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3년작이니 30년 전 추억의 영화네요. 런닝타임은 3시간 6분. 스포일러는 딱히 없어요.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제목은 '숏' 컷인데 런닝타임 3시간 6분은 무슨 일이고...)



 - 도입부 소개 같은 게 무의미해서 대충 요약을 하자면 LA에 사는 11 커플의 일상을 짧게 짧게 보여주며 시작합니다. 마침 LA는 광대 파리의 이상 발생으로 난리가 났어요. 뉴스에선 매일 전쟁이라도 난 듯이 파리 대책이 전달되고 하늘엔 파리 잡는 살충제를 뿌리는 헬리콥터들이 편대 비행을 하고 있네요. 그리고 우리의 11 커플은...

 소개는 포기하구요. 가난하기도 하고 잘 살기도 하고 교양 있기도 하고 무식하기도 하고 기타 등등 각자 성격은 다르지만 어쨌든 지금 현재 인생을 그리 잘 살고 있지는 못한 사람들입니다. 이 11팀, 22명 + 알파의 사람들이 며칠간 LA의 같은 시간대에서 보내는 일상, 갑작스레 마주치는 사건들을 무심한 듯 시크하게 슥 훑어 보여주는 이야기에요.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아무래도 임팩트가 가장 강하고, 또 영화의 메시지도 가장 함축적으로 잘 보여주는 에피소드는 이것이 아니었나 싶구요.)



 - 영화는 1993년산이지만 한국엔 1995년에 개봉했습니다. 그리고 전 이거 말고 '20세기 레미제라블'이라는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갔죠. 이유는 단 하나, 그보다 얼마 전에 '어느 연약한 짐승의 죽음'을 보고 장 폴 벨몽도 아저씨의 간지에 반했거든요. 그래서 그걸 봤는데. 솔직히 별로 재미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대체 이게 왜 레미제라블인데?'라는 궁금증만 안고 극장에서 나왔는데... 무심코 주머니에 손을 찔러 보니, 어라. 입장할 때 아저씨가 표를 안 받으셨네요. 그런데 그때 참으로 황당하고 부도덕한(...) 생각이 든 겁니다. 표가 그냥 있으니까, 잘 얘기하면 이걸로 영화를 또 볼 수 있지 않을까?

 근데 본 영화를 또 보고 싶진 않았고. 제가 갔던 극장은 스크린이 딱 두 개였는데 나머지 하나에서 하고 있던 게 바로 이 영화, '숏컷'이었습니다. 대충 시간도 맞았고. 마침 씨네리에서 이게 걸작이네 뭐네하는 기사도 잔뜩 읽은 후였고. 그래서 매표소 아저씨와의 협상을 간단히 마치고 바로 다시 입장해서 이번엔 이걸 본 거죠. ㅋㅋ 근데 정말 아무 생각 없이 봤는데, '20세기 레미제라블'은 상영 시간이 2시간 55분. 이 영화는 3시간 6분이었으니 결국 그 날 하룻 동안 극장에서 영화를 6시간 동안 본 셈이네요. 허허허.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제니퍼 제이슨 리야 워낙 주목 받던 시기니까 그러려니 하는데, 가만 보면 크리스 펜 저 분도 여기저기 엄청 나오셨다는 걸 30년 후에야 깨닫습니다. ㅋㅋㅋ)



 - 솔직히 그 전에 로버트 알트만 영화를 본 게 있었던 것도 아니고. 인터넷도 없고 (제) 집에 비디오 플레이어도 없던 시절이라 그냥 영화 잡지에서 몇 줄 읽은 잡지식 외엔 감상에 보탬이 될 아무 정보 없이 그냥 본 거였는데요. 그런 상황에서 22명의 캐릭터들이 와장창창 뛰쳐나와서 몇 분 단위로 바톤 터치를 해가며 전개되는 3시간짜리 영화... 를 보고 뭘 얼마나 이해 했겠습니까만. 참으로 시니컬하면서도 은근히 애잔한 그 분위기랑, 끝까지 다 보고 나니 '어라, 이게 뭔가 하나의 이야기가 되네?'라는 느낌에 감탄했던 것. 이렇게 딱 두 가지는 선명하게 기억에 남았어요. 그래서 언젠간 다시 봐야지... 하다가 이제사 봤습니다. 거의 30년만에요. 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아연맨 아저씨의 젊고 느끼하던 시절도 반갑습니다만. 상대적으로 영화에서 비중은 작은 편이구요.)



 - 일단 출연 배우들을 읊어 보겠습니다. 앤디 맥도웰, 줄리안 무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팀 로빈스, 프랜시스 맥도먼드, 톰 웨이츠, 매들린 스토우, 릴리 테일러, 잭 레몬, 매튜 모딘, 앤 아처, 제니퍼 제이슨 리, 크리스 펜, 릴리 톰린, 로리 싱어, 프레드 워드, 피터 갤러거, 그리고 '풋 루즈'의 로리 싱어... 대략 제 기준 유명한 사람들만 늘어 놓아도 이 정도입니다. ㅋㅋ 그리고 영화의 형식상, 나오는 시간은 짧아도 이 사람들이 거의 다 주연이라고 볼 수 있고 그렇죠. 

 이 중에서 1995년 기준 한국에서 안 유명했던 분들은 지금 다시 보면서 참 반갑고 좀 웃기고 그랬는데요. 특히 프랜시스 맥도먼드를 보고 놀랐네요. 일단 당시엔 그냥 모르는 사람이었으니 ('파고'가 그 다다음 해에 한국에 개봉했죠) 나온 것도 몰랐고, 또 이토록 젊고 생생하며 심지어 맡은 역할도 팜므 파탈 비슷하게 나온 영화를 보게 될 거라 생각을 못 해서 그게 제일 즐거웠어요.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그러고보면 아역 배우들도 엄청 나오는 영화인데, 어째 단 한 명도 이후 성인까지 배우로 버텨낸 분이 없더군요. 허허.)



 - 그 유명한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이 원작이라고 박혀 있긴 한데. 그게 카버의 원작 소설 하나를 각색한 게 아니고 이 양반의 단편 아홉 개를 각색해서 하나의 이야기로 뭉쳐 버린 걸로 유명하죠. 아주 도전적인 작업이었을 수밖에 없었을 텐데, 그 결과물은 아주 좋습니다. 물론 제가 원작 아홉편을 다 읽어본 팬이 아니니까 하는 말입니다 그냥 영화만 보면 이것 자체로 오리지널 스토리라는 걸 의심할 생각이 안 들 정도로 매끄럽게 잘 붙어 있거든요. 물론 원작들을 관통하는 일관된 테마가 있으니 가능한 일이었겠지만 그걸 이렇게 합쳐서 멀쩡하게 하나로 만든 것도 참 대단한 능력이구나 싶었구요. 


 다시 보면서 감탄한 건 일단 편집이었습니다. 각본을 애초에 그렇게 잘 썼으니 가능한 거지만 어쨌든 되게 느슨하게 연결된, 그리고 그 중 몇몇은 사실 아예 따로 노는 이야기들을 되게 자연스럽게 하나의 흐름으로 엮고 연결해서 보여줘요. 바로 전 커플 이야기의 마지막 장면을 다음 커플 이야기의 첫 장면으로 자연스럽게 잇기 위해 같은 테마, 비슷한 상황을 공유하도록 짜 놓았는데 그게 참 그럴싸해서 '사실 앞 커플이랑 지금 얘들은 이야기 속에서 한 번도 안 만난 별개의 이야기인데?' 라는 생각이 영화를 보는 동안엔 거의 안 들어요. 


 또 이야기의 리듬이 되게 좋습니다. 얼핏 보면 대충 끊어지는 것 같은데 끊고, 또 이어가는 타이밍이 적절하고 각자의 분량 배분, 순서 설정도 좋아서 등장 인물이 너무 많다는 게 단점이 아니라 장점처럼 느껴집니다. 그리고 런닝타임은 180여분이지만 커플이 11팀이니 팀당 시간은 16분 밖에 안 되잖아요? 그렇게 짤막한 이야기 열 한개를 보는 것과 같은 상황이라서 지루할 틈이 거의 없더군요. 이 팀 저 팀 계속 건너 뛰다 보니 '이번엔 또 누구야? 얘들은 무슨 상황이었지??'라는 생각을 내내 하느라 강제로 집중 당한 것도 있었구요. ㅋㅋ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릴리 톰린은 이때 이미 '나이 든 아줌마' 역할이었는데 아직도 현역... 톰 웨이츠는 뭐, 허허. 너무 잘 어울려서 그냥 배우 같습니다. 미국의 김창완(...) 같아요. ㅋㅋ)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우리 아메리칸 스윗 하트께서도 나오시구요. 이 짤을 위의 짤과 나란히 붙여 놓은 이유가... 음.)



 - 그래서 뭐 결국 무슨 이야기냐면... 

 간단히 말하면 현대인 비판. 뭐 그런 거죠. 겉과 속이 다르고, 이기적이고 탐욕스럽고, 각자 다 자기 연민만 쩔고... 그리고 뭣보다 타인에 대한 무관심. 그런 부분을 이리저리 놀려대고 야유하다가 가끔은 정말 정색하고 까기도 하구요. 

 앞서 말 했듯이 이 중 몇 명은 정말 큰, 인생을 바꿔 놓을만한 사건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그 외의 대부분은 대체로 별 거 없이 시시콜콜한 일들만 좀 겪다가 이야기가 끝나 버리는데요. 뭐 11팀이나 되는 사람들이 싹 다 중대한 파국을 맞으면 그것도 괴상하겠죠. 영화 클라이막스 처리하기도 힘들 거고... ㅋㅋ

 그런데 이 또한 대략 조율이 되고 의도한 대로 만들어진 부분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영화의 컨셉 자체가 'LA 주민들의 우중충 찌질 피곤한 며칠' 뭐 이런 느낌이라서 굳이 모두 다 격렬한 체험을 시킬 필욘 없는 것이고. 또 이렇게 되니까 더 현실적이라는 느낌도 들구요. 가만 보면 등장 인물들도 거의가 비호감 풍자 타겟들이지만 그 와중에 슬쩍슬쩍 멀쩡한 사람들이 섞여 있는 것도 비슷하게 현실성을 유지해주는 부분 같았어요.


 그냥 개인적으론 '공허함'이라는 표현이 자주 떠올랐습니다. 다들 내면이 텅 비어 있거나, 아님 인생이 허망하거나 그런 느낌이고. 이야기의 결말도 많이 그래요. 뭔가 기적(?) 비슷한 게 일어나는 척 하다가 그냥 무심하게 슝~ 지나가 버리는 것 또한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된 느낌.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풋 루즈'에서의 강한 젊은이 캐릭터와 완전히 반대되는 역할이었는데. 쟁쟁한 배우들 사이에서 그래도 맡은 일 착실히 잘 해주신 로리 싱어씨.)



 - 근데 뭐 영화의 의미니 뭐 이런 것에 대해선 이미 수십년간 쌓인 비평들이 있으니 굳이 제가 또 따지고 들 생각은 없구요. ㅋㅋㅋ

 중요한 건 이게 3시간 6분이나 되는데도, 게다가 노장의 걸작 소리를 듣는 별로 안 상업적인 의도로 만든 영화인데도 그냥 한 번에 슥 볼 수 있을만큼 재밌다는 것.

 그냥 대충 봐도 와닿는 게 있으면서 웃기고 슬프고 씁쓸하게 다양한 감정들을 체험할 수 있는 영화니까 어렵다고 생각할 필요도 없구요.

 그래서 혹시 아직 안 보신 분들이 있다면 한 번 시도해보셔도 좋을 법한 영화... 라고 생각했습니다. 전 원래 그냥 '재밌는 영화'를 가장 좋아하는데 이 영화가 그렇다는 거.

 끝입니다. ㅋㅋㅋ




 + 폴 토마스 앤더슨이 이 영화를 그렇게 좋아해서 '매그놀리아'를 만들었다는 얘긴 전부터 들었는데. 정작 그 영환 안 봤어요. 이상하게 안 보고 싶더라구요.



 ++ 몇몇 캐릭터들의 국부 노출 씬이 있습니다. 야하단 느낌 전혀 없이 걍 일상의 '아이 부끄러' 같은 느낌으로 연출되어서 별 문제될 건 없지만 어쨌든 블러는 붙어 있구요. 다만 딱 한 남자 캐릭터만 블러의 혜택을 못 받아서 그만... (쿨럭;)



 +++ 매들린 스토우를 참 오랜만에 봤는데. 다시 보니 예쁘긴 확실히 예쁘셨네요. 매력도 있구요. 뭐하고 사시나 궁금해서 검색해 보니 내년에 나온다는 티비 시리즈 '웰컴 투 데리'라는 작품에서 주인공을 맡으셨어요. 뭐라고? 데리?? 하고 확인해보니 맞네요. '그것'의 프리퀄격 이야기랍니다.



 ++++ 이야기 구성을 잘 해놔서 중요 인물이 22명이나 나오는 이야기 치곤 크게 헷갈리는 게 없었는데, 제겐 릴리 테일러와 프랜시스 맥도먼드를 자꾸만 헷갈리는 몹쓸 병이 있어서 딱 이 두 분만 몇 번 헷갈렸습니다. ㅋㅋㅋ 저만 이런 건가요!!!



 +++++ 가만 보면 대체로 '정말로 나쁜' 역할들은 거의 남자들이 맡고 여성 캐릭터들은 상대적으로 죄가 적은 편이네요. 아니 사실 가장 큰 죄는 여성 캐릭터가 짓는데 나쁜 사람으로 묘사가 안 되어서... ㅋㅋ 그리고 그 와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재수 없는 놈들을 꼽자면


?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


 이 분들이 제 원픽입니다. 마지막에 크게 사고 치는 모 캐릭터가 더 나쁘긴 한데, 그 일 직후로 영화가 끝나 버리니까요. 결과적으로 가장 불쾌했던 건 이 분들인 걸로. ㅋㅋ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4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198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73
124516 넷플 신작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이두나 예고편 상수 2023.10.19 225
124515 요즘 맛있었던 공장제 식품들 상수 2023.10.19 270
124514 이탈리아 축구의 게이설은 [3] daviddain 2023.10.19 273
124513 가자 주민 위해 기도한다는 벤제마 daviddain 2023.10.19 145
124512 커뮤니티를 돌고 돌아 [3] catgotmy 2023.10.19 263
124511 '세이노의 가르침'을 읽고 있는데.....ㅎㅎㅎ [18] S.S.S. 2023.10.19 720
124510 마이클 만 X 아담 드라이버 페라리 공식 예고편 상수 2023.10.18 196
124509 [넷플릭스바낭] 스웨덴산 복지부동 슬래셔, '컨퍼런스'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10.18 353
124508 [바낭] 진짜 계실지도, 음악의 신 [4] 스누피커피 2023.10.18 306
124507 프레임드 #586 [4] Lunagazer 2023.10.18 69
124506 팔굽혀펴기 catgotmy 2023.10.18 117
124505 축구도 못 하는 것들이 베팅이나 하고 있고 daviddain 2023.10.18 114
124504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3.10.18 354
124503 이번 주의 잡담.. [10] thoma 2023.10.18 226
124502 조현철 감독, 김시은, 박혜수 주연 너와 나 예고편(10월 25일 개봉예정) [2] 상수 2023.10.18 270
124501 열등생의 설움을 생각하다(한화이글스, 사회적 약자들) 상수 2023.10.18 154
124500 [왓챠바낭] 딱 20주년이네요. '4인용 식탁' 잡담입니다 [16] 로이배티 2023.10.18 505
124499 유주얼써스펙트 끝나기 5분전이네요 가끔영화 2023.10.17 148
124498 응원이 보답받지 못하는 슬픔 [4] Sonny 2023.10.17 399
124497 프레임드 #585 [4] Lunagazer 2023.10.17 7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