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저녁 9시 EBS2 [지식의 기쁨]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나미 박사의 <심리학이 본 우리 신화>라는 강연을 방송합니다. 


[지식의 기쁨]이 월화수 50분 강연에서 월화수목금 30분 강연으로 바뀌면서 내용이 좀 깊이가 없어지고 단편적인 강의가 되는 듯해서 


요즘 열심히 안 보고 있었는데 그래도 심리학에는 제가 좀 관심이 있어서 한 번 보려고 합니다. 


이나미 박사는 어디서 많이 들어본 분 같은데 한 번도 책이나 강의를 본 적이 없어서 프로필을 찾아보니 다음과 같군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대학원 정신의학과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 융 연구원에서 분석 심리학 과정을 공부하고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종교 심리학 석사를 받았다. 

뉴욕 신학대학원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이나미 심리분석연구원을 운영하고 있다."


융과 관련된 분석 심리학을 공부하셨다니 좀 관심이 생기네요. 신화와 관련된 강연을 하는 것도 아마 그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강연 일정 가져왔어요.  궁금하신 분 같이 봐요. (본방송은 밤 9시에 EBS2에서 하고 같은 날 밤 12시 25분에 EBS1에서 재방송합니다.) 



출처 : http://home.ebs.co.kr/knowledge_joy/board/1/10102714/view/10010616850?c.page=1&hmpMnuId=100&searchKeywordValue=0&bbsId=10102714&fileClsCd=ANY&searchKeyword=&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Value=0&

어릴 때부터 접했던

한국의 고전 신화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분석

 

과연 심리학과 신화는 어떤 접점을 가질까?

 

현대 심리학으로 풀어보는

고전 신화 속의 숨겨진 의미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나미 박사와 함께한다.

 

 

함께 꾸는 꿈 11 11일 (월)  9 EBS2TV,  12 25() EBS1TV 

어느 나라에나 존재하는 신화들. 그중에서도 우리와 가장 관련이 깊은 우리나라의 신화를 들여다보는 그 첫 번째 시간. 신화는 인류 공동체가 함께 꾸는 꿈이자 다른 세계로 가는 상상력을 불어넣어 주는 여행이다. 그 여행 속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나미 박사와 떠나본다.

 

동굴의 시간 11 12일 (화)  9 EBS2TV,  12 25() EBS1TV 

인류가 가진 원형적인 심리상태를 알 수 있는 신화. 신화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과연 무엇일까? 건국 신화로 알려진 단군 신화가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우리의 탄생 이전과 죽음 이후의 세계를 들려주는 신화 속으로 들어가 본다.

 

누구나 신이 될 수 있다 11 13일 (수)  9 EBS2TV,  12 25() EBS1TV 

신라의 왕인 박혁거세의 탄생 신화. 그리고 또 다른 신라의 왕들인 석탈해와 김알지까지. 신화 속에서 알은 어떤 의미일까? 그 세 사람의 공통점은 또 무엇일까. 신화 속에 숨겨진 삶의 비밀과 신기한 상징들을 파헤쳐본다.

 

완전하지 않은 신 11 14일 (목)  9 EBS2TV,  12 25() EBS1TV 

세상의 자연물과 지형을 창조했다고 알려진 거대한 여신, 마고할미. 마고할미는 어떤 신이었을까? 신화 속 신들은 늘 완벽하기만 할까? 신과 인간 사이에는 완전하지 않은 신의 모습이 있다고 하는데. 마고할미 신화를 통해 신과 인간, 과거와 현재의 연결고리를 알아본다.

 

인류의 꿈, 화성 이주 11 15일 (금)  9 EBS2TV,  12 25() EBS1TV 

자신을 버린 부모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바리데기 신화. 바리데기가 떠나는 여행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모습과 닿아있다. 바리데기 신화 속 바리데기의 여정을 따라가면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삶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8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1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74
123963 프레임드 #516 [4] Lunagazer 2023.08.09 102
123962 오늘도 안 조용한 잼버리 왜냐하면 2023.08.09 589
123961 Beau Is Afraid 후기가 없네요 [6] Gervais 2023.08.09 468
123960 인디락이라고 불리는 무언가를 사랑한다. [7] 위노나 2023.08.09 394
123959 올 여름 한국영화 대작 중 마지막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보고나서(약 스포) [3] 상수 2023.08.09 771
123958 참 별일이야 [2] 가끔영화 2023.08.09 268
123957 [왓챠바낭] 괴작... 은 아니고 그냥 제가 스스로 낚인 영화. '블라인드 디텍티브'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8.09 395
123956 [넷플릭스] 어둠 속의 미사, 우어어.... [7] S.S.S. 2023.08.08 468
123955 노무현입니다 (2017) catgotmy 2023.08.08 239
123954 프레임드 #515 [6] Lunagazer 2023.08.08 96
123953 근황 겸 잡담 - 연남동, 편의점과 편의점앱, 화면 바깥의 일들의 중요성을 잊어버리고 살던 [2] 상수 2023.08.08 267
123952 영화 퀴즈, 산 책, 읽을 책 짧은 잡담 [17] thoma 2023.08.08 379
123951 미션임파서블7 11회 차 [4] daviddain 2023.08.08 226
123950 William Friedkin 1935-2023 R.I.P. [5] 조성용 2023.08.08 269
123949 [넷플릭스바낭] 이게 다 라이언 존슨 때문입니다. '옥자' 재감상 잡담 [16] 로이배티 2023.08.07 693
123948 뭐야 중국 가던 태풍이 획 돌아서 한국으로 [2] 가끔영화 2023.08.07 357
123947 그대가 조국 (2022) [2] catgotmy 2023.08.07 415
123946 에피소드 #49 [4] Lunagazer 2023.08.07 88
123945 프레임드 #514 [6] Lunagazer 2023.08.07 102
123944 세월호 사건의 원인 [4] catgotmy 2023.08.07 48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