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권을 처음 가지는 게 아닌 이상은 대개 후보가 최종 결정되기 전에 이미 어느 정도 지지 후보 윤곽이 잡혀있을 때도 많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선거 직전에는 선관위 홍보물을 보면서 후보자들의 이력을 살펴보게 되죠. 사람의 성향에 따라 그 중에는 플러스 요인도 있고, 마이너스 요인도 있습니다. 그동안 저도 나름의 기준을 세워 적용해왔는데, 이번부터는 좀 바꿔볼까 합니다.

 

1. 출신학교

 

그동안도 중요하게 보지 않았고, 앞으로도 계속 안 볼 생각입니다. 행실과 성적이 안좋아서 좋은 대학을 못간 수준의 사람이 후보라고 등장하기도 쉽지 않고, 반대로 서울대를 나왔다고 해서 괜찮은 인간임을 나타내는 지표가 전혀 안되기에. 당장 서울대 나와서 정치권에서 개삽질 하고 있는 인간들 이름 대기 하면 백플도 넘길 것 같네요.

 

2. 고시 및 자격증 시험 합격, 고위 관료 경력

 

요건 좀 애매합니다. 사실 국회의원이 되면 입법권을 가지게 되고, 그건 전 국민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에, 특정 분야에서 전문가 생활을 오래 했다는 사실은 원칙적으로 플러스 요인이긴 합니다. 그래서 국회의원 중에 변호사 출신이 그렇게 많은 거겠죠. 근데 그 집단이 지금껏 만들어온 법의 수준을 생각해보면, 차라리 법에 대해 잘 모르더라도 법 개정 방향에 대해 명확한 철학과 열정을 가진 사람이 나은 것 같기도 합니다. 무리한 주장을 하거나 위헌적 요소를 끼워넣으면 일단 전문위원들이 수위조절을 할거고, 마지막 수단으로 헌법재판소라는 방패도 있으니까요. 그래도 전 아직까지는 플러스로 봅니다.

 

대신 고위 관료의 경우에는, 어느 정부에서 어느 자리에서 무슨 정책을 한 것을 자기의 주요 경력으로 내세우는지 반드시 봐야겠죠. 단지 높은 자리 출신이니까 잘 알겠지, 이게 아니고 교육부 장관, 기재부 장관 등을 하면서 제 생각과 반대 방향을 정책을 펴는 데 적극적인 사람이었다면 대박 마이너스 요인.

 

3. 민주화운동 경력 v 독재 협조 경력

 

이게 사실 저로서는 상당한 갈등요인입니다. 그동안 사실 아무 갈등도 안했습니다. 군부독재에 협조한 사람 볼 것도 없이 아웃시켰고, 민주화운동 한 사람에게 큰 플러스 점수를 주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이게 좀 흔들리고 있어요. 어쨌건 민주화 정부가 들어선 것은 늦게 잡아도 김영삼부터이고, 정권교체를 해본 것은 김대중부터입니다. 그때부터 잡아도 근 20년을 민주화운동 세력들이 국회에 자리잡게 해줬는데, 이젠 초기화 해야할 시점이 아닌가 싶어요. 20년이면 이제 민주화운동 경력 그만 우려먹을 때도 됐고, 특히 국회에 진출해본 사람이라면 민주화 말고 다른 실적을 올려서 보여주기에 충분한 시간이었습니다. 그 동안에 군사독재 타도 못지않은 과제로 떠오른 경제 민주화나 양극화 해소 등에 별로 보여준 게 없거나, 오히려 과거 자신이 타도하고자 했던 독재 세력들과 별 다를 거 없는 행보를 보였다면, 굳이 민주화운동 진영 출신이라는 이유로 플러스 점수를 주는 건 이제 그만해야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과거 독재에 적극 협조했던 인사들의 마이너스 점수도 도로 까줄지는 아직 좀 갈등이네요. 플러스 점수를 잃기 쉽지만 마이너스 점수를 만회하기는 쉽지 않아요. 줬던 플러스 점수를 뺏는 데에는 별 양심의 가책이 없습니다만, 그 반대의 경우엔 스스로 양심이 좀 껄적지근 해서 말이죠.

 

이 분야에서 보면 사실 지금 민주통합당은 새누리당과 다르다고 봐야하는지 상당히... 위험해요... ㅠㅠ

 

4. 얼굴

 

얼굴값에 당하지 맙시다 제발 ㅠㅠ

 

5. 주요 입법 참여 이력

 

입법기관인 국회의원에게 이게 사실 대단히 중요한 정보인데, 이력서에는 거의 안나온다는 게 문제 ㅠㅠ 제가 찬성하는 법안에 찬성했는지, 반대하는 법안에는 반대했는지 정보가 대단히 중요한데 말이죠. 때 되면 시민단체 등에서 정보 제공을 하니까 그걸 보면서 판단해봐야겠죠. 근데 사실 반대 의견을 가진 주요 법안들이 대개 여당 단독으로 날치기 처리되었고, 여당 안에서 굳이 참여 안한 사람도 거의 없기에 굳이 안찾아봐도 될 것 같기도 합니다.

 

6. 지역 민원 해소 실적

 

전에도 궁시렁거린 적이 있는데, 현직 국회의원들이 가장 중점적으로 내세우는 이력이 이거죠. 우리 지역에 무슨 사업 하는데 돈이 부족해서 내가 행정부를 갈궈서 예산을 받아왔다, 이런거. 엄밀히 말하면 이건 행정부가 결정할 사안에 대해 입법부가 간섭해서 결정을 왜곡시킨 사례에 속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그래서 안쳐주려고 합니다. ㅡㅡ

 

사실 딴거보다 3번 때문에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 저 기준을 엄밀하게 들이대면 댈수록, 현재 새누리를 끌어내릴 가장 유력한 카드인 민주통합당을 지지하기가 어렵거든요. 그렇다고 민주통합당이 집권시에 했던 일에 대해 분명하게 반성하고 방향을 바꾸겠다고 선언한 것도 아니고. 그나마 핸들을 좀 돌려줄 수 있는 수단인 야권 연대에도 영 소극적이고. 하긴 과거에도 야권 연대 정신을 깨버린 사례가 워낙 많았죠. 사표 논란이고 나발이고 진짜 엄밀하게 한 번 들이대볼까, 어째야하나... 근데 제가 사는 지역구의 예비후보 구성을 보니 이거 뭐 제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승부가 난 것 같아서(새누리의 아성이 좀 높아요 ㅠㅠ 가난한 동네인데 왜?? ㅠㅠ) 별로 고민할 필요가 없어보이기도 하고.. ㅠㅠ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4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13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479
126329 침착맨 유튜브 알고리즘 new catgotmy 2024.05.30 48
126328 77회 칸 요르고스 란티모스 신작 카인드 오브 카인드니스 공식 예고편 [2] new 상수 2024.05.30 103
126327 [왓챠바낭] 일본인들에게 여름이란... '썸머 타임머신 블루스' 잡담입니다 new 로이배티 2024.05.29 124
126326 캐롤이란 영화가 극찬을 받는 이유가 뭘까요? 말러 2024.05.29 175
126325 프레임드 #810 [2] update Lunagazer 2024.05.29 39
126324 서울의 봄 일본 개봉 예정 new ND 2024.05.30 139
126323 비행기가 왜 [4] catgotmy 2024.05.29 233
126322 [런다운] 카풀에서 갈비까지…이병규·박병호 띠동갑 우정 daviddain 2024.05.29 91
126321 [디즈니플러스바낭] 란티모스씨는 여전히 이상하기는 한데. '가여운 것들' 잡담 [8] update 로이배티 2024.05.29 354
126320 강형욱 논란과 남초 커뮤니티 [8] update Sonny 2024.05.28 668
126319 넷플릭스 찜리스트 catgotmy 2024.05.28 127
126318 프레임드 #809 [4] Lunagazer 2024.05.28 35
126317 20240525 채상병 특검법 촉구 집회 다녀왔습니다 [2] Sonny 2024.05.28 167
126316 악은 존재하지 않는다 VOD, OST 2곡 공개, 더 퍼스트 슬램덩크 디플 독점공개(예정), 신경끄기의 기술...이 필요하지만 신경끄기 어려운 현실 상수 2024.05.28 90
126315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5] 조성용 2024.05.28 310
126314 박병호 kt에 방출 요청 [2] daviddain 2024.05.28 147
126313 책 선물받았어요 [1] update daviddain 2024.05.28 110
126312 침착맨 탄원서에 대해 [2] catgotmy 2024.05.28 441
126311 강아지 유치원 직원의 개 폭행사건 그리고 … [3] soboo 2024.05.27 418
126310 의사소통 혹은 관계의 진전 부치빅 2024.05.27 1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