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잡담...

2023.06.29 04:23

여은성 조회 수:373


 1.이승환의 '천일동안'이라는 노래가 있잖아요? 그 노래를 제대로 안 들어봐서 노래의 가사라던가...무슨 뜻인지는 모르지만 노래 제목인 '천일'이라는 시간은 긴 시간이예요. 


 그러나 나는 그보다 긴 시간동안 재밌게 살았죠. 한 10년 가량이니까 3650일이라고 해야 하나? 



 2.어쨌든 3650일동안 몸에 안 좋은 거만 골라 먹고...밤에 돌아다니고 한것 치고는 몸이 멀쩡해요. 사실 노는 거나 일하는 거나 똑같거든요. 내가 느끼기에 재미가 있다 없다가 나뉠 뿐이지 그걸 수행해야 하는 몸의 입장에서 보면 혹사니까요. 축구 선수가 미친듯이 연습하고 미친듯이 경기를 뛰는 거나, 내가 이리저리 놀러 다니는 거나 몸을 혹사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거죠. 


 그래서 요즘은 그 점에 대해 고마운 기분을 느끼곤 해요. 그렇게 혹사해댔는데 이렇게 잘 가동되어주고 있다니...라고 말이죠.



 3.뇌를 바꾸는 수술이 나올까요? 언제인지가 문제지, 나오긴 나오겠죠. 나온다면 어느정도나 리스크가 있을까? 20%? 30%? 50%? 내가 언젠가 갈아탈 새로운 몸은 내 유전자에서 배양된 새로운 몸이 될까...아니면 그냥 완전 기계몸일까 가끔 생각해 보곤 해요. 물론 내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런 수술이 나와야겠지만.


 뇌 교체 수술을 할때 생물학적 기술이 베이스가 된 몸이라면...어쨌든 체력과 체격적인 부분, 심미성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최대로 보장되어 있을 거고. 알러지나 바이러스, 내성, 유전자 길이에 이런저런 조정이 되어 있을 테니까 100년 이상은 잘 버티겠죠. 하지만 문제는 언젠가는 다시 뇌 교체 수술을 하긴 해야 한다는 게 리스크겠죠. 기계몸으로 바꾼다면 파츠만 교체하면 되니까 다시는 뇌 교체 수술을 할필요없는 안전성은 있겠지만...해킹 한방에 골로 갈 수도 있고 업데이트 한번 잘못 받았다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큰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뭐 뇌를 바꾸는 수술이 일상화된 세상이 온다면 그건 아예 내세라고 쳐야 하고. 이번 생에 대해서나 생각해 봐야겠죠.



 4.휴.



 5.요즘 사람들의 변화점은 스스로를 너무 보존하려고 한다는 거예요. 자신이 분골쇄신해서 다음 세대의 거름이 되어보겠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점점 적어지고 있죠.


 그래서 요즘 사람들은 결혼을 안 하고 출산을 안 하면서 그 자리에 머물러 있곤 해요.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걸 미루거나 포기하면서 사는 거죠. 하긴 옛날에는 다음 스테이지로 반강제적으로 이동해야 했잖아요. 애초에 옛날에는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하지 않으면 할 것이 없기도 했고요. 요즘 사람들에겐 스마트폰도 있고 유튜브도 있죠. 남아있는 시간을 그래도 고통스럽지 않게 보내게 해주는 온갖 장치들이 마련되었죠.



 6.사실 여자의 경우는 잘 모르겠어요. 나야 남자니까. 결혼이나 출산같은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걸 미루는 동안에 해야 할 과제는 하나밖에 없거든요. 자산을 모으는 거죠. 돈을 많이 모으든, 신뢰나 평판 같은 개념적인 자산을 많이 모으든...남자는 자산을 많이 모아두면 미뤄둔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 길은 늘 열려 있죠. 치러야 하는 비용은 비싸지만.


 이렇듯 남자의 삶은 쉽고 간단해요. 물론 그걸 수행하는 건 어렵지만, 구조 자체는 단순하다는 거죠. 더 많은 돈을 모으든 더 많은 명성을 모으든 더 좋은 평판을 모으든...자산을 계속 쌓기만 하면 선택을 미뤄둔 페널티를 상쇄할 수 있거든요.


 하지만 여자의 삶은 어렵다 이거죠. 결혼시장에서 만나는 경우에는 여자의 최대 장점이 나이이기 때문에, 그 마켓에서는 본인이 아무리 뛰어나도 타이밍을 놓치면 페널티를 만회하기 어려워요. 물론 남자도 만회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만회가 가능은 한 것과 불가능한 건 다르니까요.



 7.사람들은 인생이 운칠기삼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내가 보기에 운보다도 타이밍이 중요해요. 그게 결혼이 됐든 뭐가 됐든, 인생에서 적절한 시기를 놓쳐버리면 시기를 놓친 댓가를 큰 비용을 지불하고 갚아야 하니까요.


 인생...선택의 연속이죠. 선택의 연속이지만 나이를 먹는 건 선택이 아니거든요. 나이를 먹을 때마다 선택지가 사라지거나, 똑같은 선택지여도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죠. 



 8.어렸을 때는 주식 단타를 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갔지만 요즘은 슬슬 이해가 가요. 나이든 사람들은 1년 걸려서 1억을 버는 걸 바라지 않거든요. 1주일만에 1억을 버는 걸 바라게 되어버린거죠. 왜냐면 나이가 먹었으니까요.


 어렸을 때는 부자인 척을 할 수 있냐가 중요하죠. 나이가 들면 부자인 척을 할 필요가 없게 되지만 그땐 또 젊은 척을 할 수 있냐가 중요해져요. 


 뭐 이건 어쩔 수 없어요. 부자인 척 할 필요가 없을 정도가 되면 이미 나이를 많이 먹어버린 뒤니까요. 남자의 인생이 그런 걸까? 젊었을 때는 그래도 부자인 척은 할 수 있을정도로 돈 벌고 나이들어서는 그래도 젊은 척은 할 수 있을정도로 관리를 하고 사는 것 말이죠. 평생을 그렇게 아둥바둥하며 사는 거예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6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23
123743 애플티비 제작, 소니 배급 리들리 스콧, 와킨 피닉스 나폴레옹 예고편 [8] 상수 2023.07.14 408
123742 오펜하이머 오프닝 룩(유니버셜 공식 유튜브) [3] 상수 2023.07.14 282
123741 넷플릭스 BEEF가 에미상 11개 부문 13개 후보.. [3] 폴라포 2023.07.14 484
123740 미야자키 하야오 신작 그대들 어떻게 살 것인가 관객평점이 올라오는 중인데 상수 2023.07.14 626
123739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pero acuerdo de ti/dirrty daviddain 2023.07.14 154
123738 주윤발 건강이상설 확산...은 사실 확인이 필요하네요. [3] 영화처럼 2023.07.14 438
123737 한컴타자라는 취미 [2] Sonny 2023.07.14 309
123736 XXX HOLiC 만화책 catgotmy 2023.07.14 141
123735 유승준과 한국의 복수 [3] 여은성 2023.07.14 686
123734 7월 13일- 나이스데이 상수 2023.07.13 198
123733 [티빙&웨이브바낭] 기대와 다르게 너무 멀쩡한 영화였던 '골렘 위치 스토리' 잡담입니다 [4] 로이배티 2023.07.13 244
123732 요즘 드라마 보면 남자 연기자들이 일반인 같이 생겼어요 [5] 가끔영화 2023.07.13 624
123731 웬즈데이 4화 [1] catgotmy 2023.07.13 147
123730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3] 조성용 2023.07.13 458
123729 미션 임파서블 7 데드 레커닝 파트 1 (약스포) [5] 가라 2023.07.13 474
123728 프레임드 #489 [2] Lunagazer 2023.07.13 81
123727 [왓챠&티빙바낭] 다시 B급 호러 둘 묶음 잡담, '포드'와 '극한 캠프' [5] 로이배티 2023.07.12 277
123726 프레임드 #488 [4] Lunagazer 2023.07.12 94
123725 R.I.P Milan Kundera(밀란 쿤데라, 1929-2023) [6] 상수 2023.07.12 449
123724 하루 일과 [4] catgotmy 2023.07.12 27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