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계에 큰 경사가 나서 올려봅니다. 애초에 글의 형태로 작성해서 말투가 이런 것이니 양해 부탁드려요.)

칸영화제에서 한국영화가 상을 두 개 받는 믿기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헤어질 결심>(2022)으로 박찬욱 감독님이 감독상을,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브로커>(2022)로 송강호 배우님이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셨다. 나는 시상식을 보느라 날밤을 샜는데 너무 기쁜 마음에 박찬욱 감독님과의 인연을 털어놓을까 한다. 

박찬욱 감독님을 알게 된 것은 돌아가신 어머니 덕분이었다. 어머니는 박 감독님의 아버님과 친분이 있으셔서 박 감독님의 결혼식에도 가셨고 파주에 있는 박 감독님의 댁에도 다녀오신 적이 있다고 하셨다. 박 감독님의 댁에서 봉준호 감독님의 <괴물>(2006) 시나리오를 보셨다는 말씀도 하셨다. 어머니가 박 감독님을 특강때 한번 부르신 적도 있었다. 너무 오래 되어서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지만 박 감독님이 <올드보이>(2003)를 만드신 직후쯤에 나는 박 감독님을 뵐 기회가 있었다. 그리고 어느 시점까지는 박 감독님과 메일을 주고 받기도 했고 특별히 따로 뵌 적은 없었지만 내가 늘 영화를 자주 보러다니다가 보니 자연스럽게 박 감독님과 마주치는 일은 수도 없이 많았다. 심지어 바하 연주회에서 박 감독님을 우연히 뵌 적도 있다. 박 감독님과 만나면 길게는 아니었지만 영화 얘기를 자주 나눴고 내가 박 감독님께 영화를 추천해드리기도 했다. 그러다가 몇 년 전에 내가 존 포드의 <태양은 밝게 빛난다>(1953)를 보고 너무 감동을 받은 나머지 sns에 영화에 대한 글도 올리고 주변 지인들에게 그 영화를 마구 추천한 적이 있는데 그때 박 감독님께도 그 영화를 추천해드렸다. 그런데 감사하게도 박 감독님이 그 영화를 보러 오셨다. <리틀 드러머 걸>(2018)이 공개됐을 때에는 박 감독님이 표를 주셔서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호사도 누렸다. 어머니 덕분에 박 감독님을 알게 되었지만 아직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한 나는 조심스러운 마음이 들어서 늘 박 감독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감독과 팬의 관계를 유지해왔다. 언제 내가 박 감독님과 차라도 한 잔 마실 수 있는 위치에 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작게 나마 박 감독님과 교류를 할 수 있는 것이 어머니가 맺어주신 인연이라고 생각해서 앞으로도 그 인연을 소중히 하고 싶다. 

송강호 배우님과는 개인적으로 아무 인연도 없지만 나는 한재림의 <우아한 세계>(2007)를 보는 도중에 송 배우님이 세계적인 배우의 반열에 들어섰다고 확신했고 그때부터 국내 최고의 배우는 늘 송 배우님이셨다.(여전히 송강호 배우님의 최고작은 <우아한 세계>라고 생각한다.) 그런 가운데 이미 페북에서도 여러 번 밝혔던 봉준호의 <기생충>(2019)에 대한 개인적인 사연 때문에 송 배우님에 대해 나는 특별한 마음이 생겼고 드디어 <브로커>로 송 배우님이 국내 배우 최초로 칸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셔서 정말 기뻤다. 내 예감이 틀리지 않았음을 스스로 확신하는 순간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헤어질 결심>에 대한 해외 평들 중에 이 영화가 알프레드 히치콕의 <현기증>(1958)이나 클로드 샤브롤의 영화 그리고 왕가위의 <화양연화>(2000)를 연상시킨다는 내용이 있다. 그리고 박 감독님은 이 영화가 정훈희의 ‘안개’로부터 시작됐다고 밝히셨는데 이런 정보들만으로도 이 영화는 내가 가장 좋아할 박 감독님의 영화일 거라는 확신이 든다. <현기증>과 <화양연화>는 내가 수없이 봤을 정도로 사랑하는 영화이고 ‘안개’도 내가 너무 사랑하는 곡이기 때문이다. 김수용의 <안개>(1967)도 내가 정말 사랑하는 한국영화인데 그 이유가 이 영화의 주제곡인 ‘안개’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브로커>에서 송강호 배우님이 어떤 연기를 펼치셨길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셨는지도 정말 궁금하다. 

<기생충>에 대한 글을 올렸을 때도 이런 내용을 적었었는데 다시 얘기하자면 나도 꿈을 잃지 말고 분발해야겠다. 적어도 지금보다는 나아져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머니도 하늘에서 박 감독님의 수상을 기뻐하지 않으셨을까. 박찬욱 감독님, 송강호 배우님, 칸영화제 감독상, 남우주연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칸영화제 수상 결과)

황금종려상 - <슬픔의 삼각형>
심사위원 대상 - <클로즈>, <정오의 별> 공동 수상
감독상 - 박찬욱 <헤어질 결심>
각본상 - <천국에서 온 소년>
여우주연상 - <신성한 거미>
남우주연상 - 송강호 <브로커>
심사위원상 - / <여덟개의 산> 공동 수상

75주년 기념 특별상 - <토리와 로키타>

황금카메라상 - <War Pony>
황금카메라상 특별언급 - <Plan 7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407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922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917
0 위대한 영화감독 장 르누아르 특별전(‘장 르누아르의 인생 극장’) 초강추해드려요. ^^ (서울아트시네마, 5월 19일까지) [6] crumley 2024.05.18 164
-1 칼 드레이어의 위대한 걸작 <게르트루드>를 초강추해드려요. ^^ (4월 13일 오후 4시 30분 서울아트시네마 마지막 상영) [2] crumley 2024.04.12 155
-2 다시 한번 역대 최고의 영화 중의 한 편인 칼 드레이어의 <오데트> 초강추! ^^ (3.27, 3.30, 4.14 서울아트시네마 상영) [8] crumley 2024.03.26 269
-3 내일 오후 1시 30분에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마지막으로 상영되는 미지의 걸작, 마누엘라 세라의 <사물의 움직임> 초강추! ^^ [2] crumley 2024.01.26 245
-4 올해 최고의 영화 중의 한 편인 후카다 코지의 <러브 라이프> 초강추해드려요! ^^ (현재 상영 중이에요.) [6] crumley 2023.08.02 540
-5 개인적인 사연 때문에 너무 감동적이었던 올해 오스카 시상식 후기를 뒤늦게 올려봅니다. ^^ [4] crumley 2023.03.24 766
-6 오늘 서울아트시네마에서 마지막으로 상영되는 자크 타티의 위대한 걸작 <플레이타임> 초강추! ^^ [8] crumley 2023.03.15 458
-7 만신창이가 된 몸으로 영화를 보고 펑펑 울었던 특별한 경험을 나누고 싶어요. ^^ [4] crumley 2023.02.27 704
-8 맑고 아름다운 영화인 박홍열, 황다은의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를 초강추해드려요. ^^ (극장 상영중이에요.) [5] crumley 2023.02.18 269
-9 역대 최고의 영화 중의 한 편이자 역대 최고의 기독교 영화인 칼 드레이어의 <오데트> 초강추! (1월 13일, 1월 26일 서울아트시네마 상영) [5] crumley 2023.01.13 461
-10 세계영화사의 거인, 장 뤽 고다르 추모전이 롯데시네마에서 열리네요. (12.7~20, 서울 홍대, 대구 동성로, 부산 광복) [4] crumley 2022.12.07 406
-11 아직도 벅찬 마음이 가시지 않네요. 제가 출연한 이혁의 장편 <갯벌> 국제해양영화제 GV 참석 후기를 올려봐요. ^^ [10] crumley 2022.08.05 374
-12 기적이네요! 제가 출연하고 스태프로 참여한 이혁의 장편 <갯벌>이 국제해양영화제에서 상영돼요. ^^ [20] crumley 2022.07.30 439
-13 이창동의 <버닝>(2018) 리뷰- 히치콕적인 서스펜스로 가득찬 매혹적인 스릴러 (스포 있음) [17] crumley 2022.07.23 552
» 박찬욱 감독님의 수상을 축하드리며 박 감독님과의 조그만 인연을 밝혀볼까 합니다. ^^ (송강호 배우님도 진심으로 축하드려요!) [12] crumley 2022.05.29 1111
-15 이 영화 진심으로 입소문 팍팍 났으면 좋겠네요. 영화광의 대사만으로도 감동적인 <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 리뷰 (이 글 꼭 한번 읽어주세요!) [2] crumley 2022.03.13 760
-16 선입견이 정말 무섭네요. 제 나름대로 진지하게 써본 <인민을 위해 복무하라> 후기 [6] crumley 2022.02.22 1675
-17 엠마누엘 무레의 <러브 어페어: 우리가 말하는 것, 우리가 하는 것> 행사에서 제가 모더레이터로 참여하게 됐어요. ^^ [2] crumley 2021.12.03 353
-18 현재 개봉중인 엠마누엘 무레의 걸작 <러브 어페어: 우리가 말하는 것, 우리가 하는 것>에 대한 초강추 리뷰입니다. 꼭 보세요. ^^ [2] crumley 2021.11.19 569
-19 <러브레터>에 출연했던 전설의 일본 여배우의 전성기 시절의 걸작인 시노다 마사히로의 <말라버린 꽃> 초강추합니다! (오늘 한국영상자료원 마지막 상영) [10] crumley 2021.09.30 107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