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분 어묵

2020.01.13 16:01

은밀한 생 조회 수:1029

편의점 냉장 코너에 보면 한두개쯤 꼭 진열돼있는 그거예요.
전 전자레인지에 데워먹는 즉석식품을 그다지 좋아하는 편은 아닌데요, 이게 맛있는 척을 하는 맛없음이라 그래요. 특히 겨울 찬 바람에 시달린 상태에서 한 입 털어 넣는 그것들은 그 뜨끈함에 일단 감탄은 하고 보거든요. 이후로 음식이 점점 식어갈수록 여러 가지 첨가물의 어지러운 냄새와 즉석식품 용기의 역한 냄새 같은 것들이 풍기기 시작하면, 아 내가 대체 뭘 처먹었나 현타가 오죠. 맛없을 거면 첨부터 맛없든가..... 전자레인지에다 데운 즉석식품을 한 입 먹었을 땐 언제나 오 의외로 괜찮은데? 속고 만단 말예요.

하지만 그런 즉석식품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마지막까지 맛있는 게 있는데요 바로 3분 어묵이에요. 어차피 어묵이란 거 자체가 길거리에서 먹든 수제어묵 전문점에서 먹든 고급 일식집에서 먹든, 생선을 갈아서 이런저런 첨가물을 넣고 만든 것이니까 기본적으로 재료 본연의 맛 어쩌고 하는 기대가 없는 음식이기도 하고. 추운 겨울에 호호 불면서 먹는 그 맛은 대체로 마지막까지 실망을 주지 않죠. 어묵을 한 대접 먹진 않으니까. 보통 한두 개나 좀 많다 싶음 세 개 네 개에서 멈추죠. 너무 크지도 작지도 않은 적당한 용기 안에 어묵이 대여섯개 들어 있고 곤약묵도 한 개 들어 있는 구성인데, 제가 3분 어묵을 좋아하는 건 또다른 이유가 있어요.

이 삼분 어묵을 전자레인지에 데워 한입 들이키면, 언제나 생생하게 살아나는 장면이 있죠. 초등학교 5학년 때인가 저보다 10살이 많은 큰언니가 박물관에 데리고 간 적이 있어요. 당시 저는 엄마가 해주는 밥이나 튀김과 도넛, 동네 제과점에서 파는 빵이나 핫도그 같은 게 인생 주식과 간식의 전부였던 시절이었죠. 제가 어려서이기도 했지만, 그 당시에는 편의점도 없었고 전자레인지도 집집마다 있질 않았어요. 겨울방학의 시작쯤에 박물관을 갔으니 아마 12월이었을 거예요. 흐린 날이었는데 축축하고 차가운 날씨였어요. 언니가 친구도 한 명 데리고 오라 해서 나의 양지바른 언덕도 데리고 갔었죠. 싱글벙글 두리번대던 친구랑 박물관을 둘러보고 로비 라운지에 잠시 앉아 있으라고 하더니. 안 그래도 좀 춥고 출출하던 참에 큰언니가 들고 온 삼분 어묵은 진짜 신세계였어요. 일단 전자레인지란 거에 데워서 나온 그 동그란 용기도 너무 신기했고, 뜨겁다면서 얼른 내려놓는 언니의 손동작도 신기했고, 뚜껑 비닐 포장을 북 뜯는 것도 신기했고. 언니가 먹자!! 하는 순간 한 입 들이키고 친구랑 나랑 “우와 언니 이거 뭐야” 했던 그날의 신기하고 따뜻한 기분이. 삼분 어묵을 먹을 때마다 그대로 살아나곤 해요. 정말 맜있게 먹었거든요. 마치 현대 최첨단 문명의 주인공이 된 기분이었어요.

난생처음 구경하는 드넓은 박물관의 풍경과 짙게 흐린 하늘. 금방이라도 눈이 올 것 같았지만 눈은 내리지 않았고 입고 있는 옷이 꼭 차가운 비닐을 뒤집어쓴 것 같단 기분이 들던 그날. 나의 양지바른 언덕이 연신 신나서 어머 저것 봐라 어머 얘 이것 봐라 하던 목소리가 갑자기 멀게만 느껴지고 신기하고 종종 웃었지만 이상하게 울적했던 그날. 언니가 데워온 삼분 어묵의 따뜻함이 참 좋았어요. 처음 보는 즉석식품이었지만 그걸 데울 수 있는 전자레인지 같은 기계가 있단 게 낯설었지만, 어쩐지 편안했거든요.

길거리 포장마차에 서서 어묵을 먹는 걸 좋아하질 않는지라 요즘도 가끔 목이 따갑거나 뭔가 겨울바람에 몸이 잔뜩 움츠러들고 배가 고픈 건 아닌데 그렇다고 차 한잔 같은 걸로 채워지지 않는 한기가 돌 때, 편의점에 들러 삼분 어묵을 사서 집에 가곤 하는데요. 세월이 그렇게 흘렀어도 삼분 어묵을 한입 마시는 순간 꼭 그 박물관의 짙게 흐린 하늘과 축축하게 차가운 공기와 웅성대는 사람들의 소리, 그리고 두 어린 동생들을 데리고 박물관 구경을 시켜줬던 큰언니가 당시에 지금의 나보다도 훨씬 어렸단 것. 이미 사회생활을 하던 나이 터울이 많은 언니가 먼 거리를 아침저녁으로 회사를 다니며 번 돈으로 종종 어린 내게 책과 CD, 간식, 용돈을 줬던 것에 대한 고마움과 미안함이 일제히 일어나 훅 치고 가는 기분이 들어요.

참 따뜻하고.
이상하게 조금은 서글픈 그런 기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26299 에피소드 #91 [4] Lunagazer 2024.05.27 41
126298 프레임드 #808 [4] Lunagazer 2024.05.27 111
126297 '비버리 힐스 캅: 엑셀 F' 예고편 [2] LadyBird 2024.05.27 120
126296 단독] 한화 최원호 감독, 1년 만에 중도 퇴진 daviddain 2024.05.26 146
126295 [왓챠바낭] 뉴질랜드산 알쏭달똥 가족&임신 호러, '리유니언'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4.05.26 149
126294 파리 쿠프 드 프랑스 우승 daviddain 2024.05.26 59
126293 매드 맥스: 더 웨이스트랜드 - 업데이트 [2] theforce 2024.05.26 331
126292 침착맨 유튜브에 대해 [3] catgotmy 2024.05.26 485
126291 극장이라는 무대 [2] Sonny 2024.05.26 152
126290 [핵바낭] 늘 그렇듯 영양가 없는 일상 잡담입니다 [12] 로이배티 2024.05.26 339
126289 프레임드 #807 [6] Lunagazer 2024.05.26 45
126288 Richard M. Sherman 1928 -2024 R.I.P. [1] 조성용 2024.05.26 92
126287 77회(2024) 칸 영화제 시상식 결과 [2] 상수 2024.05.26 296
126286 추천 드렸었던 [로봇 드림]을 CGV에서 다시 하네요. [1] jeremy 2024.05.25 120
126285 그 댕댕이 훈련사..진실은 무엇일까요 [20] Gervais 2024.05.25 1132
126284 아이돌과 제작자, 누가 아티스트인가? [9] skelington 2024.05.25 507
126283 QWER 건대 축제 영상 [2] 메피스토 2024.05.25 295
126282 가스비 5만원 [2] catgotmy 2024.05.25 191
126281 프레임드 #806 [5] Lunagazer 2024.05.25 61
126280 R.I.P. Morgan Spurlock 감독(1970-2024) 상수 2024.05.24 1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