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과 상상' 보고 왔어요.

2022.05.09 12:26

thoma 조회 수:709

우연과 상상 (2021)

ac3fca4e494abc742f22c389bffa5f57f5a40b9d

정말 오랜만에 극장에서 봤습니다. 저는 때와 장소가 맞아떨어져서 극장에서 보게 되었는데 이 영화는 꼭 극장을 고집할 필요는 없고 집에서 보셔도 될 것 같아요. '드라이브 마이 카'는 극장에서 보는 게 훨씬 나을 것이고요. 

이로서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영화는 어쩌다 보니 '아사코'를 빼곤 다 봤네요. '아사코'는 씨네21 평이 2점도 있고 8점도 있어요. 무슨 일일까? 보기 드문 경우네요.

'우연과 상상'은 세 편의 단편 영화가 묶여 있는데 이 영화를 보고 나니 감독의 특징이 확 다가오는 듯했고 그리하여 이전에 본 감독의 다른 영화에 대한 이해도 살짝 더 생겨나는 기분입니다. 

지난 번에 드마카를 보고 의미 깊은 대사가 연극적으로 너무 길지 않나 라는 생각을 적었었습니다. 이제부터는 하마구치 감독의 영화를 보면서 대사 얘긴 하지 않기로 합니다. 이분 대사에 진심이십니다. 상대적으로 이미지보다 말입니다. 이 영화는 대사가 사건의 전개를 이해시키는 역할이라기 보다 대사가 주가 되고 상황은 이를 더 잘 살리기 위한 그림들이라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습니다. 감독은 인물들의 대화를 일단 맛깔나고 세련되면서 생각해 볼 여지도 많도록 의미를 담아 완성, 그리고 이 대화가 만드는 화학작용이 최대한 잘 살아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든다, 이런 식으로 본인의 역량을 사용하시지 않나 싶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영화에도 차에서의 대화장면이 나오는데 특히 드마카에서 더 뚜렸하게 느껴졌던 차 안의 긴 대화 장면이 그렇습니다. 달리는 차의 뒷 좌석은 정말 대화하기 좋은 곳입니다. 외부와 차단되어 방해하는 이도 없고 화난다고 박차고 나갈 수도 없고 오로지 듣고 말하는 것에 집중할 수 있어요. 내밀한 내용이면 더 적절한 장소고요. 범죄 영화 같은 데서는 그래서 차 안에서 중요한 대화가 오가는 상황을 십분 활용했는데 이런 일상 드라마에서 대사에 집중하기 위한 장치로 하마구치 감독이 활용하네요. 운전은 누가 해줘야겠지만 이 제3자도 말없는 관찰자로 대화의 맛을 살리지 않을까요. ('두 명은 위험하다, 세 명은 되어야지' 이런 말 어디서 본 기억이 납니다.) 

이런 특징은 영화를 보면서 연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합니다. '우연과 상상'에서 특히 여자 배우들의 발성이 참 좋았어요. 1편의 메이코 경우 전남친과 대화하는 장면에서 발음이 아주 똑 떨어지고 귀에 쏙쏙 들어와 연극적인 발성이라는 생각을 했어요. 3편에선 인물들이 서로 상대가 원하는 인물이 되어 아주 짧지만 실제로 역할극을 하기도 합니다. 

하마구치 감독님은 영화 작업에 문학과 연극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활용하시는 것 같아요. 문학 텍스트를 그대로 읽는 상황이 영화마다 등장하고 본인이 쓴 대사도 의미나 문장의 연결에 공을 들인 티가 납니다. 연극 역시 준비 과정 자체가 전면에 배치되거나 대사의 전달을 중시하는 상황을 만들고 배우들이 연극적 발성을 한다는 것까지 느끼게 되니까요. '해피아워'를 보면서는 하나의 시도로 보았던 것이 세 작품을 보고 나니 문학과 연극을 활용한 영화 작업이 감독님의 특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다른 자료를 다양하게 찾아본 것은 아닌데 같은 감독의 영화 세 편을 길지 않은 텀을 두고 연달아 본 감상은 그렇습니다. 저는 하마구치 감독의 영화들은 보는 동안 누리는 즐거움이 있네요. 잘 맞지 않는 분이라도 '우연과 상상'은 단편들이라 보실만 하지 않을까 합니다. 

aca2316a3e0de8e705596ba046c48e9430ff667c

1편. 메이코 역의 배우는 발음이 참 좋았어요.(저 일어 못합니다만 그래도 오 전달력 좋은데, 싶을 정도로) 외모도 넘 마음에 들던.

ea82b245d364e2145b620dfc409789e01c2d9b00

2편. 책 읽기 장면. 내용 때문에 거북했습니다. 소설 속 내용이 엄청 일본스러웠다고 하면 제가 또 편협한 것인지. 보신 분들 동의 좀...

7b7b5cd666718c57dcd8ba71353ca91b7dbd7499

3편. 나이로 보나 상황으로 보나 저는 가장 재미있게 보았어요. 극장에서 관객들의 웃음이 터지기도 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03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631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767
120096 공포의 호박 [3] soboo 2010.08.29 2416
120095 김태호 이외에도 신재민 문화부장관 내정자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도 사퇴 [3] Wolverine 2010.08.29 2748
120094 (바낭)이제는 일요일에 사람이 줄어드는 경향이 없어진거 같아요 [2] 가끔영화 2010.08.29 2078
120093 WWF(WWE) 선수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선수는 바로! [1] chobo 2010.08.29 2187
120092 [판매] 만화책 [6] 연십삼 2010.08.29 2219
120091 후뢰시맨을 봤습니다 [19] 감동 2010.08.29 3095
120090 듀게에는 힛걸의 팬이 많군요. 그런데 실제로 힛걸처럼 사는 사람도 있는것 같아요. [9] 윤보현 2010.08.29 3606
120089 좋은 선수가 명장이 되는 것은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것 보다 힘들다 [13] 스밀라의雪에대한감각™ 2010.08.29 3441
120088 (바낭) 좋아하는 사랑(에 관한) 영화들 [7] 정우 2010.08.29 2207
120087 유치원생을 위한 국어사전 추천부탁해요 [4] 오토리버스 2010.08.29 2651
120086 디지털 기기의 홍수 속에 뇌가 쉬질 못한데요. [11] soboo 2010.08.29 3617
120085 투표 안 한 분들은 물고기들하고 맹꽁이한테도 사과들 해야 할 듯 합니다.. [8] windlike 2010.08.29 2992
120084 [19금] 삼합회 스토리 [20] 1분에 14타 2010.08.29 6555
120083 프레데터 후속편이 나왔다길래 [6] troispoint 2010.08.29 2036
120082 간단히 할 수 있는 민어요리 뭐가 있을까요? [5] sent & rara 2010.08.29 2304
120081 [바낭] 남자의 자격... [5] 서리* 2010.08.29 3341
120080 레베카 드 모네이 [7] Montmorency 2010.08.29 3506
120079 김연아 사건 IMG측에서 먼저 뿌렸군요. [6] 사과식초 2010.08.29 4988
120078 핸드폰이 벽돌이 되었어요. ㅜ.ㅜ [5] 스위트블랙 2010.08.29 2451
120077 남격 박칼린 티쳐 완전 박카리스마네요, 진짜 멋있어요ㅠ.ㅠ [13] Paul_ 2010.08.29 600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