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제가 참여한 모종의 일 때문에 임권택 감독님 작품들을 하나하나 감상중입니다.
아니, 정정합니다. 하나하나 감상한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만,
실제로는 작품마다 패스트 포워드…도 아니고 스킵해가면서 주요 장면들만 체크중입니다.



그런데, 본래 좋아하던 감독님이기도 합니다만, 각 작품들마다 의외로 맘에 드는, 
"아니 이런 장면도 있었던가?"싶은 장면들이 하나씩 껴있더군요.


예를 들어 길소뜸의 초반, 김지미의 회상 장면에서 젊은 남녀의 뒷모습 누드 장면 기억하시나요?
김지미씨의 젊은 시절을 연기한 배우가 이상아였죠. 
(기사 검색을 해보니 당시 이 장면 때문에 남친과 헤어졌다는 이상아씨 인터뷰가... -_-;)
이 장면 정말 아름다워요. 서비스씬 같은 느낌이 전혀 없이, 풋풋하고 아련한 이미지.


삭제된 버전으로만 봤다면 놓치셨겠지만, 티켓에서는 아예 김지미씨 본인이 그 비슷한 장면을 하나 찍은 게 있죠.
박근형 캐릭터와의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인데, 뒷모습이라고는 하지만 수위가 은근히 쎄요. 
길소뜸의 그 장면보다 살짝 작위적이긴 하지만, 극중에서 박근형의 캐릭터가 문학하는 사람이라 그렇게 어색하진 않죠.


연산일기는 어떤가요. 지금 과일촌 장관님이 광기어린 연산군으로 열연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이건 웃을 수도 울 수도 없고, 칭찬할 수도 욕할 수도 없는 오묘한 경지에 이르게 되는데요,
특히 그 중에서도 여인네들을 이끌고 대비를 찾아가는 씬이나
처용무를 추면서 림보(?!)를 추는 장면은 압권입니다.


전 천년학을 개봉 때 놓치고 아직도 제대로 못봤지만,
중반의 그 유명한 꽃잎 내리는 장면과 엔딩 씬 부분은 기대보다도 훨씬 아름다웠습니다.
양방언의 음악, 특히 엔드 크레딧의 오케스트라 버전은 영화랑 안맞는다는 의견도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제가 듣기에는 영화와도 어울리고… 계속 반복해서 듣게 되는 중독성이 있네요.
김수철씨나 김영동씨의 음악과는 조금 다르게, 살짝 현대적이고 헐리우드스러운 음악인데
그 서정적이고 서사적인 느낌이 임권택 감독님 영화랑 묘하게 잘 어울려요.


서편제도 오랫만에 보았는데, 초반 김명곤 아저씨 연애하는 장면이 제가 기억하는 것보다도 강렬하더군요.
(천년학에 김명곤씨가 그대로 출연했다면 어떤 영화가 되었을까요?)
풀숲 속에서 보듬고 바라보는 모습을 보면 어떤 면에서는 이마무라 쇼헤이 영화도 떠올라요.
아, 그리고 베드씬도 빠질 수 없죠. 다들 - 특히 제 나이 또래의 남자분들 - 어릴 때 서편제 보고 와서
"야, 근데 초반에 그 베드씬 야하더라"는 무용담같은 코멘트 한마디씩 한 기억이 있을 겁니다.
전 그게 호기심 왕성한 어린 시절이라 그렇게 보인 것이라고 생각해왔는데,
오랫만에 그 장면을 다시 보니(이상하게 서편제는 다시 봐도 중간부터만 보게 되었거든요.)
제가 어려서 야해보인 게 아니라 정말 야한 장면이더라구요.
물론 그 장면이 뜬금없는 서비스씬이 아닌 영화 맥락에서 꼭 필요한 연출임은 말 할 필요도 없구요.


만다라의 클라이막스(사실상 엔딩)라거나,
기억했던 것보다도 박력있고 세련된 장군의 아들 시리즈, 하류인생의 액션 장면들이라거나,
아다다의 서글프면서 묘하게 아름다운 엔딩이라거나…



일전에 천년학 개봉 당시 듀게에서도 임권택 감독님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글 올라왔었죠.
오랫만에 그 글 검색해서 읽어보니 이런 저런 생각 나더군요.
그 때 "바빠서 천년학 놓쳤어요"라고 징징댔는데 
몇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못보고 있었다니 저도 참 게으릅니다.



여러분들도 기억에 남는 임권택 감독님 영화 장면 있나요?
아, 제가 일하는 모종의 일 때문에 올리는 글은 아니에요.
제가 필요한 장면들은 이미 대부분 확인이 끝났거든요. :-)

다만, 이렇게 생각치 못한 "명장면", 혹은 "인상적인 장면들"을 발견하다보니
다른 분들이 기억하는 "임권택 영화의 한 장면"에는 뭐가 있을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652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6189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6283
126473 [KBS1 독립영화관] 버텨내고 존재하기 new underground 2024.06.14 8
126472 [영화바낭] 좀 이상한 학교와 교사 이야기. '클럽 제로' 잡담입니다 new 로이배티 2024.06.14 54
126471 영어하는 음바페/벨링엄이 레알 마드리드에 적응 잘 한다는 베일 new daviddain 2024.06.14 30
126470 프레임드 #826 [2] new Lunagazer 2024.06.14 23
126469 유튜브 자동번역 재미있네요 new daviddain 2024.06.14 80
126468 Mark Forster - Au Revoir [1] update catgotmy 2024.06.14 57
126467 올해 오스카 명예상 수상자들은... [1] 조성용 2024.06.14 161
126466 [넷플릭스바낭] 오늘 본 영화의 장르를 나는 아직 알지 못... '신체찾기' 잡담 로이배티 2024.06.14 185
126465 [퍼옴] 2008년 이상문학상 수상작 [사랑을 믿다] 도입부. [4] update jeremy 2024.06.13 189
126464 [왓챠바낭] B급 취향이 아니라 그냥 B급 호러, '독솔져' 잡담입니다 [1] update 로이배티 2024.06.13 155
126463 요즘 본 영화들에 대한 짧은 잡담... [7] update 조성용 2024.06.13 306
126462 80년대 브랫팩 다큐멘터리가 나오네요 [2] update LadyBird 2024.06.13 128
126461 스타워즈 애콜라이트 1,2 (스포) [2] update heiki 2024.06.13 183
126460 러시아어 안젤리나 다닐로바 [1] catgotmy 2024.06.13 154
126459 프레임드 #825 [4] update Lunagazer 2024.06.13 44
126458 매드맥스의 세계 [5] update 돌도끼 2024.06.13 270
126457 쓸데없는 질문 ㅡ 조코비치가 잘생겼나요? [6] daviddain 2024.06.13 186
126456 에스파의 슈퍼노바 뮤직비디오를 보고 Sonny 2024.06.13 146
126455 넷플릭스의 진정한 가치 catgotmy 2024.06.12 236
126454 일본과 독일에 대해 catgotmy 2024.06.12 1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