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과 진보는 ‘울타리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

‘조국 대란’은 한국의 진보 정치 세력에게 어떤 예고편이 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울타리 게임’을 합법의 이름으로 승인할 것인가, 울타리 밖 사람들의 편이 되겠다고 선언할 것인가.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264



천관율 기자를 참 좋아해요. 이번주에 또 인상적인 기사를 내놨네요. (아직 유료 시기라 회원 아니면 기사는 다 안보입니다. 몇 일 뒤엔 보이겠죠.)

조국 관련해선 그냥 지긋지긋하고 그 누구도 편들거나 말을 보태고 싶지 않았는데 그 피로감이 좀 해소가 되었어요. 


허술히 요약 하자면, 

-좌우 진영 대결은 이번 사건의 본질이 아님. 이번 사건이 한국 정치를 '좌우로 갈린 세계'가 아닌 '울타리 안과 울타리 밖으로 갈린 세계'로 완전히 새롭게 바라보게 만들었다는게 핵심. 

-이론상으론(?) 진보정당은 울타리 밖의 가난한 사람들을, 보수정당은 울타리 안의 부자를 대변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현실 진보정당은 가난한 사람들이 아닌 울타리 안의 지식인을 대변. 더 이상 좌파와 가난이 한쌍을 이루지 않는 것은 글로벌 정치 대세임. 조국 대란은 한국 정치가 이 트랜드에 합류했음을 얼핏 드러냄.

-지속적 불평등 심화는 이러한 정치 현실이 한 몫 함. 서구권 국가들 통계에 따르면 진보 정당 지지자들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고학력자로 채워짐. 이들 고학력자들은 불평등,재분배 이슈에는 무관심 하고 주로 인권,환경,정치적 올바름에 관심 많음. 좌파정당들은 저학력 저소독 노동자들과의 연대가 약화됨에 따라 이들의 목소리에 반응하는 능력을 상실. 결국 현실 정치에서 좌우 막론하고 울타리 밖의 사람을 제대로 대변해주는 정당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이번 조국 이슈에 있어서도 마이크 잡고 찬/반 목소리를 낸 사람들은 울타리안의 세계의 사람들 이었음(SKY대생) 울타리 밖은 '대변되지 못하는 주권자'로 목소리를 빼앗김.

-울타리 안의 사람들은 울타리 밖으로 밀려나지 않기 위해 합법적인 유리바닥을 만들고(좋은 학군,입시 네트워크..) 합법적으로 기회를 사재기함(자녀 논문 제1저자, 인턴쉽..) 

 정부가 조국을 장관으로 만들어주면 이런 불평등을 심화하기 위한 활동들을 합당한 것으로 인정하는 꼴이 됨. 문제삼는 목소리를 받아 안을지 무시할지 몹시 고민될 수 밖에 없음.

-다른 선진국들도 비슷한 갈림길에서 진보정당이 갈팡질팡 했고 그 끝은, 울타리밖 사람들의 분노를 끌어당기는데 성공한 트럼프 같은 인물이 대통령되는 포풀리즘 대잔치였음.

-한국은 어떻게 될까? 


기사에 나온 불평등의 세대라는 책에 따르면 한국의 울타리 안인 상위 20%는 (1)대기업+정규직+노조(6.8%) (2)대기업+정규직+무노조(2.9%) (3) 중소기업+정규직 +노조(11%) 라고 하네요. 

저는 저기에 속해있고 진보정당을 지지합니다. 돌이켜 보면 부의 재분배에는 피상적인 수준의 동의를 하지만 적극적인 관심은 없는게 맞아요. 거리에 선 노동자들을 응원하고 최저임금이나 주 52시간 같은 정책의 방향성에는 동의 하나 이 활동들이 내 회사 업무를 더 피곤하게 만드네? 정도의 생각을 가지고 살았죠. 저는 크게 잘못한 게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걸로는 앞으로 한국에서도 트럼프가 뽑힐 판이라는 거잖아요ㅋㅋ (눙물) 저 상위 20%라고 해서 대단히 안정적인 삶을 사는 것도 아닌데 진보가 이들을 설득해서 80%를 끌어안는게 가능하기나 할까요? 민주주의 정말 어렵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0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09
126239 일상잡담, 산 책, 읽는 책. [4] thoma 2024.05.18 311
126238 라이언 고슬링, 에밀리 블런트 주연 스턴트맨(The Fall Guy)를 보고(스포약간) 상수 2024.05.18 250
126237 프레임드 #799 [4] Lunagazer 2024.05.18 45
126236 이정후 24시즌아웃 상수 2024.05.18 216
126235 중국 대만 침공 가능성 catgotmy 2024.05.18 278
126234 2024.05. 그라운드 시소 이경준 사진전 One Step Away 샌드맨 2024.05.18 103
126233 P.Diddy 여친 폭행 영상 떴네요 [2] daviddain 2024.05.18 416
126232 광주, 5월 18일입니다. [6] 쇠부엉이 2024.05.18 276
126231 Dabney Coleman 1932-2024 R.I.P. [1] 조성용 2024.05.18 96
126230 위대한 영화감독 장 르누아르 특별전(‘장 르누아르의 인생 극장’) 초강추해드려요. ^^ (서울아트시네마, 5월 19일까지) [6] crumley 2024.05.18 160
126229 2024.05. DDP 까르띠에-시간의 결정 [2] 샌드맨 2024.05.17 143
126228 [KBS1 독립영화관] 절해고도 underground 2024.05.17 120
126227 애플을 싫어하는 이유 [3] catgotmy 2024.05.17 358
126226 프레임드 #798 [4] Lunagazer 2024.05.17 63
126225 삼체 이후 휴고상 장편 수상작가들 그리고 NK 제미신 [2] 잘살아보세~ 2024.05.17 313
126224 [게임바낭] 저엉말 오랜만에 적어 보는 게임 몇 개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4.05.17 315
126223 90년대 fps catgotmy 2024.05.16 126
126222 프레임드 #797 [4] Lunagazer 2024.05.16 63
126221 (수정) '꿈처럼 영원할 우리의 시절', [로봇 드림]을 영화관에서 두번 보았어요. [8] jeremy 2024.05.16 262
126220 비트코인이 망할 것 같습니다 [25] catgotmy 2024.05.16 9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