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에서 열리는 워너브라더스 100주년 기념전시회에 다녀왔어요. 3월에 끝난 전시지만 뒷북 공유입니다. 못 가보신 분들을 위해서라는 핑계... >_<;; 

img.jpgimg.jpg

 

워너브라더스의 역사, 로고 변천사 및 주요 작품입니다. 2000년대까지는 정말 거를 타선이 없는 명작들의 향연인데, 2010년대 이후로는 확실히 좀 처지는 게 느껴지는군요 >_<;;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워너브라더스 100주년 기념 영화 포스터들. 공식 포스터가 아닌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특징이 담긴 포스터들을 볼 수 있어 좋았어요. 

img.jpgimg.jpg

 

프랭크 밀러 스타일로 그려진 '사랑은 비를 타고'. 뮤지컬 로맨스 명작이 순식간에 느와르 분위기;; 

img.jpg

 

'매드 맥스' 포스터는 언제나 옳습니다. 

img.jpgimg.jpg

 

코믹스 스타일로 그려진 '블레이드 러너' 

img.jpg

 

날개달린 원숭이들이 주연을 차지한 '오즈의 마법사'

img.jpg

 

'오즈의 마법사'(1939년작)에서 도로시가 오즈에 도착하는 순간 화면비가 바뀌고 컬러로 전환되는 장면(최초의 컬러 상업영화입니다)은 영화사에 영원히 기억되겠죠.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영화의상 코너입니다. '해리 포터'의 기숙사 별 교복, '왕좌의 게임'의 존 스노우 의상, '신기한 동물 사전'의 뉴먼 의상, '웡카'의 윌리 웡카 의상 등이 전시되어있었어요.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JDM 스튜디오의 무비 피규어들. 정말 양산품이라고 믿을 수 없는 수준의 뛰어난 조형과 도색을 보여줍니다.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루니툰 캐릭터들의 의상

img.jpgimg.jpgimg.jpgimg.jpg

 

영화 소품들입니다. 먼저 '수어사이드 스쿼드'의 할리 퀸이 사용하던 야구 배트. 

img.jpg

 

'해리 포터' 시리즈의 마법 지팡이들. 

img.jpg

 

'그것(It)'의 삐에로.

img.jpgimg.jpg

 

'13일의 금요일' 시리즈의 하키 마스크. 

img.jpg

 

'원더우먼 1984' 소품들

img.jpg

 

'해리 포터'의 호크룩스 중 하나죠. 

img.jpg

 

놀란 감독의 '배트맨 라이즈' 소품들. 

img.jpg

 

'반지의 제왕'의 골룸 스태츄

img.jpg

 

'해리 포터' 및 '신기한 동물 사전' 관련 소품들입니다.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다음은 워너 브라더스 영화에 등장한 유명한 차량들입니다. 

img.jpg

 

먼저 DCU의 배트모빌. 본격적인 전투차량 느낌이 물씬 나는 녀석이죠. 

img.jpgimg.jpg

 

놀란 감독의 배트맨 3부작에 등장한 텀블러는 영상으로... CG 싫어하는 놀란 감독답게 텀블러와 배트 포드 모두 CG가 아니라 실제 주행 가능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img.jpg

 

'스쿠비 두'의 더 미스테리 머신. 가장 유명한 폭스바겐 미니버스 데칼 중 하나죠. 

img.jpgimg.jpg

 

'플린스턴' 가족의 자동차. 무려 돌 바퀴에 바닥을 발로 굴러서 움직이는 인력차입니다. 

img.jpg

 

빔 프로젝션으로 꾸며진 '웡카'. 영화는 나름 재미있게 잘 봤는데... 이게 '찰리의 초콜릿 공장'의 프리퀄이란 걸 생각하면 여전히 기분이 오묘해집니다. 팀 버튼의 2005년작에 등장하는 사이코 수준은 아니더라도 71년작의 웡카조차 공장에 틀어박혀 단절된 생활을 하는 히키코모리 괴짜란 건 사실이거든요. '웡카'에서 믿을만한 동료들도 만나고 자신의 꿈도 이루며 행복 성취했던 이 희망 넘치는 미청년은 도대체 30년 동안 무슨 일이 있었길래 염세주의자가 되어 공장에 틀어박히게 된 걸까요...? =_=;;

img.jpgimg.jpgimg.jpgimg.jpg

 

워너 브라더스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스케치들. 주로 '루니 툰즈'과 DC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입니다.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루니 툰즈' 코너. cartoon에서 나온 toon이라고 생각했는데 Tunes더군요 >_<;; 벅스 버니, 대피 덕, 트위티, 포키 피그, 로드 러너 등의 캐릭터를 보유한 루니 툰즈의 라인업은 미키 마우스, 도날드 덕, 구피 등을 보유한 디즈니에 밀리지 않죠.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하면 빼놓을 수 없는 '톰과 제리'.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머천다이즈 코너입니다. 끝물에 갔더니 주요 피규어와 소품들은 이미 매진... ㅠ_ㅠ

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img.jpg

 

개인적으로는 좀 불만인 전시회였습니다. 워너 브라더스의 100주년 역사에 비추어 생각하면 터무니 없이 작은 규모고(몇 년 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렸던 드림웍스 전시회가 규모 3배는 될 듯;;), 말이 워너 브라더스 100주년이지 수많은 고전 명작들은 거의 언급조차 되지 않은 채 사실상 루니 툰즈 + 해리 포터 + DCU가 90%였어요. 워너 브라더스는 헐리웃의 유성영화와 함께 시작한 영화 100년 역사의 산 증인인데, 아카데미상 수상한 고전 명작들 포스터라도 쭉 전시하는 정도의 성의는 보여줬어야죠...=_=; 요즘 전시회 가격이 많이 오르긴 했지만 2만원이란 가격에 비하면 좀 여러 모로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던 전시회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8686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721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7398
126488 서울시의회, 민주당 압승 [4] 빈칸 2010.06.03 5907
126487 [사진] 진이인이와 함께한 주말 면식수행기 ^^ [16] gilsunza 2010.06.03 6314
126486 실망할 필요가 있습니까?! 러브귤 2010.06.03 4515
126485 와우 드디어 되는거에요? - 지겨운 단일화 이야기 [6] Apfel 2010.06.03 4823
126484 올킬 여사를 만났습니다. [6] 페리체 2010.06.03 6984
126483 예전보다 게시판이 너무 희미해 보여요; [10] skyafternoon 2010.06.03 5689
126482 표차가 얼마 안나네요. v 2010.06.03 4333
126481 민주당-진보신당, 결국 제 밥그릇 싸움 [10] 바오밥나무 2010.06.03 5779
126480 광우병에 대한 자료좀 부탁드립니다. [2] 2010.06.03 4696
126479 수도권 전체에서 압승했습니다. 지금은 좀 기뻐하자구요 [9] 담담 2010.06.03 5587
126478 방자전이 많이 야하다는 소식이 들려오는근영 [10] 사람 2010.06.03 10222
126477 이경실씨 친언니가 구의원에 당선됐네요 [3] 꽃개구리 2010.06.03 7202
126476 듀나님 보시면 연락주세요. DJUNA 2010.06.03 4587
126475 로그인이 안 되는 분 계신가요? [4] paired 2010.06.03 4344
126474 [링크-우석훈 blog], 노회찬한테 뭐라 그럴 것 없다. [9] Luna 2010.06.03 6061
126473 노회찬의 득표율은 무슨 의미인가. [7] 마르세리안 2010.06.03 6863
126472 광역의원 비례대표 정당별 투표율 [20] clytie 2010.06.03 7151
126471 생각보다 많이 기운이 빠지네요 [2] 셜록 2010.06.03 5241
126470 배철수 아저씨는 진보인가요? 보수인가요? [3] 달빛처럼 2010.06.03 7516
126469 국민 아줌마 [11] 가끔영화 2010.06.03 704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