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은 갑자기 깨어집니다. 깨어짐의 절묘한 비밀은 그 돌연함에 있죠. 
당연했던 일상이 깨어질 때마다, 삶은 크고 작게 변화하면서 거듭 새로워지는 것이고요. (으음)

누구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한 개인의 일상이 깨질 때,
동네의 아기들은 땅을 이기고 일어나 걷기 시작하며,
구름은 다시 한번 무연히 형태를 바꾸고,
어리석었던 친구는 기차 창 저편에서 순한 얼굴로 웃고,
자기모멸에 휩싸였던 시인은 그럼에도 한 편의 시를 완성하는 법이라는 생각을 해본 몇달이었습니다.

오랜만에 노트북 자판을 두들겨 봐요. 
석달 전 작지 않은 교통사고가 있었습니다. 
졸음운전하던 트럭이 중앙선을 넘어 신호대기 중이던 제 차를 들이받아서 오른쪽 팔이 부러지고 갈비뼈 네 곳에 금이 가는 부상을 입었습니다. (만약 제가 주행 중이었으면 사망각이었을 사고였다고... - -)

병원에서 일주일, 부모님 집에서 석달 간 몸을 추스리는 동안 제가 눈을 감을 때마다, 눈을 감고 느낌으로만 세상과 부딪힐 때마다,
내가 그동안 누려왔던 일상이 깨지면서  '눈뜸'의 계기가 찾아온 것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본다'는 건 대체 어떤 일이며 언제 가능한 것일까요?
 
어린시절, 집 근처 익숙한 숲에서 길을 잃고 헤맸던 적이 있습니다. 
기억의 왜곡인지 모르겠는데, 그 비바람 치는 어둠 속에서 실은 제 마음 속 길의 영상이 가장 환했다는 강렬한 느낌이 남아 있어요.
길을 잃는다는 건 마음 속에 보이지 않던 길 하나 새겨져 빛나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되었달까요.
 
세상의 모든 삶이 고유하게 빛나고 있지만, 또한 모든 삶이 하찮아 보이는 그런 시간의 마음.
그 마음의 소용돌이 속에서 경이롭게 '밖'의 경계선에 가닿고 있는 중입니다. 일상의,  의미의, 이유의, 언어의 밖에요.
'밖'에 닿는 순간의 충만에, 세상 모든 곳에서는 일제히 항아리들이 깨어지는 법이라죠.  언제나 그러하다지요.
살아낸 시간을 반추하며 그간의 자신을 용서하고 어둠 속에서 빛으로 이행하는 순간을 기록해봐요.

-  태초에 신이 세상을 지을 때 항아리를 깨었으니, 
   신이 쏟아붓는 충만함을 항아리는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일로 빛이 쏟아져내려 세상은 암흑 속에 머물지 않게 되었다.
   우리 영혼의 항아리가 깨어짐도 이와 같으리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2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7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56
113256 River 다 봤어요 [2] daviddain 2020.08.26 466
113255 다음 웹툰의 방탕일기 [5] 스위트블랙 2020.08.26 1207
113254 송강호 배두나 강동원이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한국배경 영화에 출연 예상수 2020.08.26 834
113253 영웅이 추락했다 [5] 사팍 2020.08.26 1305
113252 [EBS 클래스e] 도슨트 정우철의 미술극장 [9] underground 2020.08.26 2081
113251 오취리 논란 보고 [1] daviddain 2020.08.26 808
113250 유전과 미드소마. [11] paranoid android 2020.08.26 950
113249 문득 생각나는 2007년 '미녀들의 수다' (미수다) 사오리의 발언 논란 [40] tomof 2020.08.26 2062
113248 하석태 코레일 네트워크 사장의 폭언 [7] 겨자 2020.08.26 979
113247 바쁜 수요일 일기... (테넷, 던파, 생파) [1] 안유미 2020.08.26 523
113246 불타는 고추짜장 [4] 가끔영화 2020.08.25 500
113245 샘 오취리가 성희롱을 한게 밝혀졌군요 [34] 예상수 2020.08.25 2604
113244 요즘 들은 영화 속 음악 4곡 예상수 2020.08.25 371
113243 한국과 인종차별... [28] 안유미 2020.08.25 1767
113242 데이비드 호킨스의 책을 읽다가 궁금한점 공의경계 2020.08.25 354
113241 근처에서 확진자 발생 [3] 예상수 2020.08.25 691
113240 마라샹궈와 마라탕, 이효리와 ‘마오’ [6] ssoboo 2020.08.25 1222
113239 혁오 같은 가수를 키울 줄 모르는 등신 같은 곳 / 표절 의혹에 대한 생각 [46] tomof 2020.08.25 1728
113238 [정치바낭] 안철수 범보수 대선후보 1위..(without 윤석렬) [16] 가라 2020.08.25 892
113237 3단계 격상을 목전에 두고 [10] 칼리토 2020.08.25 80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