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예절 관련 질문입니다.

2014.04.01 01:24

autechre 조회 수:4224

오늘, 다른 사람들과 얘기하다가 제가 큰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저보다 윗사람과 전화 통화를 하려 했는데 저는 습관적으로(!)

'선생님,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라고 문자를 보내려고 했거든요.


그랬더니 주위 사람들 대부분이 그건 무례한 것이다, 윗사람에게 일을 시키는 것이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방해받을 상황이면 애초에 진동으로 해놓거나 받지 않는다는 거죠.


거꾸로 저는 바쁠 수 있는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방해하고 싶지 않아 그 사람이 편하게 통화할 수 있을 때 전화를 해달라는 뜻이었거든요. 

그래서 거리가 있거나 윗사람이면 늘 그렇게 해왔고요.

그런데 사람들 얘기를 듣고 보니 오히려 제 방식이 무례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여려 명 중 한 명은 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만).



굳이 상황을 구별하면 다음과 같은 패턴인데요.


- 완전히 윗사람 or 거리가 있는사람 : 시간대와 무관하게 '선생님,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

- 일종의 갑을 관계에서 내가 을인 경우 : 시간대와 무관하게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

- 친한 친구, 동생 등 : 직접 핸드폰 전화. 단, 근무시간에는 '나 아무개. 편할 때 전화 좀!'

- 친한 친구, 동생 등 : 퇴근시간에서 8-9시까지는 직접 전화

- 직업적 관계로 사무실 근무하는 사람(업무상 통화) : 직접 사무실 번호로 전화. 핸드폰으로는 잘 걸지 않음.

- 직업적 관계로 사무실 근무하는 사람 (퇴근시간 이후) : 가급적 전화를 하지 않음. 급한 경우 핸드폰에 문자로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

- 직업적 관계로 사무실 근무하지 않는 사람 : 낮에는 직접 전화. 저녁 때는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

- 밤 9시 이후 : 상대가 누구이건 통화를 원할 때는 '아무개입니다.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


 여기에 상대의 나이/세대라는 팩터까지 더할 수 있겠지만 사실 세세한 구별이 중요하지는 않고요. 중요한 건 기본적 원칙이죠.


아무래도 제 주변에 교수, 강사 등 '강의'하는 사람들이 많고, 전화 받기를 유난히 싫어하는 사람이 몇 있다 보니 직접 전화를 하기보다는 문자를 남기는 편이 좋다고 제멋대로 생각해 온 거지요.


제 방식이 옳다고 우길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 

이런 종류의 에티켓은 특별한 일이 아닌한 통용되는 암묵적 룰을 따르는 게 옳으니까요.

문제는 아직까지는 이에 관한 암묵적 룰이 무엇인지 (지적을 받았음에도) 백퍼센트 확신이 없다는 겁니다.


좀전에는 (오늘 오후) 지적을 받고 전화를 직접 건 다음 안 받으시기에 '선생님, 아무개입니다. 전화 통화가 안 되서요. 급한 일은 아니고요. 편한 시간에 전화 부탁드립니다'라고 문자를 보냈습니다.^^


개인차도 있을 수 있지만 이에 관한 통상적 룰은 무엇인가요? 

아마 제 주변사람들 말이 맞는 것 같은데 확인을 하고 싶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제 트위터 부계입니다. [3] DJUNA 2023.04.01 27079
공지 [공지] 게시판 관리 원칙. 엔시블 2019.12.31 45627
공지 [공지] 게시판 규칙, FAQ, 기타등등 DJUNA 2013.01.31 355559
114399 눈물겨운(?) 구직기를 통해 보는 무능력과 궁상의 인증글 [19] Koudelka 2011.04.07 4201
114398 린지 로한 감옥생활 시작하는군요 [8] 가끔영화 2010.07.21 4201
114397 2013년, 당신이 얻게 될 3가지는? [67] 형도. 2013.02.04 4200
114396 박근혜 캠프에서 문자가 왔어요. -_- [18] sargent 2012.12.12 4200
114395 [속보] 의정부역 승강장 흉기난동 8명중상... 범인체포 [2] 01410 2012.08.18 4200
114394 사회에서 학벌이란 것과 직면하게 되는 경우 [18] soboo 2011.04.09 4200
114393 [미드본좌] 세상에~ 이게 출시가 되어었군요. OTL [3] 무비스타 2010.11.30 4200
114392 직장인의 장래희망 1순위 [7] 베를린 2011.02.11 4200
114391 밥먹듯 여성 깎아내려 시상식 휩쓰는 래퍼들, "여자는 가정부 아니면 요부" [18] catgotmy 2015.04.23 4199
114390 [질문] 형제 자매 결혼할 때 축의금 어떻게 하시나요? [10] V3 2015.02.17 4199
114389 해경 간부가 막말… “80명 구했으면 대단한 것 아니냐” [17] 잠수광 2014.04.22 4199
114388 구혜선 사라폴리 [5] 가끔영화 2012.10.20 4199
114387 정청래 전의원은 참 실망스럽군요. [22] Carb 2011.12.14 4199
114386 한국의 감옥에선 쇼생크탈출이 불가능한 이유 [10] 가끔영화 2011.07.03 4199
114385 세번 결혼하는 여자 마지막회 [5] 감자쥬스 2014.03.30 4199
114384 [바낭] 만우절 장난으로 시작했다가 일이 커져버렸어요;;; [7] 로즈마리 2011.04.01 4199
114383 당일치기 교토 관광 질문입니다-쓰루패스로 후시미이나리 - 아라시야마 - 니조성 청수사 기요미즈데라... [12] 몰락하는 우유 2010.08.06 4199
114382 요새 그림에 꽂혔어요. [2] Ostermeier 2010.07.01 4199
114381 서울 불광동, 카페베네 cafe bene [7] beirut 2013.04.01 4198
114380 중국에도 싸이가.... [9] soboo 2013.02.10 4198
XE Login