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집에 없던 다카하시 루미코의 최신(이라기엔 이미 좀 됐습니다만 어쨌든 '최근') 단편집 두 권을 추가로 구매했습니다.

제목은 '운명의 새'와 '거울이 왔다'.


음... 팬심 조금만 덜어놓고 솔직히 말하자면 그냥 그렇습니다. ㅋㅋ

최근작 '경계의 린네'가 여전히 볼만은 하지만 그렇게 훅 꽂혀서 달리게하는 매력은 모자라듯이, 단편집들도 그래요.

개인적으로 이 분의 단편집들을 놓고 호감 순위를 매겨보면 거의 단순하게 '옛날 것일 수록 더 좋음' 이라고 정리가 가능하거든요.

(그런데 가장 오래된, 가장 재밌는 단편집 두 권은 해적판으로만 한 번 나오고 정발이 한 번도 안 돼서 지금은 초레어... 제가 그걸 왜 친구에게 빌려줬을까요. ㅠㅜ)

'운명의 새'에선 에피소드 하나 정도, '거울이 왔다'에서는 두 셋 정도가 '괜찮았'고 되게 인상적인 작품은 없었어요.


그런데 '거울이 왔다' 말미에 반가운 물건이 있더군요.

소년 선데이 터줏대감 작가 둘이서 공동으로 자기들의 만화가 데뷔 과정과 인연에 대해 그린 건데 그 둘이 바로 아다치 미츠루와 다카하시 루미코입니다.

전에도 얘기 했었지만 작가로서의 평가를 떠나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둘이라서 별 내용 없어도 아주 즐겁게 읽었죠.


99A8B0345E3D199423

(중간에 언급되는 '장거리포 아오야마'는 아마도 명탐정 코난 작가인 듯 하네요)


99BE74345E3D199335


아다치가 네임 밸류 면에서 좀 딸린다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이 양반도 엄연히 1억부 이상 판매한 작가라는 거. ㅋㅋㅋ

암튼 좋아하는 작가 둘이서 이런 이벤트를 했다니 괜히 기분이 좋더라구요.



2.

다카하시 루미코 단편집을 읽으면서 또 한 가지 들었던 생각은 그런 겁니다.

음... 그러니까 이 양반 사고 방식이 되게 구식이에요. ㅋㅋ 이게 그냥 장편으로 연재하는 환타지 코믹물들을 볼 땐 크게 안 느껴지는데, 단편집의 이야기들은 대체로 보통 사람들의 일상을 소재로 많이 하다 보니 확 느껴집니다. 예를 들자면 고부 관계, 부부 관계를 소재로 삼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말하자면 '착한 90년대식' 관점이랄까... 그런 느낌이죠. 뭐 57년생에 이제 환갑을 훌쩍 넘어 칠순을 향해 가고 있는 분이라, 그리고 제가 팬이라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넘어가지만 어쨌든 요즘 시대에 좀 어울리지 않는 사상인 건 사실이겠구요.


위에서 언급했던 아다치 미츠루도 그렇죠.

2020년이 된 지금 시점에도 아다치 만화 주인공들이 사는 모습들을 보면 거의 30년 전에 그렸던 '터치' 주인공들과 거의 똑같습니다.

애초에 비슷한 설정을 워낙 줄기차게 우려내는 작가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그런 단순한 자기 복제 차원을 넘어서 그냥 이 분 만화 속의 세계관은 30년 전부터 전혀 변화가 없어요. 뭐 수시로 그런 부분에 대한 자아 비판을 작품 속에 넣어서 셀프 면죄부를 주긴 하지만 어쨌든 정체되어 있는 건 사실이죠.


그리고... 구체적인 예를 콕 찝어서 들면 맘 상하는 분들이 있을 테니 걍 '80~90년대에 제가 좋아했던 뮤지션들'의 근황을 봐도 그렇습니다.

그 분들 중에 예전만큼 지금도 잘 파는 뮤지션이 거의 없는 건 단순히 음악 시장의 지형이 변해서만은 아니죠. 예전 스타일을 그대로 유지하는 분들을 보면 대체로 좀 낡은 느낌이 들고, 나름 새로운 스타일을 꾸준히 파는 분들은... 좀 버거운 느낌이 드는 경우가 대부분이 뭐 그래요.

뭐 당연히 예외는 있겠습니다만, 대체로 그래 보인다는 이야기입니다. '예술가의 유통 기한'이란 게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존재하는 것 같아요. 어찌보면 본인이 10대~20대 때 보고 들었던 작품들이 무조건 짱이라고 우기는 중장년 사람들(접니다!!)이나 예술가들이나 이런 면에선 비슷한 것 같기도 하구요. ㅋㅋ



하지만 그래도 뭐.

이미 그 분들 '스타일' 자체에 인이 박히고 정이 든 저 같은 소비자 입장에선 그냥 그 분들이 꾸준히 활동을 하고 작품을 내놓는 것 자체가 반갑고 좋은 거구요. 그래서 계속해서 꾸준히 오래오래 활동해주면 고맙고 그렇습니다.


그러니 아다치 미츠루씨는 어서 '믹스' 다음 권을 내놓는 걸로(...)



 + 이런 얘길 줄줄 늘어놓고 나니 갑자기 스필버그 옹 생각이 나네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 양반은 인간계를 초월한 존재 같습니다. =ㅅ=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25
123986 [넷플릭스바낭] 본격 Z세대 풍자 호러, '공포의 파티'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08.13 553
123985 주시자의 눈 [6] 돌도끼 2023.08.12 355
123984 김지운 연출, 송강호, 임수정, 오정세, 전여빈, 정수정, 박정수 출연 거미집 티저예고편 [1] 상수 2023.08.12 454
123983 의식의 흐름대로 써보는 수원역 마실(사진없) [7] 메피스토 2023.08.12 335
123982 '당나귀와 함께한 세벤 여행'(1879) [2] thoma 2023.08.12 146
123981 한국인은 여전히 양반 쌍놈 놀이를 하고 싶은 것 [1] catgotmy 2023.08.12 377
123980 프레임드 #519 [6] Lunagazer 2023.08.12 92
123979 바이언의 새 9번 [1] daviddain 2023.08.12 118
123978 [왓챠바낭] 본격 웨스턴 여성 호러, '더 윈드: 악마의 속삭임' 잡담입니다 [6] 로이배티 2023.08.12 433
123977 미임파 7 12회 차 [3] daviddain 2023.08.11 175
123976 '콘크리트 유토피아' 짧은 잡담 [13] thoma 2023.08.11 810
123975 다들 (애증의) 잼보리 콘서트 보시나요, 보세요 [4] 스누피커피 2023.08.11 591
123974 프레임드 #518 [4] Lunagazer 2023.08.11 82
123973 사람은 잠자는 상태가 기본이다란 말 무심하고 철학적이단 생각이 가끔영화 2023.08.11 244
123972 취화선 (2002) catgotmy 2023.08.11 142
123971 결론은 역시 게임만한게 없지! [4] skelington 2023.08.11 332
123970 던전 마스터 [2] 돌도끼 2023.08.11 130
123969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8.11 562
123968 [영화바낭] 무지막지한 제목의 압박!!! '귀여운 그녀들은 잔인한 킬러'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08.10 373
123967 프레임드 #517 [2] Lunagazer 2023.08.10 8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