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의 에토스

2019.10.03 23:51

Joseph 조회 수:624

요새 자주 들어가보는 김규항 씨의 블로그에서 본 글 중에 제가 가장 마음에 드는 글을 인용해봅니다.


"딱한 사람들이다. 여기에서 밀리면 다 죽는다는 계산을 하는 모양인데, 계산할 일이 아닌 걸 계산하면 다 죽는 것이다. 우습게도 상황의 본질을 묘파한 건 조국 측이다. 그들은 며칠 전 ‘국민 정서와 괴리는 인정하지만 적법하다’고 했다. 여기에서 ‘국민 정서’가 바로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정치의 에토스다. 정치는 로고스(논리)의 영역이 아니라 에토스(정서적 신뢰)의 영역이라는 말이다. ‘국민 정서와 괴리’는 참작할 문제가 아니라 결정적 본질이다. 에토스가 사라지면 정치도 사라진다. 이 정권의 정치적 에토스는 조국 덕에 이미 상당 부분 손상되었지만, 기어코 임명을 강행한다면 완전히 날아가고 만다."

http://gyuhang.net/3595


사피엔스를 읽으면서 가장 공감가는 부분이 공동체에서 "신화"의 중요성에 대한 부분이었습니다.

국가가 유지되려면, 때로는 나라를 위해서 개인이 목숨까지 버릴 수 있어야 하는, 개인으로 보면 말이 안되는 선택이 가능케 만들어야 합니다.

볼테르는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내 하인에게 그 이야기를 하지는 마라. 그가 밤에 날 죽일지 모르니까."라고 말했다 합니다.


실제로는 허구인, 공동체의 "신화"를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특히 지도층의 integrity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 부분을 아리스토텔레스는 에토스라고 표현하고 있고요.

에토스이자, 국민 정서, 진정성, integrity가 정치의 결정적 본질이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나와 내 아들은 절대로 군대 가는 바보짓을 안할 거지만, 남의 자식은 군대에 가서 때론 목숨도 잃을 수 있어야 하고

나는 강남 불패를 믿지만, 내가 살아보니 다른 국민들은 굳이 강남에 살 필요 없고 투기를 못하게 막아야 하고

나는 내 자식 선행학습 시키고 특목고에 보내지만, 앞으로 다른 국민들은 그럴 수 없게 만들 거고

나는 내가 가진 돈과 권력을 이용해서 내 자식 좋은 학교에 보내서 의사 판검사 만들 거지만, 다른 국민들은 그런 특권적 혜택을 누려서는 안되고

나와 내 가족에 대한 수사는 인권이 존중되고 피의사실이 공표돼서도 과도한 수사가 이루어져서도 안되지만, 내 정적까지 그런 혜택을 누려서는 안되겠고,

나는 법무부장관이지만, 내가 가고자 하는 대의를 위해 내가 저지르는 반칙과 위법은 문제가 되지 않고,

이것을 내로남불이라 비판하면 정치가 다 진영논리인데 이게 왜 문제되냐 항변하고 ..


법무부장관은 "자연인"으로서 COI가 있는 "검사"에게 연락을 해도 되는데, 왜 나는 업무상 관련이 있는 이들과 "자연인"으로서의 관계가 제한을 받아야 하죠 ?

왜 나는 매번 힘들게 청렴 교육을 들어야 하며, 까다로운 김영란법을 하나 하나 따져가며 지켜야 하나요?

왜 고위층 자녀들은 자사고, 특목고 쉽게 보내는데, 내 자식은 자사고, 특목고 보내기가 점점 어렵게 교육 정책이 변하는 거죠?


이런 정치인이 이끄는 정책을, 나라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까요?

아마 국민들은 정치인의 손이 가리키는 쪽이 아니라 몸이 향하는 쪽만을 바라볼 것이고, 각자도생이 답인 나라가 되겠죠..


지휘관이 도망가는 상황에서 돌격 앞으로 구호에 앞으로 나갈 병사가 아무도 없는 것이 당연하듯이

온갖 부정과 반칙을 저질렀고, 가족은 이미 기소되었고 본인이 기소될지도 모르는 법무부장관이, 진정성이 의심되며 정치적 의도가 의심되는 지금 이 시점에, 이태껏 검찰이 하자고 해도 안 하고 깔아뭉개고 있던 검찰개혁을 하려고 하는데, 그가 가리키는 손을 바라볼 검사와 국민이 얼마나 될까요?



저는 조국 씨가 법무부장관인 나라를 위해 내 자신과 가족을 희생하고 싶은 생각이 조금도 안 듭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58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5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11
125675 프레임드 #728 [4] Lunagazer 2024.03.08 79
125674 감기와 타이레놀 [1] catgotmy 2024.03.08 185
125673 '소권' [1] 돌도끼 2024.03.08 117
125672 짭새라는 말 [4] 돌도끼 2024.03.08 264
125671 디지털 서비스의 본질적 저품질 [6] Sonny 2024.03.08 312
125670 Ed Sheeran - Thinking Out Loud catgotmy 2024.03.08 71
125669 Kim Min-jae has been solid but his potential for greatness makes his place at Bayern safe [1] daviddain 2024.03.08 110
125668 드래곤볼, 닥터 슬럼프의 작가 도리야마 아키라 급서 [10] 나보코프 2024.03.08 561
125667 ] “누가 흘렸나”…한국 축구 ‘혼란의 도가니’에 빠뜨린 ‘더 선’의 실체 [2] daviddain 2024.03.08 328
125666 30년 차 SF 작가님 인터뷰 [6] thoma 2024.03.08 393
125665 핸드폰 잡담요 [5] theforce 2024.03.08 175
125664 드라큐라 - 미스테리와 상상 돌도끼 2024.03.07 137
125663 프레임드 #727 [4] Lunagazer 2024.03.07 75
125662 퇴마록을... 한재림 감독이 영상화한다고 하네요??? [12] Sonny 2024.03.07 797
125661 패스트 라이브즈를 보고 쓰는 갠적 뻘글 유스포 라인하르트012 2024.03.07 324
125660 [핵바낭] 또 그냥 일상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4.03.07 429
125659 패스트 라이브즈를 보고<유스포> [2] 라인하르트012 2024.03.07 426
125658 [정보] [듄: 파트2] 메가박스 코엑스 돌비 시네마 예매창 열렸어요. jeremy 2024.03.06 149
125657 '천룡팔부' 돌도끼 2024.03.06 202
125656 프레임드 #726 [4] Lunagazer 2024.03.06 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