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ning01.jpg


running02.jpg


running03.jpg


running04.jpg


running05.jpg


running06.jpg



지난주 런닝맨에서는 주식특집의 전초전으로 퀴즈게임을 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과정의 사회과목(정확히 사회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사회? 정치?)을 암기해서 문제를 맞추는 형식이었고 몇몇 출연자들에게는 쉽지 않은 게임이었죠. 이 게임을 보면서 제가 흥미롭다고 느꼈던 건 이 단순한 퀴즈게임이 정치적 함의를 띄고 있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저는 보필 피디가 '나는 이런이런 문제들로 현 사회에 일침을 놓겠어!' 라는 의도를 가지고 이 퀴즈코너를 기획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 근거없는 독심술이 아니라, 기획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런 기본적인 퀴즈들이 현 정치적 상황 때문에 어떤 정치성을 띄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는 거죠. 가장 최근에 지선이 있었습니다. 그 지선의 낮은 투표율을 생각해 볼 때 선거의 직접, 보통, 평등, 비밀 선거라는 이 기본적인 요소들이 갖춰지기까지 얼마나 험난했는지를 곱씹어보게 됩니다. 그 다음에 나온 문제인 "유신헌법"을 생각해볼 때, 대통령을 국민이 뽑는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 일이며 투표 자체가 민주적으로 행해질 수 있는 현 시대가 얼마나 대단한 시대인지, 혹은 이 가치가 조금씩 흔들리는 것이 얼마나 위태로운 것인지를 생각해보게 됩니다.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퀴즈도 현 시대 상황에서는 컨텍스트가 자동으로 완성이 되고 말죠.


특히나 헌법 1조 2항을 그대로 써보라는 퀴즈는 굉장히 의미심장했습니다. 촛불시위에 나가본 분들이라면 기억하시겠지만 시위 현장에서는 저 헌법 1조 1항과 1조 2항을 아예 가사로 만들어서 노래로 불렀기 때문입니다. 헌법 1조 2항에 대한 퀴즈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윤석열에 대한 질문으로도 해석할 수 있겠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는 보필 피디가 이런 의도를 가지고 기획했다는 게 아니라, 이런 정치적 함의를 시청자 입장에서 비평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이 기초적인 헌법을 윤석열은 과연 대통령으로 지키고 있는 것인가. 불과 며칠 전 윤석열씨는 대한민국의 교육 이념을 산업 인재를 키워낸다는 소리로 큰 의구심을 일으켰습니다. 지금도 청와대 졸속 이전 때문에 윤석열씨와 함께 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죠.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73907_35744.html 


저는 런닝맨의 이 퀴즈를 보면서 누군가는 괜히 뜨끔해졌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어느 정당의 지지자들은 유신헌법의 실패나, 민주주의의 기본적 요소들을 괜히 되새기고 싶지 않을테니까요. 그 사람들이 과연 '인간의 존엄'이란 개념을 좋아할까요. 혹은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인간의 존엄을 근거로 민주주의 사회에서 이같은 노동자 착취가 과연 온당한 것이냐고 했을 때, 민주주의의 개념으로 과연 대답할 수 있는 사람들은 몇이나 있을까요. 이것은 단순히 집권 여당이나 대통령에게만 향하는 질문이 아니라 민주사회의 시민으로 살고 있는 저희 모두에게 해당되는 통증이기도 할 것입니다. 


running07.jpg


저는 조세호씨가 민주주의의 기본 정신 3가지를 쓰라고 했을 때 인간의 존엄 대신 사랑을 쓴 게 그냥 무식해서 한 실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프랑스의 자유, 평등, 박애를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저런 방식의 오답을 할 수 밖에 없지 않을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368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04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858
124815 [핵바낭] 사서 고생, 인생의 진리 [17] 로이배티 2023.11.24 573
124814 프레임드 #622 [4] Lunagazer 2023.11.23 75
124813 데이빗 크로넨버그의 [크래시]를 보고 [2] Sonny 2023.11.23 1729
124812 다크나이트 용산 아이맥스 재상영. 상수 2023.11.23 194
124811 넷플릭스 요금제 catgotmy 2023.11.23 242
124810 홀로코스트 관련 영화들 보는 중, 이-팔 갈등 단상 [4] 산호초2010 2023.11.23 251
124809 새해준비(플래너, 일력, 피트니스 짐은 1월 전에 예약하는 게 좋다) 상수 2023.11.23 146
124808 #서울의봄 호 후기 [3] 라인하르트012 2023.11.22 774
124807 [넷플릭스바낭] 아주 건전하고, 아주 아트한(?) 영화네요. '아틀랜틱스' 잡담입니다 [10] 로이배티 2023.11.22 418
124806 프레임드 #621 [4] Lunagazer 2023.11.22 70
124805 이 구역의 미친 X (2021) catgotmy 2023.11.22 195
124804 김강민이 한화라니/우규민 kt [6] daviddain 2023.11.22 211
124803 잡담...(나는 솔로, 대상화) 여은성 2023.11.22 271
124802 스크림 시리즈 주연배우 해고 [11] LadyBird 2023.11.22 573
124801 연세우유 황치즈생크림빵 catgotmy 2023.11.22 222
124800 [왓챠바낭] 80년대 영화로 생각하고 보다가 깜놀. '위시마스타' 잡담입니다 [2] 로이배티 2023.11.21 262
124799 푸른 눈의 사무라이/인피니티 풀 바낭 [8] daviddain 2023.11.21 339
124798 발 마사지 catgotmy 2023.11.21 134
124797 프레임드 #620 [4] Lunagazer 2023.11.21 74
124796 싱그릭스 대상포진 예방접종 후기 및 담석증;;;;(상복부 초음파의 중요성) [4] 산호초2010 2023.11.21 51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