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 사장의 이메일

 

2010년 정태영 현대카드 사장이 한 고등학생과 이메일을 주고 받습니다. 관련 기사  정태영 사장이 쓴 답신에 보면 학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는 건 반대다, "문학, 역사, 경제학, 수학, 물리학, 공학 등 조금 더 기초적인 학문을 전공해서 자신의 세계를 깊고 넓게 열어 놓으라고 권하고 싶"다. "저 자신도 불문학을 전공했고 지금 대학에 다니는 두 딸도 학부에서 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있고 저는 그런 선택에 매우 기뻐하고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당시에 이 내용을 읽고 아 이 답변은 약간 위험한데... 하고 생각했던 기억이 나네요. 왜냐하면 불문학, 문학, 사회학을 공부하는 건 부의 징후이지 그게 부의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했거든요. 참고로 조언을 받은 학생은 2013년 한국외국어대 국제통상학과에 입학했다고 조선일보는 전하네요. 


오병돈 - 김창환 연구 


Social Science Research에 오병돈 - 김창환 교수의 연구가 실렸습니다. 연구 내용 요약하면 (1) (미국에서) 대학이 태어난 계급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2) 대학원으로 인해서 계급 재생산이 일어난다는 겁니다. 이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김창환 교수가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1) 하나는 대학원도 다 같은 대학원이 아니라는 것. 석사와 박사가 다르고, MBA나 의대 같은 프로페셔널 스쿨이 다름. 고소득층 자녀일수록 석사보다는 박사와 프로페셔널 스쿨에 많이 진학.  이를 수직적 계층화(Vertical stratification)로 명명. 


(2) 다른 하나는 전공 선택. 고소득층 자녀들은 학부에서는 인문학이나 순수자연과학 등 돈안되는 전공을 선택하고, 대학원에서는 공대, 의대, 경영 등 노동시장 보상이 높은 전공을 선택. 이를 수평적 계층화 (horizontal stratification)로 명명. 

이 때문에 학부 전공을 제대로 통제하면 대학졸업자 중에서도 노동시장에서 부모의 영향력이 나타남. 과거에 대학 진학 후 부모의 영향력이 없어보였던 이유는 저소득층은 돈되는 전공을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고소득층은 그러한 미래의 재정적 압박에서 자유로워서 인문학을 전공했기 때문 (미국에서 인문학은 고소득층 덕분에 유지 ㅠㅠ). 같은 전공자 내에서는 돈많은 부모를 둔 자녀의 소득이 여전히 높음.


(3) 마지막은 연령. 고소득층 자녀는 학위를 일찍 따는데, 저소득층 자녀는 알바 등을 뛰기 때문에 학위 취득에 시간이 더 걸림. 그래서 같은 연령이면 고소득층 자녀의 노동시장 경력이 저소득층 자녀를 앞섬. 이 마지막 기제는 이 전 연구에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내용.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대학원 중에서 MBA는 오히려 부모 계층의 영향력이 없다는 것. 이는 많은 MBA 진학자들이 이미 회사에서 한 번 능력을 검증받아서 선택편향효과가 크게 때문일 것으로 보임. 


출처  (강조는 제가) 


나심 탈렙은 예전부터, 부자들이 인문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당신도 그렇게 따라서 하면 안된다. 그들은 돈이 있으니까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런 이야기를 합니다. 돈이 있어서 할 수 있는 행동을 보고 그게 부자가 되는 비결이려니 하고 생각하면 안된다는 거죠. 계급상승을 하고 싶은 저소득층이라면 학부전공을 선택할 때 유의하라는 함의가 있죠. 쉽게 말해서 대학 전공은 인문계를 피하고, MBA는 회사 돈을 받아서 가고, 대학원을 간다면 박사/로스쿨/메디컬 스쿨을 가되, 학위 취득 시간을 최대한 줄인다. 이런 전략을 취해야한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미국 상황에서). 


남미 같은 경우를 보면 유치원-고등학교 교육까지는 교육의 질적 차별을 통해서 계급 재생산을 하려고 합니다. 미국도 마찬가지구요. 미국은 K-12 뿐 아니라 대학 교육도 양보다는 질적 차별을 해서 계급 재생산을 하려고 하죠. 그런데 이 경우에는 질적 차별이 아니라 교육의 양적 차별을 통한 불평등 유지 역시 존재한다는 걸 보여준 연구네요. 이 경우 저소득층이라면 어떤 전략을 취해야할지 떠오르난 바들이 있겠지요. 사실 몇가지 더 중요한 함의가 있는 연구인데 몸이 안좋아서 코멘트를 하기 어렵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7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0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89
110820 [바로잡습니다] ssoboo(구 soboo)님은 듀나님께 경고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外 [7] eltee 2019.12.23 1058
110819 [단독] 최성해 총장 결재 없는 표창장 공문 나왔다 [5] 도야지 2019.12.23 854
110818 2010년대 동안 제가 본 좋은 영화들.... [1] 조성용 2019.12.23 642
110817 2019년 동안 제가 본 좋은 영화들.... [1] 조성용 2019.12.23 662
110816 이상 야릇한 영화를 두편 봤는데 [1] 가끔영화 2019.12.23 512
110815 [바낭] 일단 글쓰기를 누르고. [10] 가라 2019.12.23 537
110814 오늘의 둘리 카드(3) (스압, 약간 더러움 주의) [5] 스누피커피 2019.12.23 260
110813 그리고 조국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2] 휴먼명조 2019.12.23 539
110812 신임 문체부 차관에 최윤희 전 수영선수 [6] 휴먼명조 2019.12.23 800
110811 조국, 정봉주, 김의겸, 그리고 이인영의 제안 [11] 겨자 2019.12.23 863
110810 [바낭] 올해도 선물은 노동집약적 [6] skelington 2019.12.23 441
110809 백예린 square [2] 어제부터익명 2019.12.23 452
110808 [바낭] 화제의 영화였던 '미드소마'를 이제사 봤네요 [16] 로이배티 2019.12.23 871
110807 카르투시오 봉쇄수도원 [7] 보들이 2019.12.23 982
110806 [만달로리안] 컨셉 아트 [4] 파이트클럽 2019.12.23 612
110805 [디즈니 플러스] 만달로리안 대박이네요 [3] 파이트클럽 2019.12.23 877
110804 캣츠 논란이 많은데 전 극장에서 보려구요 [7] 얃옹이 2019.12.22 921
110803 이 와중에 새 스타워즈 트릴로지 오디션 얘기가 나오네요 [4] 부기우기 2019.12.22 563
110802 인공 고기는 육식인가? [3] 분홍돼지 2019.12.22 671
110801 피아노와 고양이 [1] sogno 2019.12.22 3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