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난방배관 공사를 하느라 집을 다 뒤집어 엎은 후부터 집 정리를 제대로 안 하고 대충 살고 있습니다. (저의 깔끔떠는 성격에 질렸던 가족들이 다 갸우뚱해 할 정도~)
다른 혼란은 익숙해졌는데, 책과 음반 정리가 제대로 안된 건 스스로 참 불편해요.  청구기호까지는 표시하지 않아도 도서관이나 음반매장 급으로 체계적 정리를 해왔거든요. 
대공사 끝난 후, 일단 박스에 들어 있던 책/음반을 가구로 옮기는 것까지만도 힘에 겨워서 아무렇게나 진열해 놓은 터라, 뭐 하나 찾으려면 한참 헤매야 하는 사정입니다.
더는 견딜 수 없어 오늘부터 정리에 들어갔어요. 반나절을 하고도 겨우 1/5 을 했는데, 그러다 페테리코 펠리니의 에세이 한 권에 마음이 꽂혔습니다. 

어느 분야든 거장의 재능은 그가 활짝 꽃피운 분야에만 한정되는 게 아니죠. 자신이 걸어간 길의 지형을 바꾼 대가들은 언어를 질료로 했을 때에도 그 재능이 유감없이 발현됩니다. 
영화감독들 중 제게 글로 강렬한 인상을 준 건 타르코프스키와 베르히만과 펠리니입니다.
"영화는 빛을 잉크로 하는 글쓰기다"라고 한 장 콕토의 말을 저는 이렇게 살짝 비틀어 이해해요. "어떤 영화감독은 잉크로도 빛의 세계를 구축한다."

[Fellini on Fellini]는 펠리니가 자유롭게, 그러나 퍽 의식적으로 조각해낸 자화상 같은 에세이들과 인터뷰를 재구성해 놓은 책입니다.  펠리니의 삶과 영화작업은 물론, 그가 관심을 두고 조명한 세상의 편린들이 총망라되어 있어요. 
그 중, 어릿광대 pagliaccio를 정의해 놓은 부분이 매우 인상적입니다. 어릿광대는 펠리니의 페르소나이자 그를 영화로 이끈 첫메신저이기도 하죠.

"나는 언제나 유쾌하고 익살맞으며 초라함에도 불구하고 애정을 불러일으켜 박수를 보내게 하는 방랑자와 어릿광대에게 깊은 감동을 받아왔다. 존경과는 거리가 먼 존재들에게 나는 늘 마음이 이끌린다. [...] 
처음 만난 순간부터, 나는 어릿광대와 같은 사람이 되고 싶었다. 결국, 대체적으로 나는 성공했다."
이어서 펠리니는 몇 페이지에 걸쳐 '어릿광대'론을 적고 있습니다. 그걸 제 마음대로 요약해서 옮겨요.

" 어릿광대. 그는 자유로운 존재다. 그의 삶엔 필요한 것이 거의 없으며, 生의 끝까지 낙관주의를 지속시킨다. 또한 그는 경이로운 존재다. 조롱이나 경멸에 상처입지 않고, 어떤 불행이나 재난에도 살아 남는다. 
그는 타인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스스로도 즐길 줄 안다. 이것은 신의 가호 아래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그는 인간의 가장 동물적인 부분과 어린아이 같은 측면의 캐리커쳐이다. 그는 농담의 희생자인 동시에 농담의 주체이고, 조롱하는 자이자 조롱당하는 자이다.
어릿광대는 거울이다. 그가 만드는 기이한 캐릭터 속에서 인간은 그로테스크하게 일그러지고, 그 우스꽝스러운 이미지를 통해 우리는 스스로를 본다. 
그는 인간의 모든 비합리적 측면과 본능적인 부분, 그리고 인간에게 내재된 기성 질서에 대항하는 반란의 기운을 구현한다. 그는 우리의 그림자다. 그는 지상에서 사라지지 않고 영원할 것이다."

어릿광대의 영어-  Clown의 의미는 <아주 수수한/ 거친/ 서투른>이죠. 후에, 관객을 인위적인 서투름으로 웃기는 사람이라는 뜻의 광대로 확장되었고요.
이탈리아어로 어릿광대는Pagliaccio입니다. 이 단어는 영어 의미와는 조금 차이점이 있어요.  clown은 서커스나 극장에 속하는 인물이고, 훌륭한 곡예사며 거의 예술가라고 할 수 있죠. 그러나 팔리아쵸는 장날이나 저자거리에 속하는 인물이에요. 만만한 조롱의 대상이죠.

밀라노 근무시절, 회사 근처엔 어릿광대 분장을 한 퍼포머들이 와서 짧은 공연을 펼치곤 했어요. 물론 그들은 우리에게 조롱이 아닌 경탄의 대상이었습니다.  그들은 불현듯 거리에 활짝 만개하는 봄꽃 같은 존재들이었어요.
불과 일미터도 떨어지지 않은 그 꽃들이 제겐 어떤 극단적인 풍경처럼 보였습니다. 삭막한 피로 속에서 바라보는 영원한 저편. 손 뻗으면 닿을 거리에 있으나 저와는 단절되어 있는 아름다운 세계.    

pagliaccio.jpg


pagliaccio2.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3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64
109933 검찰발 "사람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1] 왜냐하면 2019.10.03 433
» 페데리코 펠리니의 글을 다시 읽으며 [10] 어디로갈까 2019.10.03 675
109931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초바낭 잡글) [3] ssoboo 2019.10.03 656
109930 조국 딸 “학교와 도서관서 2주 공부한 뒤 학회 참석… 당시 동영상도 있다” [10] Joseph 2019.10.03 934
109929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달렸네요 [10] 노리 2019.10.03 636
109928 검찰 특수부 축소에 대한 조국의 이율배반? [4] ssoboo 2019.10.03 652
109927 2019 kiaf 후기 [2] Sonny 2019.10.03 507
109926 스포일러] 테드 창 '상인과 연금술사의 문', 그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예요 [29] 겨자 2019.10.03 1198
109925 We Store Your Evidence - 검찰의 압색 대비 모든 자료를 보관해드립니다 [1] 휴먼명조 2019.10.03 413
109924 최기영 과기부장관 - 포털 실검 조작은 의사표현 [5] 휴먼명조 2019.10.03 530
109923 특수부에 관심 없던 민주당, 조국 수사받자 “특수부 축소”…“이율배반적” //천정배 “조국 수사와 노무현 수사는 전혀 다르다” Joseph 2019.10.03 319
109922 정경심씨가 이미 소환되어 조사받고 있군요!! [1] 휴먼명조 2019.10.03 448
109921 그때 틀린 사람들이 지금도 또 틀린다. [10] 휴먼명조 2019.10.03 841
109920 수렁에 빠진 검찰과 게시판 쓰레기들 [1] 도야지 2019.10.03 529
109919 [스포] <후기>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 조커 [2] 노웰 2019.10.03 1013
109918 조커...철학은 없고 분노만 있는(스포) [2] 안유미 2019.10.03 1080
109917 [넷플릭스바낭] 본격 심문 수사극 '크리미널'을 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버전 모두 봤습니다 [7] 로이배티 2019.10.02 728
109916 [마일드한조국바낭] 근데 생기부 유출 건 조사 말이죠 [6] 로이배티 2019.10.02 909
109915 최경영x김경율x김완 '조국 사모펀드, 어디까지 사실일까?', 잡담 feat.유시민 [35] 타락씨 2019.10.02 1365
109914 두 명의 슈퍼맨 [2] mindystclaire 2019.10.02 46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