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의료진 기사들 요약.

2020.04.05 12:39

잔인한오후 조회 수:870

누군가는 일하고 있는데, 맘 편히 놀고 있다는 부채감에 일하는 분들의 기사들을 읽어 정리해봤습니다. 4월 기사를 기준으로, 연합뉴스, 뉴시스, 머니투데이 등의 기사를 기준으로 합니다.


대부분의 기사에서 2월 18일을 기준으로 기간을 재는데, 예를 들어 '사투가 40일 넘게 이어지고 있다'는 식입니다. 아마도 31번째 확진자의 확진 시기와 일치하는 것을 봐서 그걸 기준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구의 확진자수는 2월 26일부터 3월 8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2월 29일이 피크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략 하루 300명씩 확진, 2월 29일 전국 확진자 813명.) 완치의 경우 2월 29일의 근 한 달 후인 3월 27일 414명으로 피크를 찍은 후 감소세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사는 파견 의료진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공보의 등 공공인력은 2주, 민간 의료인력은 1개월 근무가 원칙이라고 합니다. (파견의 원칙인지 근무 원칙인지는 모르겠지만요.) 즉 6주가 지났기 때문에, 공보의는 3기까지, 민간 의료인력은 2기까지 순환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공중보건의의 경우, 대학병원에서 환자 진료등을 담당하거나,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체 체취를 맡고 있다고 합니다. 1기 300명, 2기 300명 파견이 되었고, 3기는 120 여명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인터뷰들에 따르면, 추가 연장을 요청하여 1주 더 있는 분들도 있고, 본 지역으로 돌아가서도 다른 선별진료소에 근무하거나 하더군요. 검체 체취 건수는 초기 하루 5천 ~ 6천에서 현재 2천 ~ 3천건으로 줄었지만 일하는 분들도 줄어들었기 때문에 어려움이 여전하다고 합니다. (전국적 확산세에 따라 원지역에서의 요구 인원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에..)


신천지 관련 확진자수는 줄어들었지만, 요양병원 중심의 집단 감염이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어서 피로도도 상당하다고 합니다. 한사랑요양병원에서 121명, 대실요양병원에서 94명, 제2미주병원에서 134명 등 이런 식으로요. (다른 요양병원도 꽤 있고, 이게 한 번에 이렇게 발생하는게 아니라 각 병원마다 매일 꾸준히 추가 확진자가 나오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들어 한사랑병원은 4월 2일 11명이 추가되었다고 기사에서 다뤘거든요.) 


또한 생활치료센터에서 경증환자들을 도맡으면서, 코로나 전담 병원인 대구동산병원의 경우 중증환자들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업무강도가 증가한 상태라고 하네요. 어떤 인용을 바탕으로 한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중증 환자 1명이 입원할 경우, 의사와 간호사 등 20여 명이 치료에 매달려야 한다고 합니다. 이전 신천지의 경우 20대가 가장 많았으나, 이후 요양병원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의 환자들이 많아 피로도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 위의 확진 사례들만 세봐도 350명 가량이니, 전부 중증환자는 아니겠지만 의료진이 최대 7천명가량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 


초기에는 하루에 봐야할 환자가 너무 많아서 하루 3 - 4시간 자고 일했다고도 하고. 병원 입원환자 수를 줄여주는게 의료진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일이 될 것입니다. 생활치료센터에서도 무증상임에도 불구하고 확진이 꾸준히 되어 예기치 못한 돌발상황이 있었다고 인터뷰하기도 했구요. 격리 자체만으로도 격리자와 격리를 관리하는 의료진들이 매우 지치는 일임에 분명합니다.


3월달 평균 발생이 300명 가량을 매 번 넘어서서 현재 발생자 수가 적게 느껴지는 감각이 있는데, 2월을 떠올려보면 뭔가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서울/경기권 누진 확진자수가 천 백 명을 넘어섰는데, 완치자를 제외한 750여명에게 명 당 5명의 의료진이 필요하다고 적당히 가정해도 3천5백명 가량이 요구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평소의 의료 서비스와 따로 추가되는 것이니 피로도는 말할 것도 없겠죠. (대구경북으로 파견나가셨던 분들이 돌아와서 각 지역에서도 의료를 행한다고 생각하면 더 클 수도 있습니다.) 


모쪼록 2주 연장된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를 함께 잘 지켜나가 안 그래도 힘든 의료진들을 함께 도왔으면 합니다. 이번에 질본에서 발표한 목표도 곱씹어 봅니다. 1. 하루 확진자 50명 이하 (현재 평균 백 명 가량), 2. 감염경로 미상 환자 5% 이하 (4월 6일 누적미상 10.2%, 1042명), 3. 치료중인 환자 절반(혹은 천 명) 이하 (현재 3천 5백 명 정도. 확진자를 제외한 완치자 하루 50명 가정 시 70일, 100명 가정시 35일 소요.)


p.s. 아마 오늘 하루는 의료진에 관련된 기사들을 읽으며 보내게 될성 싶은데, 방금 연 기사는 공보의 관사 관련 문제를 다루고 있군요. 관사 제공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지도 않고, 주거비 지원도 따로 하지 않는듯 싶은데. 적어도 이번 상황에서 노고에 대한 보상은 제대로 되었으면 싶습니다. 70%로 깍네 마네 하는 것보다 그런게 더 눈에 들어올 것 같아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105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85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823
125700 Honest Trailers | The Oscars 2024 (Best Picture Nominees) 조성용 2024.03.11 113
125699 [넷플릭스] 젠틀맨, 더 시리즈! [2] S.S.S. 2024.03.10 309
125698 케빈 코스트너 나오는(?) 영화 두편 [2] dora 2024.03.10 241
125697 [스크린 채널] 호텔 뭄바이 [3] underground 2024.03.10 136
125696 보고 싶은 영화 "바튼 아카데미" [3] 산호초2010 2024.03.10 288
125695 프레임드 #730 [4] Lunagazer 2024.03.10 66
125694 44회 골든 라즈베리 시상식 수상 결과 [3] 모르나가 2024.03.10 349
125693 이런저런 일상잡담 [2] 메피스토 2024.03.10 148
125692 눈물의 여왕 1화를 보고 라인하르트012 2024.03.10 323
125691 지드래곤 인스타에 올라 온 파리 한글 유니폼/태극기 모티브 포스터 [3] daviddain 2024.03.10 292
125690 무좀에 대해 catgotmy 2024.03.10 93
125689 [스크린 채널] 피부를 판 남자 underground 2024.03.10 118
125688 게임 중독에 대해 catgotmy 2024.03.10 102
125687 동료가 사과한 카톡메시지에 답을 안하네요 [10] 산호초2010 2024.03.10 545
125686 [왓챠바낭] 귀여운 론 펄만이 땡겨서 본 '헬보이' 잡담입니다 [8] 로이배티 2024.03.10 273
125685 오스카 주말이네요 [6] theforce 2024.03.09 297
125684 프레임드 #429 [3] Lunagazer 2024.03.09 94
125683 공뚝딱박사와 아차아차-도리야마 아키라에 대한 기억 [4] 김전일 2024.03.09 289
125682 일본 연기상을 독식한 안도 사쿠라 [4] LadyBird 2024.03.09 462
125681 영어글의 의미 해석상의 이해를 도와주세요;; [7] 산호초2010 2024.03.09 31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