 윈도우즈는 시장을 먼저 장악했다는 사실만으로 세계를 석권했지만, 인도-아랍숫자 체계는 쓰기에 편리했기 때문에 범세계적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그외에 리스트에 오른 것들은 전기, 나사, 도르래, 페니실린과 아스피린, 시계, 비행기, 상하수도, DNA, 인터넷, 피임, 핵폭탄, 배터리, 렌즈, 확률론...등등이었어요.

그런데 독특하고 흥미로운 주장이 있었으니, 더글러스 러쉬코프란 학자가 꼽은 지우개가 바로 그것이에요. 그가 말한 '지우개'에는 컴퓨터의 'del'키, 화이트, 헌법 수정 조항, 그 밖의 인간의 실수를 수정하는 모든 것들이 포함됩니다. (전 이 분의 손을 들어주고 싶어요.) 
지우고 다시 시작할 수 없었다면, 뒤로 돌아갈 수 없었다면, 과학적 모델도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고 정부, 문화, 도덕도 없었을 것 같기 때문입니다.  

물론 모든 발명들의 가치를 전면 부정한 학자들도 있었어요. 모든 발명은 결국 비극으로 끝나거나 쓸모 없는 것이 되어버렸다는 역사적 사실을 꿰뚫은 이들인데, 주로 고고학자들이거나 예술 쪽 학자들이었습니다.

요즘 제가 하고 있는 생각/회의도 비슷한 거예요. 인생에 있어서나 예술에 있어서나, 아름다움은 과도한 성취가 아니라 포기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게 아닐까 하는 것. 

덧: 이 영상을 보고 나니 보르헤스가 선정한 '정의로운 자'들이 두둥실 기억의 수면 위로 떠올랐어요.
그의 가치관에 따르면, 자신도 모르게 세계를 구원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 단어의 기원을 찾아보는 것에 기쁨을 느끼는 사람, 
- 볼테르가 소망했듯이, 자기 정원을 가꾸는 사람, 
- 조용히 체스 게임을 즐기고 있는 두 사람의 노동자, 
- 모양과 색깔을 그윽한 눈으로 살피고 있는 도자기 굽는 사람, 
- 책의 내용에는 무관심하면서도, 어떻게 하면 책을 잘 만들까 고심하는 조판공, 
- 의견이 다를 때, 상대방이 옳다고 믿어주고 싶어 하는 사람,
- 잠들어 있는 동물을 부드럽게 쓰다듬는 사람.


덧2: 어느 러시아 사상가는 이런 역설을 선보였죠. "이제 인류는 실현되려는 유토피아를 회피하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영미 실용주의자들로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농담(!)이었을 겁니다. 
어제, 일찍 치매를 앓게 되신 친구 어머니를 뵙고 왔어요.  눈부신 과학의 멋진 신세계에서 쪼그라든 뇌로 크기가 축소된 현실을 살 수밖에 없는 모습은 우리 모두의 미래이자 위기구나 싶더군요. 십만년의 시간농축자 호모 사피엔스에게 찾아든 이 위기를 극복할 다른 차원의 발명이 절실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1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6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31
124326 [단독] 연쇄살인범들, 사형장 있는 서울구치소에 다 모였다 [2] ND 2023.09.25 592
124325 연옥에 대해 catgotmy 2023.09.25 166
124324 돈다발 맞은 (전)연예인 [3] 상수 2023.09.25 568
124323 에피소드 #56 [2] Lunagazer 2023.09.25 79
124322 프레임드 #563 [2] Lunagazer 2023.09.25 76
124321 [왓챠바낭] 어떤 일이든 진심으로 최선을 다 하면... 음... '외계인 삐에로'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9.25 405
124320 어떤말이 맘에 드세요 [2] 가끔영화 2023.09.24 270
124319 이연걸의 소림사 [3] 돌도끼 2023.09.24 277
124318 [나눔 완료] 26일(화)까지 메가박스에서 <구니스>나 <위대한 개츠비> 보실분 계신가요. [1] jeremy 2023.09.24 173
124317 프레임드 #562 [4] Lunagazer 2023.09.24 91
124316 [티빙바낭] 간만에 아주 짧은 영화!!! '언씬'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9.24 306
124315 디플에 꽤 재밌는 신작영화가 올라왔네요. [15] LadyBird 2023.09.24 926
124314 로키 시즌 2 티저 예고편(10월 6일 공개) 상수 2023.09.23 158
124313 잡담 - 당근마켓에서 당근, 로켓배송보다 더 빠른 배송, 어른의 태도 - 중년의 태도, (추가) 남이 틀린만큼 나도 틀렸다는 걸 알았을때 [5] 상수 2023.09.23 304
124312 가렛 애드워즈의 오리지널SF 블록버스터 크리에이터를 보고(스포 좀 있음) [2] 상수 2023.09.23 263
124311 오늘 알게된 힘빠질 때 들으면 힘나는 신인걸그룹 노래 하이키(H1-KEY) - 불빛을 꺼뜨리지마 상수 2023.09.23 119
124310 디플 - 무빙 다 봤어요. 노스포 [3] theforce 2023.09.23 485
124309 프레임드 #561 [4] Lunagazer 2023.09.23 103
124308 전자책 단말기 크레마 모티프 샀습니다 [7] 2023.09.23 408
124307 [더쿠펌] 돌판 문화를 스포츠판에 가져와서 빡쳐버린 스포츠 팬들 daviddain 2023.09.23 3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