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이켜보면, 듀게에 글을 쓰는 건 저를 흔드는 무언가로부터 도피하기 위해서인 것 같습니다.  자주 그러합니다.
무엇에 도달하고자 시도하 -지만 끝내 도달하지 못하 -는 글쓰기가 있는가 하면, 어딘가에 도달하기 두려워서 즉 도달하지 않기 위해서 쓰는 글도 있어요. 이런 글쓰기의 아이러니는 어둠과 아픔의 종착지를 알면서도 모른다는 표정을 연출하는데 있습니다.

모른다는 표정을 꾸민다고 해서, 직시해야 할 슬픔이나 진실이 내부에서 희석되는 것은 아니에요. 그러나 잠시 자신을 잊을 수는 있죠.
마음이 괴롭고 무거운 이유가 무엇일까? 하고 모음과 자음을 끌어모으는 순간 누군가 제 내부에서 번쩍 눈을 떠요. 그리고 '그녀'와 '나'가 구분되지 않는 두 개의 음성으로 말하기 시작합니다. 그 두 음성이 겹쳐지면 '나'에 대한 해석은 잠시 사라져요. 그런 한점 허공을 응시하는 순간의 기능이면 충분합니다.

때로는 살면서 밖으로 내놓는 모든 말이 해석이 부재하는 아이러니의 말인 것만 같습니다.  그렇다고 서글프다는 생각을 하는 건 아니에요.
아이러니는 표면과 다른 진의, 숨겨진 의미에 시선이 닿는 방법이기도 하고 눈 앞의 삶을 설명하는 또 하나의 삶에 느낌이 닿는 방법이기도 하니까요. 지극한 몰두와 지극한 각성만 유지할 수 있으면, 제 시선이 닿는 모든 것에서 세상사의 시작과 종국을 감지할 수 있는 거라는 짐작을 합니다. 그렇지 않을까요?

네, 도피하기 위해서 글을 씁니다. 자주 그렇습니다. 도피조차도 본영本影의 본영, 중심의 중심이 되는 열락의 시간이 있습니다. 생각의 절벽에서 폭포수가 쏟아져 내려요. 초침 소리 하나 들리지 않습니다.        

# 나르시시즘의 느낌이 많이 나는 말이겠지만,  편집기를 열고 글을 쓰는 동안 제 얼굴이 제 눈에 보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주어지는 상황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한 초점으로서의 나, 그저 실존적인 응집점으로서의 나, 그런 '나'의 집합들이 아니라 의미로서의 '나'를 확보하고 싶은 바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자기확보의 욕망은 사실 정결하지 않고 피로한 것이죠.

가장 단자적이고 실존적인 개체로서의 '나'로부터 욕망의 그물망인 언어 속으로 진입해 가는 일, 그러다 멀미를 일으키며 다시 물러서는 일, 그 과정을 반복하며 저는 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그런 유영을 통해 조금이라도 진전이 있었을까요? 저는 조금씩이라도 더 솔직해지고 더 명철해지고 더 넓어지고 있는 걸까요?........  알 수 없습니다. -_-
한가지 분명한 건, 오늘도 제가 삶의 매순간들에 발레리 라르보 식으로 이렇게 인사를 건네고 있다는 거예요.
'Bonjour les choses de la vie!   삶의 소소한 일들아, 안녕!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24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2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49
113972 예상수님, 내 글 읽지 말아요 [3] 산호초2010 2020.11.19 701
113971 이런저런 잡담...(방정식, 연말모임) [4] 여은성 2020.11.19 506
113970 시간낭비 [20] 예상수 2020.11.19 982
113969 예상수님, 제 글에 댓글 달지 마세요. 부탁입니다. [3] 산호초2010 2020.11.19 762
113968 어그로 종자는 많아도 저는 안부딪힐거라 믿은게 오만이군요 [15] 산호초2010 2020.11.19 717
113967 독설가라서 죄송하군요 [24] 예상수 2020.11.19 1078
113966 걱정된다면서 상처주고 주눅들게 하고 [9] forritz 2020.11.18 686
113965 더 크라운 다이애나 (스포) [7] ewf 2020.11.18 428
113964 요트자격증을 따고 바다로 나가고 싶어요. 평생의 로망! [21] 산호초2010 2020.11.18 1077
113963 조두순 관련 [3] 쑥뜸 2020.11.18 409
113962 맹크 [1] daviddain 2020.11.18 347
113961 혜민 사태를 보며 [9] 메피스토 2020.11.18 908
113960 한국 드라마의 러닝타임이 너무 길어요 [13] tomof 2020.11.18 686
113959 마고 로비 영화 드림랜드를 보았습니다 [2] 가끔영화 2020.11.18 805
113958 [게임바낭] 이제는 현세대가 되어 버린 차세대 런칭 풍경 잡담 [5] 로이배티 2020.11.18 460
113957 노래에 취해 가을에 취해 춤추다 꽈당!!!!!(다들 꼬리뼈 조심!) [7] 산호초2010 2020.11.18 675
113956 [웨이브바낭] 탑골 추억의 영화 '폭력교실1999'를 봤습니다 [8] 로이배티 2020.11.18 832
113955 사유리의 비혼출산을 보고 [8] Sonny 2020.11.18 1401
113954 증언자로서의 동물들 [11] 귤토피아 2020.11.17 564
11395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2] 조성용 2020.11.17 6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